코리 시거

최근 편집일시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해당 인물의 최근 활약상에 대한 내용은 코리 시거/선수 경력/2023년 문서
코리 시거/선수 경력/2023년번 문단을
코리 시거/선수 경력/2023년#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

[ 펼치기 · 접기 ]
#003278,#86b8ff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gcolor=#003278><width=20%><colcolor=#ffffff> '''투수''' ||<colbgcolor=#ffffff,#191919><colcolor=#c0111f,#ed3f4d> 17 [[네이선 이볼디|{{{#003278,#86b8ff 이볼디}}}]] · 22 [[존 그레이|{{{#003278,#86b8ff 그레이}}}]] · 25 [[호세 르클럭|{{{#003278,#86b8ff 르클럭}}}]]  · 31 [[맥스 슈어저|{{{#003278,#86b8ff 슈어저}}}]] · 33 [[데인 더닝|{{{#003278,#86b8ff 더닝}}}]] · 43 [[오웬 화이트|{{{#003278,#86b8ff 화이트}}}]] · 44 [[앤드루 히니|{{{#003278,#86b8ff 히니}}}]] · 46 [[브록 버크|{{{#003278,#86b8ff 버크}}}]] · 48 [[제이콥 디그롬|{{{#003278,#86b8ff 디그롬}}}]] · 57 [[예리 로드리게스|{{{#003278,#86b8ff 로드리게스}}}]] · 60 [[콜 윈|{{{#003278,#86b8ff 윈}}}]] · 61 [[코디 브래드포드|{{{#003278,#86b8ff 브래드포드}}}]] · 65 [[그랜트 앤더슨|{{{#003278,#86b8ff 앤더슨}}}]] · 66 [[조시 스보즈|{{{#003278,#86b8ff 스보즈}}}]] · 67 [[제이크 라츠|{{{#003278,#86b8ff 라츠}}}]] · 72 [[조나단 에르난데스|{{{#003278,#86b8ff 에르난데스}}}]] · 78 [[잭 켄트|{{{#003278,#86b8ff 켄트}}}]] · # [[앤토인 켈리|{{{#003278,#86b8ff 켈리}}}]] · # [[마크 처치|{{{#003278,#86b8ff 처치}}}]] · # [[호세 코니엘|{{{#003278,#86b8ff 코니엘}}}]] · # [[커비 예이츠|{{{#003278,#86b8ff 예이츠}}}]] · # [[카슨 콜먼|{{{#003278,#86b8ff 콜먼}}}]] · # [[타일러 말리|{{{#003278,#86b8ff 말리}}}]] ||
|| '''포수''' || 28 [[조나 하임|{{{#003278,#86b8ff 하임}}}]] · 55 [[샘 허프|{{{#003278,#86b8ff 허프}}}]] ||
|| '''내야수''' || 2 [[마커스 시미언|{{{#003278,#86b8ff 시미언}}}]] · 5 [[코리 시거|{{{#003278,#86b8ff 시거}}}]] · 6 [[조시 영|{{{#003278,#86b8ff 영}}}]] · 20 [[에제키엘 듀란|{{{#003278,#86b8ff 듀란}}}]] · 30 [[너새니얼 로우|{{{#003278,#86b8ff 로우}}}]] · 36 [[조나단 오넬라스|{{{#003278,#86b8ff 오넬라스}}}]] · 47 [[조시 스미스(1997)|{{{#003278,#86b8ff J.스미스}}}]] · # [[저스틴 포스큐|{{{#003278,#86b8ff 포스큐}}}]] ||
|| '''외야수''' || 3 [[레오디 타베라스|{{{#003278,#86b8ff 타베라스}}}]] · 32 [[에반 카터|{{{#003278,#86b8ff 카터}}}]] · 50 [[J.P. 마르티네스|{{{#003278,#86b8ff 마르티네스}}}]] · 53 [[아돌리스 가르시아|{{{#003278,#86b8ff 가르시아}}}]] · 67 [[더스틴 해리스|{{{#003278,#86b8ff 해리스}}}]] ||
||<-2>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10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c0111f; font-size: 0.8em"
[[코치(스포츠)#s-2.1|{{{#ffffff {{{-2 감독}}}}}}]]}}}''' [[미국|[[파일:미국 국기.svg|width=30]]]] '''[[브루스 보치|{{{#ffffff {{{-2 브루스 보치}}}}}}]]'''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10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c0111f; font-size: 0.8em"
[[코치(스포츠)|{{{#ffffff {{{-2 보조 감독}}}}}}]]}}} [[미국|[[파일:미국 국기.svg|height=17]]]] [[윌 베나블|{{{#ffffff {{{-2 윌 베나블}}}}}}]]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10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c0111f; font-size: 0.8em"
[[코치(스포츠)|{{{#ffffff {{{-2 벤치 코치/공격 코디네이터}}}}}}]]}}} [[미국|[[파일:미국 국기.svg|height=17]]]] [[도니 에커|{{{#ffffff {{{-2 도니 에커}}}}}}]]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10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c0111f; font-size: 0.8em"
[[코치(스포츠)|{{{#ffffff {{{-2 타격 코치}}}}}}]]}}} [[미국|[[파일:미국 국기.svg|height=17]]]] [[팀 하이어스|{{{#ffffff {{{-2 팀 하이어스}}}}}}]][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10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c0111f; font-size: 0.8em"
[[코치(스포츠)|{{{#ffffff {{{-2 보조 타격 코치}}}}}}]]}}} [[미국|[[파일:미국 국기.svg|height=17]]]] [[세스 코너|{{{#ffffff {{{-2 세스 코너}}}}}}]]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10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c0111f; font-size: 0.8em"
[[코치(스포츠)|{{{#ffffff {{{-2 투수 코치}}}}}}]]}}} [[미국|[[파일:미국 국기.svg|height=17]]]] [[마이크 매덕스|{{{#ffffff {{{-2 마이크 매덕스}}}}}}]]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10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c0111f; font-size: 0.8em"
[[코치(스포츠)|{{{#ffffff {{{-2 주루 코치}}}}}}]]}}} [[미국|[[파일:미국 국기.svg|height=17]]]] [[코리 락스데일|{{{#ffffff {{{-2 코리 락스데일}}}}}}]] {{{#ffffff ·}}} [[미국|[[파일:미국 국기.svg|height=17]]]] [[토니 비슬리|{{{#ffffff {{{-2 토니 비슬리}}}}}}]][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10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c0111f; font-size: 0.8em"
[[코치(스포츠)|{{{#ffffff {{{-2 불펜 코치}}}}}}]]}}} [[미국|[[파일:미국 국기.svg|height=17]]]] [[브렛 헤이스|{{{#ffffff {{{-2 브렛 헤이스}}}}}}]]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10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c0111f; font-size: 0.8em"
[[코치(스포츠)|{{{#ffffff {{{-2 포수 코치}}}}}}]]}}} [[미국|[[파일:미국 국기.svg|height=17]]]] [[바비 윌슨|{{{#ffffff {{{-2 바비 윌슨}}}}}}]]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10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c0111f; font-size: 0.8em"
[[코치(스포츠)|{{{#ffffff {{{-2 불펜 포수}}}}}}]]}}} [[미국|[[파일:미국 국기.svg|height=17]]]] [[팻 칸트웰|{{{#ffffff {{{-2 팻 칸트웰}}}}}}]] {{{#ffffff ·}}} [[미국|[[파일:미국 국기.svg|height=17]]]] [[조시 프레이저|{{{#ffffff {{{-2 조시 프레이저}}}}}}]] ||
||<-2><bgcolor=#eeeeee,#191919> [[파일:MLB 로고.svg|width=20]] [[틀:MLB 구단별 40인 로스터|{{{-1 {{{#003278,#86b8ff 다른 MLB 팀 40인 로스터 보기}}}}}}]][br][[라운드 락 익스프레스|[[파일:라운드 락 익스프레스 엠블럼.svg|width=20]]]] [[틀:라운드 락 익스프레스/로스터|{{{-1 {{{#003278,#86b8ff 산하 AAA팀 로스터 보기}}}}}}]] ||




코리 시거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코리 시거의 수상 경력 / 보유 기록 / 역대 등번호
[ 펼치기 · 접기 ]

파일:Dodgers_WS_Champ_Logo.png 파일:레인저스챔피언로고.jpg
월드 시리즈 우승 반지
2020
2023

파일:2016 MLB 올스타전 로고.svg 파일:2017 MLB 올스타전 로고.svg 파일:2022 MLB 올스타전 로고.svg 파일:2023 MLB 올스타전 로고.svg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올스타

2016
2017
2022
2023



파일:MLB 내셔널 리그 로고.svg 2016년 메이저 리그 내셔널 리그 신인왕
크리스 브라이언트
(시카고 컵스)

코리 시거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코디 벨린저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파일:MLB 내셔널 리그 로고.svg 2016년 ~ 2017년 메이저 리그 내셔널 리그 유격수 부문 실버 슬러거
브랜든 크로포드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코리 시거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트레버 스토리
(콜로라도 로키스)



보유 기록
단일 디비전 시리즈 최다 볼넷
9볼넷
2023 아메리칸 리그 디비전 시리즈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등번호 5번
알베르토 카야스포
(2015)

코리 시거
(2015~2021)


프레디 프리먼
(2022~)
텍사스 레인저스 등번호 5번
윌리 칼훈
(2018~2021)

코리 시거
(2022~)


현역


-

텍사스 레인저스 No.5
코리 시거
Corey Seager

본명
코리 드루 시거
Corey Drew Seager
출생
1994년 4월 27일 (29세)
노스캐롤라이나 주 샬럿
국적
[[미국|

미국
display: none; display: 미국"
행정구
]]

학력
노스웨스트 카바루스 고등학교
신체
193cm / 97kg
포지션
유격수
투타
우투좌타
프로입단
2012년 드래프트 1라운드 (전체 18번, LAD)
소속팀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2015~2021)
텍사스 레인저스 (2022~)
계약
2022 - 2031 / $325,000,000
연봉
2023 / $35,000,000
가족
카일 시거(1987년생)
저스틴 시거(1992년생)
SNS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1. 개요
3. 플레이 스타일
4. 수상 내역
5. 기타
6. 관계자들의 평가
7.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파일:301049.jpg

텍사스 레인저스 소속 우투좌타 내야수.[1]


2. 선수 경력[편집]


코리 시거의 선수 경력
통합 선수 경력 : 코리 시거/선수 경력
파일:MLB 로고.svg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3. 플레이 스타일[편집]


데뷔 초에는 맏형 카일 시거처럼 적극적인 스윙과 타격을 보여주었다. 강한 타구를 만들어내는 능력이 좋아 타율 3할을 기록했고, 나쁘지 않은 선구안을 바탕으로 존 바깥으로 빠지는 공에는 배트를 최대한 내밀지 않으면서 존 안에 들어오는 공을 적극적으로 공략해 삼진도 적게 당했다. 2016년 코리 시거의 Z-Swing%[2]는 규정 타석을 채운 146명의 타자 중 리그 5위였지만, O-Swing%[3]는 152명의 타자 중 62위였다.

그러나 2017년에 들어서며 타격 스타일에 큰 변화가 있었다. 스윙률 자체를 줄이고[4], 볼에 대한 스윙을 더욱 더 억제하는[5] 모습으로 2016년보다 확연히 좋아진 선구안을 보이며 아직도 성장의 여지가 남아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거기에 시거의 스프레이 히팅 역시 뛰어난 편으로 2017년부터는 밀어치기로 좌중간 담장을 넘기는 홈런 역시 상당히 많아졌다. 2021년까지 Pull%/Cent%/Oppo%[6]의 비율이 37.4%/35.5%/27.1%다. 즉 시거를 상대로 수비 시프트를 사용하는 것은 비효율적이라는 뜻이며 수비 시프트가 현대 야구에서 타자의 BABIP, 즉 '공을 쳐서 인플레이를 시키는 데에 성공했을 때 안타가 될 확률' 을 떨어트리는 가장 큰 요인 중 하나라는 것을 감안하면 시거가 부상을 당하지 않는 이상 타율이 널뛰기 할 우려도 크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2022년에는 시거의 땅볼 타구 대다수가 2루와 1루 사이로 향했는데, 수비 시프트에 의해 약 30개에 가까운 안타성 타구를 빼앗기며 BABIP이 .242까지 곤두박질치면서 시즌 타율 역시 .245로 커리어 로우를 기록했다. 다만 2023년부터는 시프트 제재가 시작되기 때문에 다시 타율을 되찾을 것이라는 분석이다.

이후 2018년에는 팔꿈치 부상으로 26경기 출전에 그쳐 표본이 적지만 O-Swing%를 25.2%로 더 낮췄고, Z-Swing%도 77.9%로 아주 미세하게 낮아지며 전체적인 스윙률이 48.4%까지 떨어지는 등 스윙에 더욱 신중한 모습을 보였다. 2019년에는 직전 시즌보다는 스윙을 더 많이 시도하며, 전체적으로 2017년과 비슷한 타격 스타일을 보였다.[7] 2020년에도 단축 시즌 여파로 인해 경기 수가 그리 많지 않지만, O-Swing%: 33.8% Z-Swing%: 84.8% Swing%: 55.8%을 기록하며 가장 활발하게 스윙을 시도하는 모습을 보였다. 그리고 초구를 정말 많이 좋아한다.

큰 체구에서 나오는 장타력은 유격수라는 포지션을 감안했을 땐 상당히 우수한 축에 들어가는데, 매 시즌 20홈런 이상은 거뜬히 때려낼 장타력을 갖추고 있으며 이는 페르난도 타티스 주니어같은 논외급[8]을 빼면 유격수 중 제일 뛰어나다. 2016시즌 ISO[9]가 .204로 146명의 타자 중 52위에 해당한다. 2017년에도 ISO가 .184로 준수했으며, 2018년에는 시즌 아웃의 여파로 .129로 하락했지만 이후 2019년에는 .211을 기록하며, 여전히 장타력이 뛰어나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그리고 파워 포텐셜이 터지기 시작한 2020년에는 경기 수가 적긴 하지만 .278을 기록하며, 앞으로의 활약을 더 기대하게 만들고 있다. 세부 성적을 조금 더 깊게 들여다보면 팬그래프에서 제공하는 스탯 중 하나인 HardHit%, 즉 인플레이 된 타구 중 '강하게 맞은' 타구의 비율은 메이저 데뷔 후 꾸준히 40%대[10]를 기록하며 리그 최상위를 유지했으며, 2019년에는 37.7%로 예년보다 하락했다가 장타 포텐이 터지기 시작한 2020년에는 무려 55.4%로 매우 급증했고, 2021년에도 49.0%를 기록했다. 플라이볼 비율은 데뷔 후 꾸준하게 증가하고 있으며[11], HR/FB[12]은 데뷔 후 조금씩 하락하다가[14] 2020년에 21.7%로 상승했다. 단 2021년에는 16.5%를 기록했다. 또한 시거는 컨택도 좋은 타자로, 메이저 리그에 데뷔한 이후 매년 75% 이상의 Contact%을 기록하며 2015년부터 2021년까지 7년간 평균 76.6%를 기록하고 있다. 스트라이크존 컨택률도 7년간 평균 87.3%를 기록하며 뛰어나다.

물론 결점이 아예 없는 건 아니고, 몸쪽에 바짝 붙이거나 떨어지는 공을 던질 경우 특유의 스윙으로 인해 스스로 말려드는 경우가 꽤 많다. 특히 투 스트라이크 이후 떨어지는 공에 헛스윙 삼진은 공식이라 할 정도. 또한 볼넷 출루 비율이 2017년에 10.9%를 기록한 이후로 계속 하락하고 있다가 2021년에야 11.7%로 반등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15] 이 외에도 포스트시즌에 약하다는 단점이 있었으나, 2020 내셔널 리그 챔피언십 시리즈2020년 월드 시리즈에서 MVP를 수상하며 그러한 평가를 날려버렸다.


시거의 타격에 대한 분석
유격수 수비는 다소 큰 체구를 걱정 하는 말이 여러 번 나왔음에도 불구하고 좁지 않은 수비 범위와 본인의 강견을 자랑하면서 수비를 훌륭하게 해왔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고 햄스트링 부상과 팔꿈치 부상에 시달리면서[16] UZR/150이 계속 하락하는 모습이다.[17] 특히 2021 내셔널 리그 챔피언십 시리즈 2차전에서는 9회 말 2사 2루 상황에서 수비 시프트를 통해 본인의 정면으로 오는 타구를 백핸드로 처리하려다 잡지 못하고 끝내기 안타를 허용하는 답답한 모습을 보였다.[18]

마찬가지로 큰 체구 탓인지 주루 능력에 대한 기대치는 그리 높지 않다. 도루에 능한 타입도 아니지만, 발 빠르기가 그럭저럭 평균은 되고 가속력도 나름 있는 편이며 주루 센스도 준수하다. 경험까지 쌓이며 주루 센스도 더욱 좋아져 팬그래프 기준으로 베이스 러닝 가치가 2015년부터 2017년까지 꾸준히 상승했으며[19], 장기 부상 후 첫 시즌이던 2019년에도 3.4를 기록하며 준수한 모습을 보였다. 다만 연차가 쌓이면서 점차 주력이 감소하거나 몸이 불어날 가능성도 있기 때문에 시거의 주력이나 도루 센스가 앞으로 더 발전할 거라고 예상하는 팬은 별로 없다. 실제로 팬그래프 기준으로 BsR 수치가 2020년부터 음수대를 기록하기 시작했다.

그리고 시거의 최대 문제점은 유리몸이라는 것으로, 이러한 활약을 선수 생활 동안 꾸준히 보여 줄 수 있는가라는 과제가 남아있다. 위에 언급한대로 큰 체구 때문에 부상 위험이 도사리는데, 2018년에는 토미 존 수술로 인해 시즌 초반에 일찌감치 시즌을 마감한 데다 2019년에도 6월 중순에 햄스트링 부상으로 한 달 간 결장하는 등 부상 전력이 적지 않기 때문에 부상 관리도 매우 필요하다.[20] 2020년에는 단축 시즌이긴 해도 부상 없이 최고의 활약을 펼치며 월드 시리즈 우승에 기여했으나, FA를 앞둔 2021년에는 다시 부상으로 인해[21] 시즌을 망치며 사실상 유리몸임이 확정되었다. 시거가 유리몸인 부분은 홈런에서 드러나는데 2021년 9월 4일 기준 100홈런에 4개가 남았다. 연간 20~30홈런이 가능하다고 평가받는 시거가 100홈런을 아직도 달성하지 못한 이유는 2015년부터 2021년까지 7시즌에서 모든 경기를 다 뛰었을 때 가능한 경기수가 1032경기[22]이지만 시거는 첫 시즌인 2015년에는 9월 데뷔했고, 2016년과 2017년은 풀 시즌을 소화했지만 2018년은 토미 존 수술로 26경기를 뛰는데 그쳤으며, 2019년은 중간에 햄스트링 부상으로 4주를 결장했다. 2020년은 가장 홈런 페이스가 좋았던 때이지만[23] 단축시즌(60G)이었고, FA를 앞둔 시즌이었던 2021년에도 손가락 골절로 11주를 결장해 7년간 출장했던 경기수가 610경기에 불과하다. 장기 계약을 맺은 첫 해인 2022년에는 빨리 드러누울 수 있다는 세간의 평가를 뒤집고 151경기 출장에 성공하며 유리몸에서 벗어나는 데 성공[24]했지만 2023년에 다시 부상을 당한다.

4. 수상 내역[편집]


수상 내역
파일:2020년 월드 시리즈 로고.svg 파일:2023년 월드 시리즈 로고.svg 월드 시리즈 우승 2회 (2020, 2023)
파일:MLB 로고.svg 올스타 4회 (2016, 2017, 2022, 2023)
파일:2020년 월드 시리즈 로고.svg 파일:2023년 월드 시리즈 로고.svg 윌리 메이스 상 2회 (2020, 2023)
파일:2020 내셔널 리그 챔피언십 시리즈 로고.svg 챔피언십 시리즈 MVP (2020)
파일:MLB 내셔널 리그 로고.svg 내셔널 리그 신인왕 (2016)
파일:MLB 내셔널 리그 로고.svg 내셔널 리그 유격수 실버 슬러거 2회 (2016, 2017)
파일:MLB 로고.svg All-MLB 세컨드 팀 (2020)


5. 기타[편집]


  • 어린 선수임에도 불구하고 좋은 성적을 보여주고, 성실한 성격 등으로 인해 많은 호감을 얻고 있으며 외모도 매우 뛰어나기[25]에 팬들의 사랑을 한몸에 받고 있다. 로스앤젤레스 다저스의 미남 3대장 중 한 명이었다. 나머지 두 명은 조 켈리코디 벨린저. 다만 아버지와 형들이 모두 탈모 증세를 보이고 있기에 코리 시거 역시 장래에 같은 길을 가게 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26]. 아직은 20대라서 머리가 아주 풍성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지만, 알다시피 서른 넘으면 순식간이다.

  • 팬서비스가 좋은 편이다. 코디 벨린저와 마찬가지로 싸인은 굉장히 잘해주는 선수이며, 싸인 요청을 받은 적도 많았고 사석에서도 팬 서비스가 좋은 선수다.

  • 두 형 카일 시거, 저스틴 시거가 모두 야구 선수다. 맏형인 카일 시거에게 야구에 대해 이것저것 조언을 자주 듣는 편이며 특히 타격폼은 큰형과 판박이 수준이다. 삼형제의 외모가 비슷비슷해서 삼형제가 함께 있는 사진을 보면 세 쌍둥이라고 착각할 수준이다.

  • 보기에는 호리호리해 보이지만 193cm, 97.5kg의 상당히 크고 건장한 체격이다. 특히 190이 넘는 키는 서양인임을 감안하더라도 유격수를 보기엔 상당히 큰 키다. 3루수 이야기가 나오는 것도 이런 거구라는 점이 주된 이유.

  • 에이전트가 하필 스캇 보라스이기 때문에 본격적으로 성적을 내기 전에 장기 계약을 맺어야 한다고 주장하는 다저스 팬들이 상당히 많다. 다만 보라스는 팬들이 소위 노예 계약이라 말하는, 콜업한 유망주를 이른 기간에 장기간 붙잡아 두는 계약을 절대 안 하는 걸로 유명하다. 앤드류 프리드먼맷 무어에반 롱고리아에게 제시한 것 같은 장기 계약을 코리 시거에게 제시해봤자 어차피 씨알도 안 먹힐 확률이 100%다. 그냥 현 시점에서 코리 시거의 염가 장기 계약은 애초에 불가능하다고 생각하는 편이 좋다. 그리고 10년 $325M에 텍사스 레인저스로 향하자, 현지에서도 놓칠 만 했다고 보는 분위기다.

  • 머리 크기가 정말 작다. 베이스 러닝을 할 때 슬라이딩을 하거나 전력질주를 할 경우에 헬멧이 벗겨지는 경우를 자주 볼 수 있다.

  • 같은 팀 동료였던 잭 그레인키밀워키 브루어스에 있던 시절, 2012년 드래프트 당시 1라운드에 뽑힐 유망주들 중에서 시거를 가장 마음에 든다고 평했다. 다저스 입단 때도 높은 관심을 보였고, 콜업된 후에도 인터뷰에서 자신의 기대보다도 훨씬 훌륭하게 성장했다고 칭찬하는 등 꾸준한 관심을 가지고 지켜보고 있는 걸로 보인다.

  • 시거 삼형제 모두 CF에 출연했는데, 한 야구게임 광고였고 카일 시거와 함께 게임을 하는 모습이 담겨있다. 저스틴 시거 또한 광고 마지막에 나온다.

  • 유대계 미국인으로서 2017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에서 미국과 이스라엘 양국의 대표팀 합류 요청을 받았다. 그러나 양국의 러브콜에도 불구하고 코리 시거는 시즌 준비를 이유로 대회에 불참했다.

  • 잘할 때는 '시느님', '시갓'으로 불리나 못하면 '시래기', '시x놈'으로 불린다. 하필 이름이 시거다보니 착 달라붙는 별명. 또한 이름이 시거인지라, 시가랑 연관되어 불리는 경우도 많다.

  • 2020년, 2019 MLB 사인 훔치기 스캔들의 나비효과로 구단 더그아웃 안쪽에 배치됐던 비디오 분석실이 폐쇄되었는데, 초반에는 이로 인해 적응하는데 어려움을 겪었으나[27] 이후 본인의 감에 의존하는 비율이 높아지다보니 오히려 타격 스탯이 좋아졌다고 한다.

  • 경기 중 감정표현을 하는 장면이 매우 드물다. 그나마 시거가 감정을 표현한 상황으로는, 2017년 월드 시리즈 2차전에서 투런포를 기록했을 때와 2020 내셔널 리그 챔피언십 시리즈 5차전에서 쐐기를 박는 투런 홈런을 터뜨렸을 때 정도가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앞서 언급한 대로 잘생긴 외모와 뛰어난 피지컬 때문에 인기가 많은 편이다.

  • 2021년 메이저 리그 유니폼 판매량 전체 8위를 기록했다.

  • 스톡킹에 출연한 남태혁은 시거가 마이너 리거 시절에는 작 피더슨보다도 강한 타구는 만들었지만 인게임보다 연습서 잘 치고, 인플레이 타구를 못 만들던 선수였다는 회상을 했다. 그랬던 선수가 이제는 당대의 가장 각광받는 메이저리거로 성장한 것.

6. 관계자들의 평가[편집]


시거의 수비력은 진정 좋으며 점프력과 송구까지 내가 기대했던 것보다 전체적으로 더 낫다. 시거를 상대로 투수들이 약점을 찾아내더라도 시거는 그것에 적응할 것이다. 그는 좌완 상대로 별 어려움을 겪지 않고 잘 치고 있다.(중략)

-

잭 그레인키


시거는 최고의 유격수다. 연습할 때부터 경기까지 그의 모습을 지켜보는 것은 정말 특별하다.

-

코디 벨린저


시거는 진화하고 있다. 그는 투수들이 어떻게 던질지에 대해 노림수를 가져가는 것에 더욱 이해도가 높아지고 있다. 그는 투구를 참아내고 타석을 이끌어가며 특정한 투구를 사냥하는 것을 정말 잘 이해하고 있다. 그의 매카닉 덕분에, 그는 많은 투구, 로케이션에 대처할 수 있다. 노리는 존이나 특정 투구를 쫓는 그의 능력은 그를 훨씬 좋은 선수로 만들어주고 있다.#

데이브 로버츠


자기 스윙을 붕붕 돌린다. 내 롤모델로 삼고 있다.

-

배지환


시거는 내가 본 선수 중에 조정을 가장 잘하는 젊은 선수이다. 그는 투구 상황과 수비 범위를 알고 (위치를) 조정한다.#

데이브 로버츠


시거는 특별한 타자다. 그는 자신이 하고자하는 것을 알고, 누구보다도 스윙을 잘하는 것을 안다.

저스틴 터너


내가 생각한 것보다 더 컸다. 스타일이 나와 많이 닮았다.

칼 립켄 주니어


7. 관련 문서[편집]


[1] 주 포지션은 유격수이다.[2] 스트라이크 존 안으로 들어오는 공에 스윙을 시도하는 비율.[3] 존 밖으로 나가는 공에 대해 스윙을 시도하는 비율.[4] 2016년 52.9%, 2017년 50.1%[5] O-Swing%: 2016년 32.2%, 2017년 29.1%[6] 당겨친 타구/중앙으로 보낸 타구/밀어친 타구.[7] O-Swing%: 30.7%, Z-Swing%: 79.5%, Swing%: 51.1%[8] 이쪽은 진짜로 약쟁이라 논외 취급이다.[9] 순수 장타율.[10] 2015년 43%, 2016~2017년 44%, 2018년 40%[11] 2015년에는 26.6%였던 반면, 2020년에는 39%이다.[12] 홈런/플라이볼.[13] 팔꿈치 부상으로 인한 시즌 아웃.[14] 19%>17.9%>16.2%>8.7%[13]>12.3%[15] 2018년 9.6%, 2019년 8.1%, 2020년 7.3%[16] 실제로 시거와 같은 거구 유격수인 트로이 툴로위츠키핸리 라미레즈 역시 유리몸이었다. 물론 이와 반대되는 사례도 얼마든지 있으며, 대표적으로 칼 립켄 주니어데릭 지터는 190cm가 넘는 거구임에도 유격수 자리를 오랫동안 지키며 3000안타를 기록했다.[17] 2016년 6.6, 2017년 11.6, 2018년 -4.3, 2019년 -2.8, 2020년 -17.4, 2021년 -14.1[18] 타구 속도 105마일에 안타 확률이 63%였다고는 하나, 아예 흘려버릴 정도의 타구는 아니었다.[19] 1, 2.4, 3.4[20] 실제로 풀타임 주전이 된 2016년부터 경기 출전 수가 157>145>26으로 줄었다.[21] 사구로 인한 골절 부상이라 더욱 안타까울 뿐이다.[22] 2020시즌 단축시즌 60게임[23] 52경기 15홈런[24] 다만 이 해에는 수비 시프트로 손해를 심하게 많이 보며 타율이 급감했다.[25] #
#
[26] 엠엘비파크 등에서 코리 시거를 검색해서 가족과 함께 찍은 사진을 보면 왜 이런 이야기가 나오는지 알 수 있다. 굳이 가족과 찍은 사진을 안 봐도 형인 카일 시거의 모자 안 쓴 사진을 찾아보면 된다.[27] 김형준 해설의 말로는 코디 벨린저의 2020 시즌 부진의 여파도 여기에 해당된다고 한다. 충분히 가능성 있는 얘기다. J.D 마르티네즈 역시 영향을 받았다고 한다. 20, 21시즌의 성적 차이만 봐도 유의미한 패널티였다는건 충분히 느껴진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0 18:53:42에 나무위키 코리 시거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