몽골 투그릭

덤프버전 :

분류








Төгрөг / Tögrög
ᠲᠥᠭᠦᠷᠢᠭ / Tugrik[1]

파일:Mongolbank_logo_eng.png

1. 개요
2. 환전과 환율
3. 시리즈
3.1. 1기 (1차)
3.2. 1기 (2차)
3.3. 1기 (3차)
3.4. 1기 (4차)
3.5. 2기 (5차, 현행권)
3.5.1. 소액권들
4. 둘러보기



1. 개요[편집]


몽골의 통화. ISO 4217 코드는 MNT이며, 기호는 ₮이다. "투그릭"의 뜻은 흔히 화폐단위로 쓰는 말하는 圓(둥글 원)과 같은 둥글다이다. 현지 발음은 툭룩에 가깝게 발음한다.

보조단위로 "1투그릭 = 100뭉그(ᠮᠥᠩᠭᠦ, мөнгө)"[2]가 있지만... 몽골인플레이션이 그래도 꽤 가파른 수준(연 16~17%)이기 때문에 뭉그에 해당하는 단위는 일찌감치 없어졌으며, 뭉그 단위의 동전과 지폐는 그저 관광객들한테 팔리는 신세로 전락했다.

은행에서 막 나온 빳빳한 새 지폐가 아닌 이상 위생이 굉장히 안좋은 종이다발로 인식하는 것이 좋다. 현지 위생상황에 익숙한 몽골인들이면 몰라도 관광객이 맨손으로 만졌다면 반드시 비누로 손을 씻는 것이 좋다. 돈을 만지고 난 직후 식사를 하는 것은 피하는 것을 추천. 몽골인들도 어린아이들에게 돈을 만지지 못하게 하는 경우가 많다.


2. 환전과 환율[편집]


원화 기준으로는 2010년까지만 해도 거의 0.8~0.9원/₮(환전수수료를 감안하면 사실상 1:1)이었다. 이 때는 가격표에 1,000투그릭이면 한국돈 가치로 1,000원이었던 셈이다. 그 때는 환율 계산하기가 굉장히 편했다.[3]

2023년 9월 기준으로 투그릭당 현금 팔때 기준으로는 0.29 ~ 0.3원대.

과거 2013년에는 천원에 1,477.35투그릭이었으나 2023년 9월 11일 몽골 시간으로는 천원당 2,600.25투그릭이다.

최고치는 2023년 6월 천원당 2,894.7투그릭이 나왔다.

2010년경 해도 미국 1달러당 1,357투그릭이었으나 2023년 9월 미국 1달러당 3,472.3투그릭.

유로화의 경우 2013년에는 1유로당 2,273.64투그릭이었으나 2023년 9월 기준으로 3,715.24투그릭.

일본 엔의 경우 천엔당 17,186.7투그릭이었으나 2023년 9월 기준으로는 천엔당 37,152.4투그릭.

높은 인플레이션, 외채 증가, 시중은행 연체률 증가 및 부실 대출 증가 등의 이유로 10년 동안 3배 가까이 폭락했다.

환전은 2012년 7월 초부터 KEB하나은행에서 환전이 가능해졌지만 몽골 경제 사정 및 화폐 수급의 불안정성 등으로 인하여 2018년 6월부터 시중은행에서의 환전이 중단되었다. 하지만 KEB하나은행에서는 비고시 추심을 국민은행 및 신한은행 서울시내 지점, 공항지점[4], 몽골인들이 많은 지역의 일부 사설환전소에서는 고객이 투그릭이 갖고 있다면 매도 가능, 투그릭 매수 불가[5]

몽골에서도 대한민국 원화, 러시아 루블이 환전이 가능하다.

  • 몽골 시중은행, 환전소에서 환전이 가능한 통화 목록

목록에 있더라도 일부 시중은행,사설환전소에서만 가능하다.


  • 아시아: 중국 위안, 일본 엔, 한국 원, 싱가포르 달러, 홍콩 달러, 태국 바트
  • 오세아니아: 호주 달러, 뉴질랜드 달러
  • 유럽: 유럽 유로, 러시아 루블, 영국 파운드[6], 스위스 프랑, 스웨덴 크로나, 튀르키예 리라
  • 아메리카: 미국 달러, 캐나다 달러

3. 시리즈[편집]


오랫동안 공산권 국가로 남아있었기에, 개혁을 해야 할 정도로 큰 변화는 보이지 않았다. 하지만 1992년 민주화, 자본화되면서, 상당한 인플레이션을 겪게되어 단위가 크게 커져버린 경우이다.[7] 크게 몽골인민공화국시절(1기)과 현대몽골(2기)의 2가지로 구분한다.

3.1. 1기 (1차)[편집]


모든 액면이 색깔만 다른 공통도안이다. (소욤보 도안)

1925년 소련 루블을 대체하여 1:1의 비율로 도입되었다. 당시는 18g을 1 투그릭으로 했었다. 즉 은본위제화폐. 하지만 1928년 몽골의 정식 법정화폐가 된 뒤에 은본위제는 폐지되었다. 연도가 몽골력으로 표기되어 있는 유일한 시리즈이다. (몽골력 15년)

소련 루블을 대체하기 위한 통화라, 시스템을 그대로 이어받아 8가지가 똑같이 출시되었다. 단, 3루블 대신 2투그릭을 넣었다는게 차이점이라면 차이점. 심지어 인쇄한 곳도 과거 종주국인 소련이다.

  • 갈색: ₮1, ₮100
  • 녹색: ₮2, ₮10, ₮50
  • 청색: ₮5
  • 적색: ₮20
  • 자색: ₮25

동전은 크게 3부류로 나뉜다.

  • 고액권: ₮1 / 50뭉그 (은 90%)
  • 중액권: 20뭉그 / 15뭉그 / 10뭉그 (은 50%)
  • 저액권: 5뭉그 / 2뭉그 / 1뭉그 (구리 100%)

그리고 이 구성이 3차까지는 거의 바뀌지 않는것도 특징. 참고로 지금 이 시리즈를 구하는 것이 무진장 만만치 않다.

3.2. 1기 (2차)[편집]


1937년, 몽골력 27년에 동전부터 도입되었다. 전반적으로 기존 동전과 같지만, 성분을 바꾸어 중액권을 백동으로, 저액권을 알루미늄과 청동을 사용하였다. 이 시리즈부터 더 이상 은을 연관짓지 않게 된 점에 있어 최초의 현대화폐로 볼 수 있다. 지폐는 2년 후인 1939년, 몽골력 29년에 도입되었고, 몽골의 독립영웅인 담딘 수흐바타르가 그려진 첫 지폐이기도 하다. 1941년, 몽골력 31년에 소욤보에서 몽골인민공화국의 국장으로 문양이 바뀌었다. (동전은 4년 후에 바뀌었다.) 그리고 25투그릭이 자색에서 갈색으로 바뀌었다.

3.3. 1기 (3차)[편집]


1955년에 도입되었다. 이때부터 몽골력을 사용하지 않게 되었다. 25투그릭이 앞은 파랑, 뒤는 갈색인 화려한(?) 버전으로 바뀐게 그나마 눈에 띄는 변화. 동전은 4년 후인 1959년에 교체되었다. 죄다 무게가 가벼운 알루미늄으로 바뀐 것이 특징. 말 타다가 잘 떨어트리라고 말이다.

그리고 여기까지 발행된 지폐와 동전, 모두 4차 시리즈가 등장하면서 전량 폐기 및 사용이 금지되었다. (단, 중국산 동전은 1990년까지 사용이 가능했었다.)

3.4. 1기 (4차)[편집]


1966년에 도입되었다. 전면적으로 체계를 바꾸었음과 동시에, 몽골인민공화국의 마지막 시리즈이다. 동전은 4년 후인 1970년에 발행되었다. 이 시리즈의 고액권은 사상 처음으로 그림도안이 들어가게 된 시리즈이기도 하다. (참고로 그 그림은 총독부.)

1981년에 개정판을 내놓았는데, 사실상 색깔만 차이가 날 뿐이다. 하지만 25투그릭이 없어지고 20투그릭(산업관련 도안)이 새로 생겼다. 그리고 1993년, 자본주의를 도입하면서 한 번 더 큰 개혁을 시도하였다.

3.5. 2기 (5차, 현행권)[편집]



파일:ᠲᠥᠭᠦᠷᠢᠭ-1.jpg
저액권 공통(₮5 ~ ₮100)
담딘 수흐바타르
파일:ᠲᠥᠭᠦᠷᠢᠭ-2.jpg
고액권 공통(₮500 ~ ₮20,000)
칭기즈 칸

1993년에 처음 도입되었고, 2000년부터 2003년에 걸쳐 개정판 및 고액권을 내놓았다. 단, 20,000투그릭은 2006년에 첫 발행.

파일:ᠲᠥᠭᠦᠷᠢᠭ-3.jpg
₮5~100
말이 풀 뜯어먹는 모습
파일:ᠲᠥᠭᠦᠷᠢᠭ-4.jpg
₮500&1,000
이동하는 중인 게르
파일:ᠲᠥᠭᠦᠷᠢᠭ-5.jpg
₮5,000&10,000
카라코룸
파일:ᠲᠥᠭᠦᠷᠢᠭ-6.jpg
₮20,000
아홉 개의 흰 말총 영기

이 중에서 실제로 쓰이는건 10투그릭까지만이고 5투그릭과 1투그릭은 거의 쓰이지 않는다. 몽골은 한국과 달리 가게에서 물건을 사면 영수증에 1단위까지 찍혀 나온다. 보통 반올림해서 10단위로 계산하긴 하지만, 대형 슈퍼마켓에서는 진짜 드물게 1단위까지 계산해서 잔돈을 거슬러 주는 경우도 있다. 보통 그런 경우는 남아있는 5,1투그릭 짜리를 없애려고 주는 경우. 보통 5,1투그릭은 유통이 거의 안되며 올란바토르 국영 백화점 같은 곳에서나 받아 볼 수 있다. 받아봐야 가치도 없지만 받게 된다면 십중팔구 은행에서 바로 나온 빳빳한 새 돈을 받게 된다.

동전은 1년 후인 1994년에 등장하였다. 그런데 이게 매우 비범한 것이, 지폐가 1투그릭부터 시작한 것에 비해, 동전은 20투그릭부터 시작한다. 그러나 거의 쓰질 않는다. 본격 몽골여행 네이버 웹툰 한 살이라도 어릴 때에서도 "동전을 사용하지 않아요. 한국 돈으로 10원짜리도 지폐더군요."라고 공언했을 정도니.

200(총독부)/100(잔라이식 사원)투그릭은 백동, 50/20투그릭은 알루미늄 재질이며, 뒷면에 소욤보가 그려진 것이 공통점. 2001년에 500투그릭 동전이 새로 만들어졌다. 다만 이건 어째선지 앞면이 소욤보고 뒷면이 쑤흐바타르.
  • 참고로 몽골의 2011년 기준 물가는 다음과 같으며, 2023년 2월 기준으로도 다를 수 있으므로 확인불가 [8]
(1kg 기준) 돼지 ₮6,000, 닭 ₮4,900, 소고기 ₮4,800, 양고기 ₮4,300, 낙타고기 ₮4,200, 염소고기 ₮3,700, 말고기 ₮3,600, 감자 550~800₮, 당근 ₮500... [9][10]


3.5.1. 소액권들[편집]


파일:56376_A.jpg
1투그릭만 독특한 표정의 사자가 그려져 있다. 중앙은행의 설명으로도 "Lion"이라 썼으니 일반적으로 말하는 그 사자가 맞긴 맞는것 같은데... 아무리 봐도 전설의 동물처럼 생겼다. Lion 아니면 딱히 설명할 말이 없다. 타이곤도 아니고,[11]

파일:mongo notes.jpg
1투그릭 이하의 뭉그 단위 지폐도 등장하긴 했는데... 값이 저렴하여 현지인보다도 수집가들이 넘쳐날 정도로 많이 갖고있는 지폐로도 유명하다. 그냥 보면 그냥 활쏘기 놀이(10뭉그), 어깨동무하기(20뭉그), 말타기 놀이(50뭉그)로 보이겠지만 실은 이 세 가지는 몽골의 나담축제[12]때 벌어지는 남자들의 민속 3종 경기이다. 저 어깨동무의 정체는 몽골씨름.

참고로 1투그릭의 화폐 가치는 한국에서는 아예 사용도 못하는 1원 주화보다 더 낮은데, 1투그릭=0.38원이다.


4. 둘러보기[편집]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 펼치기 · 접기 ]



[1] 전자(Tögrög)는 현대 몽골어 표기, 후자(Tugrik)는 고전몽골문자 표기. '투그릭'은 고전몽골문자 표기를 옮긴 것인데, 고전몽골문자는 현대몽골어의 실제 발음과 많은 차이가 있다. 현대 몽골어에선 'ө'가 실제론 ㅜ도 ㅓ도 ㅡ도 아닌 묘한 발음이 나긴 하지만 대충 발음이 '툭룩/투그룩'으로 난다.[2] 몽골어로 이라는 뜻이다.[3] 전세계적으로 한국처럼 돈 단위가 몇천 몇만 몇십만은 우습게 찍을만큼 큰 나라가 많지 않다.[4] 신한은행 어플에서 최소 300미국 달러 어치에 해당하는 100만 5천 투그릭을 신청해서 서울 시내전역 및 인천공항 에서 1주 기다린 후 수령하는 방법이 있다. 이 경우 사기를 당할 염려가 전혀 없으나 환율 우대 같은게 없다.[5] 즉, 해당 은행 및 사설환전소에서는 투그릭 지폐를 갖고 있어도 특별한 경우가 아닌이상 고객에게 팔지 않는다는 의미이다.[6] 잉글랜드 발행권만 가능[7] 러시아불가리아 등의 몇몇 동구권 공산 국가들도 자본주의 채택 이후에 인플레이션을 겪으면서 화폐개혁을 해야 했다.[8] 출처 : http://urajilator.tistory.com/610[9] 가격이 4GB기준으로 약 20,000₮, 한국 돈으로 약 8,800원이다. 한국에서는 이 가격으로 64GB USB를 살 수 있다. 중국산 USB를 팔거나, 소니 CD케이스에 중국산 CD를 넣어서 파는 가게도 있으니 조심. 아닌 곳도 많다.[10] 하지만 싼 건 고기, 감자 밖에 없다.[11] 전설의 동물 친테라는 이야기도 있다.[12] 매년 7월 11일~13일에 개최되는 명절 겸 축제로 몽골 전역에서 개최된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