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집트 파운드

덤프버전 :







جنيه مصرى (기니 마쓰리, 이집트 방언)[1]
Egyptian Pound (이집션 파운드, 영어)

파일:Central_Bank_of_Egypt_CBE_Logo.jpg

1. 개요
2. 환전과 환율
2.1. 이집트 환전 사기 주의
3. 지폐
3.1. 1차
3.2. 2차
3.3. 3차
3.4. 4차
3.5. 코인노트
4. 동전
5. 둘러보기


1. 개요[편집]


이집트의 통화. 비공식적으로 팔레스타인가자 지구에서도 신 셰켈과 동시에 사용되고 있다.

ISO 4217코드는 EGP, 기호는 파운드계열 통화답게 £를 디폴트로 놓을...것 같지만 현지어로는 ج.م를 쓰거나 아예 지폐에다가는 LE라고 표기해 놓았다. 인플레이션은 8.5% (2012년 추정치). 참고로 현지어에서 파운드라 하는 경우는 외국어로 말할 때나 쓰고 통상 기니라 부른다. 보조단위는 피아스터(대외적 표기), 키리쉬(국내 표기). 여담이지만, 영어의 영향으로 인해 이집 파운드라고도 한다.


2. 환전과 환율[편집]


아프리카에서는 이집트 파운드는 보츠와나 풀라, 남아공 랜드, 케냐 실링, 리비아 디나르, 모로코 디르함 다음으로 환전이 잦은 통화이다.

이집트에서 환전 사기가 급등하는 추세이니 국내 시중은행에서는 신한은행이 취급하는데 둘 다 인터넷으로 주문한 다음 공항지점, 본점, 특수지점에서 찾아야 한다.

신한은행은 모두 11%, KEB하나은행에서는 비고시 추심 통화이다.

1952 ~ 2002년 발행권은 아직도 이집트에서는 제한적으로나마 사용이 가능하다.

KEB하나은행 비고시 추심 가능 지폐목록

지폐
원화 환산
5
370
10
740
20
1,490
50
3,720
100
7,430
200
14,860

이집트 현지에서 환전해야 한다면 아래의 통화가 환전이 가능하다.
목록에 있더라도 일부 사설환전소나 은행에서만 되는 경우가 있다.

  • 유럽: 유럽 유로, 영국 파운드[2], 스위스 프랑, 덴마크 크로네, 노르웨이 크로네, 스웨덴 크로나
  • 아메리카: 미국 달러, 캐나다 달러
  • 아시아: 일본 엔, 중국 위안
  • 오세아니아: 호주 달러
  • 중동: 아랍에미리트 디르함, 쿠웨이트 디나르, 바레인 디나르, 카타르 리얄, 요르단 디나르

2011년 5월에 환율 196원/LE을 기록하기도 했고 올해 11월 2일까지도 많이 떨어지기는 했지만 그래도 125원~128원에서 등락하고 있었는데... 극심한 외환부족으로 이집트 정부에서 11월 3일부터 자국 화폐가치를 자그마치 48%나 절하했다. 그런고로 2016년 11월 8일 기준으로는 65.26원/LE(...)이 되었다.

북한 원화 때문에 큰 피해를 입은 나라이다.관련기사1관련기사2

  • 2022년 6월 24일 최종 시세는 68.66원
  • 2023년 3월 3일 최종 시세는 42.34원


2.1. 이집트 환전 사기 주의[편집]


영어권 여행 사이트이나 블로그에서는 대부분의 언급에서는 이집트 치안이 좋지 않은 관계으로 현지 사설환전소에서도 환전 사기가 나오는 추세이라고 한다.

가능하면 고액거래는 수수료가 비싸더라도 현지 은행에서 환전하거나 국내 시중은행에서 인터넷 주문하는 것이 좋다.

  • 바가지 환율: 구권 또는 소액권이라는 이유로 적은 환율 적용
  • 강도와 짜고 환전한 돈을 절도하는 행위 또는 낯선 음료에 수면제 타서 돈을 절도하는 행위
  • 이집트 현지에서 사용이 제한이 있는 지폐 또는 동전을 주는 행위
  • 화폐 개수기와 감별기 없는 환전소는 거래를 피하자 그곳은 인도네시아 발리 처럼 밑장빼기와 바가지 환율 행위가 있다.


3. 지폐[편집]



3.1. 1차[편집]


처음에는 앞면에 이집트의 마지막 국왕 파루크 1세의 초상이 있었으나 공화국으로 전환되면서 투탕카멘의 두상으로 교체되었다.


앞면
뒷면
파일:tutankhamun 25pt.jpg
25pt
(없음)
아부 알 아바 알 무르시 모스크
파일:tutankhamun 50pt.jpg
50pt
필레 신전
파일:tutankhamun LE1.jpg
LE1
파일:tutankhamun LE5.jpg
LE5
무함마드 알리 모스크
네일로스의 동상
파일:tutankhamun LE10.jpg
LE10
(없음)
카르나크 신전
파일:tutankhamun LE50.jpg
LE50
고대 유적
이집트의 도시 풍경
파일:tutankhamun LE100.jpg
LE100
미나렛
술탄 카이트베이 모스크
  • 25, 50피아스터와 10파운드 지폐는 나중에 추가되었다.

3.2. 2차[편집]


1961~1965년에는 발행주체가 바뀌면서 (국립은행→중앙은행) 발행한 시리즈로 전판보다 더 심심한 모습(뒷면 도안이 모조리 빠졌다.)으로 등장했다.

이때 환율은 상당히 높아서 LE 0.36/USD. (약 $2.78/LE)


도안
파일:attachment/이집트 파운드/egyptle01.jpg
25pt
이집트 국장
파일:attachment/이집트 파운드/egyptle02.jpg
50pt
파일:attachment/이집트 파운드/egyptle03.jpg
LE1
투탕카멘
파일:attachment/이집트 파운드/egyptle04.jpg
LE5
파일:attachment/이집트 파운드/egyptle05.jpg
LE10


3.3. 3차[편집]


1967년부터 1976년까지 사용된 시리즈.

도안들 거의 대부분이 4차와 동일한 소재이다.

3.4. 4차[편집]


1978년부터 등장한 시리즈. 시간이 지나면서 일부 권종의 개정판 및 보충판을 내놓았다.

앞면에는 현대 이슬람 이집트의 모스크를, 뒷면에는 고대 이집트의 문화 유산을 테마로 하는 규칙으로 도안을 그려넣고 있다.

구권
앞면
뒷면
파일:LE 10.jpg
LE10
알 리파이 모스크
카프레
파일:LE 20.jpg
LE20
메흐메드 알리 모스크
세누스레트 1세 신전 조각상, 파라오 전차
파일:LE 100.jpg
LE100
알 사이다 자이나브 모스크
투탕카멘의 가면

현행권
앞면
뒷면
파일:LE 1.jpg
LE1
술탄 카이트베이 모스크
아부심벨 대신전
파일:LE 5.jpg
LE5
이븐 툴룬 모스크
의인화한 나일강이 풍년을 기원하는 모습
파일:LE 10(2).jpg
LE10
알 파타 알 알림 모스크
하트셉수트 상, 알렉산드리아 도서관
파일:LE 20(2).jpg
LE20
전판과 동일
클레오파트라 상, 파라오 전차
파일:LE 50.jpg
LE50
아부 할리바 모스크
에드푸 신전
파일:LE 100(2).jpg
LE100
술탄 핫산 모스크
기자의 대스핑크스
파일:LE 200.jpg
LE200
카니 베이 모스크
고대 이집트 서기관상
  • 1파운드 지폐는 동전이 나온 후에도 함께 여전히 발행하고 있다.
  • 2007년 200파운드 발행당시 500파운드(당시 환율로 약 8만원)도 발행할 계획이었으나 시기상조라며 미뤄졌고, 인플레이션으로 인해 이전보다 4분의 1 수준으로 하락한 지금(약 2만원)도 발행하지 않고 있다.
  • 2020년 현물화폐의 발권과 유통비용 절감을 목적으로 폴리머 신권을 예고했고 이듬해 후반기에 모습 공개, 그리고 2022년부터 발행을 시작하고 있다.[3]


3.5. 코인노트[편집]



앞면
뒷면
파일:attachment/이집트 파운드/egyptle400.jpg
5pt
네페르티티
숫자 5
파일:62ca8ac8248fb2.85627776-original.jpg
10pt
기자의 대스핑크스기자의 대피라미드
무함마드 알리 모스크
파일:C74702_f.jpg
25pt
알 사이다 아이샤 모스크
이집트의 국장
파일:attachment/이집트 파운드/egyptle102.jpg
50pt
알 아즈하르 모스크, 아즈하르대학
람세스 2세 조각상
  • 5, 10피아스터 지폐는 과거 동전 생산이 어려울 때 이를 대신하는 역할로 발행되었으며 너무 낮은 가치라 현재는 별로 볼 일은 없다.
  • 25, 50피아스터 지폐는 각각 2008년, 2017년까지 발행되었으며 이후에도 동전과 같이 병행 사용 가능하다. 다만 50파운드권을 50피아스터권으로 바꿔치는 사기가 일부 있으니 주의하자. 사례(본문 3번)


4. 동전[편집]


파일:Egyptian 3 Coins.jpg

현재는 25, 50피아스터와 1파운드 3종만 통용된다.

5. 둘러보기[편집]



파일:이집트 국기.svg
{{{#!wiki style="display:inline-flex; vertical-align:middle; text-align: left"
이집트
관련 문서

<^|1><height=34><color=#000,#fff><bgcolor=#FFF,#1f2023>
[ 펼치기 · 접기 ]

}}}



[1] 표준 아랍어 발음은 주나이흐 마스리.[2] 스코틀랜드, 북아일랜드 제한적 환전 가능[3] 여담으로 20파운드 폴리머권 도안이 처음 공개되었을 당시 투명창 안의 모스크 문양이 무지개색이라는 이유로 큰 반발이 일어났는데 다름아닌 LGBT의 대표적 상징이라는 것이 이유였다. 아무리 이집트 이슬람이 세속적인 하나피파 기반이라도 반LGBT 성향이 강하기 때문. 결국 청색으로 수정되었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