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북 모자 아사 사건

덤프버전 :


주의. 사건·사고 관련 내용을 설명합니다.
이 문서는 실제로 일어난 사건·사고의 자세한 내용과 설명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파일:탈북 모자 아사 사건.jpg

1. 개요
2. 상세
3. 반응
4. 관련 문서
5. 둘러보기


1. 개요[편집]


서울특별시 관악구에서 북한이탈주민 어머니와 아들이 사망한 사건이다.[1]

2. 상세[편집]


2019년 7월 31일 서울특별시 관악구의 13평 남짓의 한 임대아파트에서 탈북민 어머니 한모씨(42)와 아들 김모군(6)[2]이 숨진 채 발견되었다.[3] 경찰은 모자가 숨진 지 2달이 넘었으며 시신이 매우 마른 상태였고 집안에 먹을 것이 고춧가루밖에 없었던 점을 미뤄 굶주림에 시달리다 사망한 것으로 추정했다.

어머니인 탈북민 여성 한모씨는 2009년 남한에 들어와 서울 관악구의 한 임대아파트에서 2년 동안 살면서 입주 후 1년 동안 기초생활수급비를 받았지만 이후 직장을 얻어 수급자에서 제외되었다. 중국인 남성과 결혼하면서 2012년 5월 남편과 경상남도 통영시로 이사를 가고 2013년에 아들을 출산했다. 하지만 통영의 조선소에서 일하던 남편은 조선업 불황으로 인해 벌이가 불안정했고 결국 2017년에 중국으로 이사 가는 등 생활은 순탄치 못했으며 2018년 10월 다시 한국으로 돌아왔다.

한모씨는 한국에 돌아올 때 중국인 남편이 버는 소득이 있었으므로 기초생활수급자 신청 대상이 아니었기 때문에 양육수당과 아동수당만 신청하였고 2019년 1월에 남편과 이혼하였다. 하지만 한모씨는 기초생활수급자를 재신청할 수 있다는 사실을 몰랐는지 기초생활수급자와 한부모 가정 지원을 신청하지 않았고 한모씨의 한 달 생활비는 양육 수당 10만 원이 전부였다.[4] 이후 아파트의 임대료가 밀려 보증금을 절반 가까이 까먹자 3월 관리사무소에서 한모씨에게 연락하였고 한모씨는 "4월에 나갈 것"이라고 말했는데 그것이 마지막 연락이었다고 한다.

한편 구청과 경찰은 보호기간인 5년이 지나 한모씨에게 접촉하지 못했고 담당관이 찾아와도 한씨가 접촉을 꺼렸다고 밝혔다.


3. 반응[편집]


서울 한복판에서 모자가 굶어죽었다는 소식에 많은 사람들이 안타까워했으며 전문가들은 탈북민의 복지 사각지대에 대한 종합적인 대책 마련을 고심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하지만 이 사건은 한편으로는 복지의 제도적 법적 미비가 아니라 자신이 받을 수 있는 복지 제도에 대한 무지 때문에 일어난 비극이다. 그렇기 때문에 복지의 제도적 법적 시스템은 어느 정도 충분한 상황이고 개인이 자신의 상황에서 도움을 받을 수 있음을 알게 하는 교육이 필요하다.


4. 관련 문서[편집]




5. 둘러보기[편집]


문서가 있는 대한민국의 사망 및 실종 사건사고 목록

[ 펼치기 · 접기 ]
2000년대 이전



2010년대


2020년대
2020년
오리온 익산공장 직원 투신자살 사건(3.)S / 진워렌버핏 사망 사건(7.)S / 박원순 서울시장 사망 사건(7.)VS / 고유민 사망 사건(7.)S / 인천 을왕리 음주운전 사건(9.)T / 창원 모녀 사망 사건(9.)? / 코미디언 박지선 사망 사건(11.)S / 용산 모녀 사망 사건(12.)S
2021년
한강 의대생 실종 사건(4.)V? / 성추행 피해 공군 부사관 사망 사건(5.)S / 의정부호원초등학교 교사 2인 사망사건(6./12.)S / 분당 고교생 실종 사건(6.)VS / 조재윤 하사 사망사건(9.)E
2022년
잼미님 사망 사건(1.)S / 김인혁 사망 사건(2.)S / 제주대 병원 영아 의료사고 사망 사건(3.)M / 완도 일가족 사망 사건(5.)S / 가양역 인근 20대 여성 실종 사건(6.)V / 가양역 20대 남성 실종 사건(8.)V? / 가양역 인근 30대 여성 실종사건V / 수원 세 모녀 사망 사건(8.)S / 강원 전방부대 이병 총상 사건(11.)S
2023년
김부영 창녕군수 사망 사건(1.)S / 태백 혹한기 훈련 이병 사망사건(1.)? / 대구 공군 정일병 자살 사건(2.)S / 제9공수특전여단 상병 사망사건(4.)S? / 디시인사이드 우울증 갤러리 여고생 추락사 사건(4.)S / 도곡중 흉기 난동 및 도곡렉슬 추락사 사건(4.)S / 문빈 사망 사건(4.)? / 김해 예비군 의식불명 뒤 사망사고(5.)D / 양주 육군부대 일병 총기 사망사고(5.)E / 임블리 극단선택 생중계 사건(6.)S / 서울서이초등학교 교사 사망 사건(7.)S / 해병대 제1사단 일병 사망 사고(7.)E

범례 : 병사(D), 아사(H), 의료사고(M), 실종(V), 자살(S), 교통사고(T), 기타(E), 의문사 및 경위 불명(?)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2 05:44:52에 나무위키 탈북 모자 아사 사건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경찰은 두 명의 사인을 확정하지 않았다.[2] 2013년 3월생.[3] 수도요금 미납으로 단수되었음에도 소식이 없어 수도검침원이 방문했다가 악취를 맡고 관리인과 같이 창문을 열고 들어가 숨진 모자를 발견하였다.[4] 아동 수당은 아들의 나이가 만 6세를 넘기면서 끊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