류상운

덤프버전 :



조선 영의정

인조 ~ 경종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960420, #b82642 20%, #b82642 80%, #960420); min-height: 31px; color: #fff"
[ 펼치기 · 접기 ]


제101·102대

이원익

제103대

윤방

제104대

신흠

제105대

오윤겸

제106대

윤방

제107대

김류

제108대

이홍주

제109대

최명길

제110대

홍서봉

제111대

이성구

제112대

최명길

제113대

신경진

제114대

심열

제115대

홍서봉

제116대

김류


제117대

홍서봉

제118대

김류

제119대

김자점



제120대

이경석

제121대

이경여

제122대

김육

제123대

정태화

제124대

김육

제125대

이시백

제126대

김육

제127대

이시백


제128대

정태화

제129대

심지원

제130대

정태화



제130대

정태화

제131대

홍명하

제132대

정태화

제133대

허적

제134대

정태화

제135대

허적

제136대

김수흥

제137대

허적



제137대

허적

제138대

김수항

제139대

남구만

제140대

김수흥

제141대

여성제

제142대

권대운

제143대

남구만

제144대

류상운

제145대

서문중

제146대

최석정

제147대

서문중

제148대

최석정

제149대

신완

제150대

최석정

제151대

이여


제152대

서종태

제153대

이유

제154대

서종태

제155대

김창집





류상운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조선 영의정
충간공(忠簡公)
류상운
柳尙運


파일:a2a4ed921540843262769.jpg

출생
1637년 1월 17일
(음력 1636년, 인조 14년 12월 22일)
전라도 나주목
사망
1707년 12월 27일 (향년 70세)
(음력 숙종 33년 12월 4일)[1]
시호
충간(忠簡)
본관
문화 류씨

유구(悠久)

약재(約齋), 누실(陋室)
부모
부친 - 류성오(柳誠吾, 1608 ~ 1674)
모친 - 반남 박씨 박동량(朴東亮)의 딸
부인
전의 이씨(1637 ~ ?)[2]
자녀
5남 1녀
장남 - 류봉서(柳鳳瑞, 1654 ~ 1699)
차남 - 류봉휘
장녀 - 용인 이씨 이세최(李世最)의 처
3남 - 류봉일(柳鳳逸)
4남 - 류봉협(柳鳳協)
5남 - 류봉채(柳鳳采)

1. 개요
2. 본문
3. 기타



1. 개요[편집]


조선문관 관료. 서인 계열이며 소론으로 활동하였다.


2. 본문[편집]


송준길의 문인이다. 현종문과에 급제하여 사간원 대사간, 승정원 도승지, 평안도 관찰사, 호조판서, 공조판서, 이조판서, 우의정, 좌의정을 거쳐 영의정을 역임하였다.

1663년 서필원송시열이 대립한 공의/사의 논쟁 당시 태학생 시절이었는데, 이 당시 서필원 탄핵을 저지한 일로 비방을 받아 과거 급제 후에도 춘추관에 천거되거나 전랑(銓郎)에 임명되지 못했으며 산림계에게 삼간(三奸)으로 비판받았다. 무고의 옥 당시 장희빈을 살려줄 것을 간청하기도 했다.


3. 기타[편집]


모친은 박동량의 딸이며 서필원의 사돈인 박세교와 외사촌이다. 아들인 류봉휘도 좌의정과 우의정을 지내어 부자가 모두 정승을 지낸 케이스이다.

서울특별시 강남구 율현동(栗峴洞)은 밤나무가 많아서 밤고개(栗峴)라는 이름에서 유래됐는데, 그 밤나무를 심은 인물로 전해진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6 04:38:45에 나무위키 류상운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세는나이 72세.[2] 중종의 6녀 의혜공주의 고손녀. 의혜공주한의 → 한사덕 → 이행원의 처 한씨 → 이씨부인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