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부(클래시 로얄)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클래시 오브 클랜의 광부에 대한 내용은 광부(클래시 오브 클랜) 문서
광부(클래시 오브 클랜)번 문단을
광부(클래시 오브 클랜)#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유닛 카드 ]




[ 타워 유닛 카드 ]
일반 카드
파일:빈 256x244 이미지.webp
타워 프린세스



[ 삭제된 카드 ]
희귀 카드
파일:clash royale-heal.png
치유 마법



1. 개요
2. 레벨별 스탯
3. 성능
3.1. 장단점
4. 변천사
5. 업데이트 내역
6. 카운터 카드
7. 기타
8.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광부
Miner

掘地矿工/ディガー

파일:clash royale-miner.png
이 카드가
잠금 해제되는 아레나
파일:electroarena.png
아레나 11
일렉트로 아레나

광부는 땅을 파고 이동해 아레나 어디에서든 나타날 수 있습니다. 마법이 아니라 삽질의 힘이죠.

The Miner can burrow his way underground and appear anywhere in the Arena. It's not magic, it's a shovel.


공격 속도
파일:클래시 로얄 공격 속도.png
공격 대상
파일:클래시 로얄 공격 대상.png
속도
파일:external/8ddd15b94f75b0dc7e3c914385323411781c75dff7c3710fb48c5aae98824acc.png
사정거리
파일:클래시 로얄 사정거리.png
배치 시간
파일:external/vignette3.wikia.nocookie.net/DeployTime.png
엘릭서 비용
파일:클래시 로얄 엘릭서.png
희귀도
파일:external/vignette1.wikia.nocookie.net/RarityIcon.png
유형
파일:external/vignette2.wikia.nocookie.net/CardTypeIcon.png
1.2초
지상
빠름
근접:중거리
1초[1]
3
전설
유닛

2016년 5월 3일에 출시된 전설 카드. 아레나 11에서 해금된다.


2. 레벨별 스탯[편집]


레벨
파일:external/vignette1.wikia.nocookie.net/LevelIcon.png
체력
파일:external/4060f7343758ccdcad3dcb1dfe716461c7841e4d9e66d0aaba611395157335ca.png
피해량
파일:external/ac45f84e3f8bd8dabe18e7f8febaedd796f79cbfdaba469be9b3282075cee8b7.png
초당 피해량
파일:external/2b5a0fc495c16be4c93c4457da9e358d077d236c2b3cbbdf9ce68870e2edc4fc.png
크라운 타워 피해량
파일:external/vignette2.wikia.nocookie.net/Crown_tower_damage.png
9
1000
160
133
40
10
1100
176
146
44
11
1210
193
160
49
12
1330
212
176
53
13
1460
233
194
58
14
1600
256
213
64
15(엘리트)
1760
281
234
71

3. 성능[편집]


능력치만 보면 기사의 완벽한 하위호환격이라서 이게 무슨 전설 유닛인가 싶지만 이 유닛의 진가는 아레나 어디에든 소환이 가능하다는 것으로, 소환 시 두더지처럼 땅을 파고 지정한 위치에 나타난다. 단, 마법과 마찬가지로 크라운 타워에 입히는 피해량은 일반 피해량의 25%이다. 100%였다면 벨붕

저렴한 코스트에 스탯도 준수하고 아레나 어디에든 소환할 수 있기 때문에 활용도가 높으며, 거의 모든 카드와의 조합도 좋다. 대체로 기동성이 높은 저코스트 위니 유닛과 같이 쓰이며, 보통 광부를 타워에 붙여서 탱을 세운 다음 위니 유닛을 보내는 식으로 운용한다. 마법은 주로 코스트 대비 피해량과 범위가 넓고 광부가 공격받는 동안 피해를 지속적으로 줄 수 있는 독 마법을 사용한다. 쉽게 막힌다는 단점이 있긴 하지만 낮은 평균 코스트를 바탕으로 한 덱의 빠른 회전력으로 이를 커버하게 되며, 지속적으로 공격과 수비를 하다가 상대방의 덱이 꼬이면 그 기회를 노린다. 그리고 알다시피 위니 유닛은 타워에 프리딜을 많이 넣게 된다.

그 외에 주력으로 사용하지 않더라도 다용도 서브 탱커로 채용하기도 한다. 삼총사 덱에서 삼총사가 다리를 건너오기 전에 타워 근처에 나타나 공격을 대신 받아주거나, 빅덱에서 자신의 탱커를 공격하는 상대방의 딜러를 막거나, 실피가 남은 위니 유닛을 보조해 주는 등 다양한 덱에서 쓸 수 있다.

이렇듯 활용도도 높고 거의 모든 카드들과의 조합도 좋아 출시 직후부터 채용률 상위권을 놓친 적이 없으며, 한때는 높은 효율과 범용성을 모두 갖춘 전설 카드인 광부, 프린세스, 얼음 마법사를 전설 3대장이라고 부르기도 했다. 다른 둘은 엄청난 능력을 갖춘 새로운 카드들이 등장하고 메타가 변하면서 잠깐씩 메타 밖으로 밀려난 적이 있지만, 광부는 그런 적이 한번도 없고 꾸준히 좋은 평가를 받고 있는 카드 중 하나이다.

광부를 사용할 때 유의할 점은 엘릭서 관리와 공격 타이밍이다. 이리저리 들여다봐도 훌륭한 카드지만 무작정 꺼내면 타워에 딜도 넣지 못하고 되려 3엘릭서만 허공에 날리는 꼴이 되므로 자신의 연계 카드와 상대방의 카드를 꼼꼼히 머릿속에 저장해야 한다. 특히 프린세스, 박쥐 같은 유닛과 같이 쓰면 엘릭서가 많이 소모되는데다가 상대방의 역공에 대비하기 힘들어지기 때문에 언제 찌를 것인지에 대해서도 잘 생각해야 한다.

광부를 막을 때[2]는 상대의 광부가 땅 밖으로 나오는 타이밍에 맞추어 유닛을 보내면 된다. 다만, 위니 유닛은 광역 마법에 쉽게 죽으므로 조심해야 하고, 상대방이 광부를 탱으로 세우고 타워에 딜을 넣으려 하는 다른 상대방의 유닛은 다른 유닛, 건물, 마법으로 막아야 한다. 만약 엘릭서가 부족하다면 후방 딜러를 먼저 제거하는 것이 좋다. 상술했듯이 광부는 크라운 타워 피해량이 낮기 때문.

보통 광부는 타워 딜 누적용으로 쓰는 경우가 많아 광부가 오면 보통 크라운 타워/엘릭서 정제소 등의 옆에 유닛을 놓는 경우가 많다. 이를 이용해 광부를 다리를 건너오는 유닛을 막기 위해 쓰거나 하면 상대방의 엘릭서 손해를 이끌 수 있다. 또한, 광부가 지나가는 경로 위에 있는 지상 유닛은 조금 밀리게 된다. 이 밀리는 효과에는 마비처럼 공격 초기화 효과가 있지만 스파키의 충전을 초기화시키는 못한다. 도끼맨의 스턴 효과와 같은 원리다.


3.1. 장단점[편집]


장점
* 제한이 없는 배치
광부의 아이덴티티. 모든 유닛 중 유일하게 아레나 어디에든 소환할 수 있으며, 나중에 출시된 유사한 카드 고블린 드릴과 달리 이동 속도가 빠른 데다가 위치를 예측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광부를 잡기가 쉽지 않다.

* 준수한 스탯과 뛰어난 원딜러 암살 능력
타워에 붙어서 반확정 공격을 하는 대신 크라운 타워 피해량이 낮지만 광부가 프린세스 타워를 총 53번 공격할 시 프린세스 타워가 파괴된다. 고일대로 고인 최상위권에서는 자주 채용되며, 일반 랭겜에서도 10, 11레벨 광부는 공격 하나하나가 강력한 편이다. 동레벨 기준 광부는 프린세스 타워를 총 7번 공격하며, 도전 레벨 기준 406의 피해를 줄 수 있다. 게다가 저렴한 비용으로 패를 순환시켜서 계속 꺼내다 보면 어느샌가 상대의 타워가 파괴되는 것을 볼 수 있다. 또한 광부의 피해량은 도전 레벨 기준 193으로 감전 마법 수준이며 3코스트 치고는 의외로 높은 편이다. 프린세스는 2방 만에 암살할 수 있고, 머스킷병, 마법사도 3방+감전(4방)으로 처리할 수 있다.[3] 그렇기 때문에 광부는 타워 공격용뿐만 아니라 타워 옆에서 안전하게 수비하는 딜러들을 카운터치는 용으로 쓸 수도 있다. 체력또한 높아서 동렙 번개에도 안죽는다.[4]

* 위의 장점들로 인한 다재다능함 및 높은 범용성
광부를 주력으로 사용하는 광독 덱부터 프린세스 타워의 공격을 대신 받아주는 서브 탱커, 탱커가 몸을 대주는 동안 피해를 계속 누적시키는 서브 딜러, 꼭 프린세스 타워를 공격할 필요 없이 상대방의 아레나의 딜러 유닛과 건물을 공격할 수도 있고, 여차하면 자신의 아레나에 소환해서 수비 유닛으로 사용하기까지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다. 이 점 덕에 고블린 통과 같이 보내면 엄청난 딜을 누적시킬 수 있다.

단점
* 낮은 크라운 타워 피해량
광부 특성상 어쩔수 없지만, 크라운 타워를 쉽게 공격할 수 있는 유닛이라서 크라운 타워 피해량이 낮다. 거기에다 프린세스 타워에 배치될 유닛들을 미리 견제해야 하고 소환 위치를 다르게 해야 하는 등 공격에 실패할 가능성이 높다. 손이 미끄러지지 않는 이상 100% 크라운 타워에 데미지를 주는 마법 카드에 비해 위험성이 높은 편이다.

* 킹 타워 작동의 여부
항상 처음에 광부를 보낼 때는 킹스 타워와 거리를 최대한 두고 크라운 타워 대각선 아래쪽에 소환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그 이유는 토네이도나 거대 눈덩이 때문에 킹스 타워가 작동할 수 있기 때문이다. 킹스 타워가 작동하면 보통 크라운 타워를 목표로 하는 광부 입장에서는 불리해진다. 그래서 크라운 타워 대각선 아래쪽으로 보내야 하는데, 문제는 상대방도 그것을 알고 광부가 오는 방향을 예측하기 때문이다. 정석적인 위치에 보내면 예측당하기 쉽고, 그렇다고 다른 곳으로 보내면 토네이도나 거대 눈덩이에 의해 킹스 타워로 끌려갈 수 있다. 그러므로 광부를 타워의 다른 위치로 보내고 싶다면 상대방의 덱에서 토네이도나 거대 눈덩이가 빠졌을 때 들어가거나 상대방의 덱에 토네이도나 거대 눈덩이가 없다는 확신이 들었을 때 들어가는 것이 좋다.


4. 변천사[편집]


덱 구성에서의 약칭은 .

2016년 5월 패치로 체력이 6% 증가하였다. 운용법이 정립되기 전이라 채용률이 낮았던 것이 이유이다. 이 패치 이후로 얼마 지나지 않아 운용법이 정립되고 채용률이 급상승했다.

2016년 7월 잠수함 패치로 배치 시간이 0.3초 줄어들었다. 안 그래도 강력한 모습을 보였는데 오히려 상향하는 실수를 저지른 것이다. 이에 유저들의 항의가 빗발쳤는데, 특히 해당 패치 당시에는 전설 카드를 얻는 난이도가 매우 어려웠기 때문에 광부를 얻은 유저는 많지 않아서 유저들의 반발이 심했다. 결국 며칠 후 한 개발자가 포럼에 사과글을 올리고 다음 밸런스 패치 때 롤백하기로 했는데, 다시 잠수함 패치로 빠르게 롤백시킬 생각은 하지 않고 굳이 다음 패치 때 롤백시키겠다고 해서 그 동안 광부가 없는 유저들은 피해를 보게 되었다.

2016년 8월 패치로 배치 시간이 원래대로 돌아오고 체력이 6% 감소하였다. 사실상 스탯이 출시 당시로 되돌아간 셈이다.[5]

그럼에도 불구하고 패치 직후 10월 전까지 전체 카드 중 8위, 전설 카드 중 채용률 1위를 달성했었다. 2016년 10월 20일 패치 이후 해골 군대의 채용률이 높아지면서 통나무와 프린세스의 채용률이 많이 높아져서 전설 카드 중 채용률이 3위로 떨어지긴 했지만 여전히 인기 있는 카드였다.

2017년 1월 패치로 감전 마법의 피해량이 낮아지면서 고블린 통의 간접 상향과 하드 카운터들의 하향으로 광부 덱이 메타의 주축이 될 가능성이 높았지만 오히려 예전보다 인기가 식었다. 광부 덱이 많이 보이는 만큼 광부 덱에 많이 들어가는 위니 유닛을 잡기 위해 도끼맨을 쓰게 되었는데, 그 때문에 광부 덱은 인기가 별로 좋지 않은 편이고 빅덱의 채용률이 호그 라이더+광부 덱의 채용률이 낮아진 것을 틈타 조금 높아졌다. 2/13 패치로 도끼맨이 하향되어서 조금은 입지를 되찾게 될 것으로 보였지만 그 후 도끼맨이 다시 상향되었다.

이로 인해 2018년 중반기까지 광부는 하향세를 탔다. 극카운터 카드인 도둑이 메타에 떠올랐기 때문. 여전히 괜찮은 카드 중 하나이지만 이전처럼 3대장이라고 불리지는 않는 편이다. 당시 전설 카드들 중 제일 좋은 평가를 받은 3인방은 일렉트로 마법사, 암흑 마녀, 무덤이었다.

다행히 2017년 8월 11일 패치 이후로 광부의 인기가 다시 높아졌다. 먼저 박격포의 설치 시간이 3.5초로 줄고 박쥐도 유닛 소환 수가 4마리에서 5마리로 느는 등 광부와 궁합이 좋은 카드들의 상향으로 광부의 앞날이 밝혀졌으며, 메가 나이트가 등장한 이후 천상계에서 메광독 덱에 도둑을 넣은 덱이 많이 쓰인다.

2018년 하반기 시즌 전설 카드들과 광부와 같이 쓰이는 카드들이 너프를 먹어 쓰기가 애매해지는 와중에도 광부는 상향되지도, 하향되지도 않고 간단하면서도 강력한, 그러나 사기적이지는 않은 성능[6]을 보이며 여전히 여러 덱에 채용되고 있으며, 특히 위니 유닛 위주의 덱에 많이 채용되고 있다.

2019년 상반기와 9~10월 시즌에도 광부는 여전히 잘만 쓰이고 있다. 메타를 가리지 않고 어느 때나 잘만 쓰이는 사실상 유일한 전설 카드로 활약하고 있다.[7]

그러던 중 2020년 1월, 드디어 그랜드 도전 채용률 1위를 달성했다. 로켓병이 들어간 광부 덱도 짧게나마 꽤나 큰 인기를 끌었으며, 여러 덱에 채용되면서 채용률이 하늘을 찌른 것이다.

결국 2020년 3월 패치로 크라운 타워 피해량이 35%로 감소하였다. 하지만 체력은 여전하고, 광부와 자주 조합되던 해골 돌격병과 마법 아처는 너프를 피해가서 채용률이 약간 낮아졌을지언정 여전히 자주 쓰인다.

이후 2020년 8월 패치로 크라운 타워 피해량이 30%로 감소하였다. 40%였던 시절뿐만 아니라 35%였던 시절에 비해서도 많이 감소했기 때문에 확실한 타격을 입었다. 12월 초반 그랜드 도전 기준 10%대로 나름 준주류급 카드에 속하긴 하지만 채용률이 20%도 훌쩍 넘어간 과거에 비해 입지가 크게 낮아졌다. 물론 광부는 유닛과 같이 타워에 딜을 넣는 식으로 운용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고인이 된 것은 아니다.

2022년 5월 현재도 그랜드 픽률 22위, 승률 56%라는 준수한 성적을 내고 있다. 이후 2022년 6월 3일에는 그랜드 도전 픽률 1위를 달성하는 등 현재도 좋은 카드라는 평가를 받는다.

2023년 상반기에도 훌륭한 실적을 보여주었고 진화 업데이트 이후에도 여전하다.[8]

5. 업데이트 내역[편집]


  • 2016/5/18 패치로 체력이 6% 증가하였다. (버프)
  • 2016/7/4 배치 시간이 0.3초 감소하였다. (잠수함 패치, 버프)
  • 2016/8/24 패치로 배치 시간이 0.3초 증가하고 HP가 6% 감소하였다.[9] (너프)
  • 2018/6/20 패치로 해금 위치가 아레나 6에서 아레나 4로 변경되었다.
  • 2020/3/2 패치로 크라운 타워 피해량이 일반 피해량의 40%에서 35%로 감소하였다. (너프)
  • 2020/8/4 패치로 크라운 타워 피해량이 일반 피해량의 35%에서 30%로 감소하였다. (너프)
  • 2021/고블린 드릴의 출시 이후 패치로 배치 시간이 감소한 것으로 보였으나, 이는 고블린 드릴과 같이 사용할 경우 오히려 느려지는 버그 때문인 것으로 드러났다.[10]
  • 2022/10/26 패치로 해금 위치가 아레나 4에서 아레나 11로 변경되었다.
  • 2023/4/4 패치로 크라운 타워 피해량이 일반 피해량의 30%에서 25%로 감소하였다. (너프)

6. 카운터 카드[편집]


스탯이 어정쩡한 올라운드 유닛 특성상 베이비 드래곤과 같이 어그로를 끌지 못하면서 공격력이 낮은 유닛이나 원딜러를 제외하고는 거의 모든 유닛이 카운터이다. 공격력과 체력이 높은 유닛에게 쉽게 카운터당하며, 물량 유닛에게 죽거나 어그로가 끌려 타워를 제대로 공격하지 못할 수도 있다. 다만, 광부가 딜을 더 많이 넣을 수 있게 하기 위해 마법을 쓰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위니 유닛으로 막을 경우 조심해야 한다.

  • 도둑: 광부 소환 이펙트가 나올 때 미리 배치하면 광부 소환 위치에 관계없이 질주로 광부를 공격하며 어그로를 끌기에 특히 어렵다. 체력도 낮지는 않아서 독으로 처리하기도 난감하다.
  • 토네이도, 거대 눈덩이: 광부를 킹스 타워와 가깝게 배치한 경우 그대로 끌어들이거나 밀쳐서 킹스 타워를 작동시킬 수 있다. 킹스 타워가 작동하면 광부와 후속 유닛의 생존력과 공격 효율이 떨어지므로 상당히 골치 아프며, 특히 탱커 없이 광부를 주력으로 사용하는 덱 입장에서는 치명적이다. 다만, 광부를 킹스 타워로 끌어들이거나 밀칠 수 없는 위치와 킹스 타워가 작동해도 공격받지 않는 위치가 있어 이 위치에 광부가 들어오면 이들은 무용지물이다.[11]
  • 일렉트로 마법사: 소환 시 마비 효과를 주기 때문에 광부가 타워를 공격하고 있을 때 소환하면 광부의 공격 목표가 바뀐다.
  • 낚시꾼: 광부를 타워에서 멀리 끌어당길 수 있으며, 이동속도까지 감소시키기 때문에 안정적으로 막을 수 있다. 중앙 건물 철거용 광부의 경우 킹타워 뒤에서 당기면 낚시꾼이 아니라 킹 타워를 때려버린다.


7. 기타[편집]


  • 베이비 드래곤과 마찬가지로 클래시 오브 클랜에 역수입되었다. 아무 곳에나 배치할 수는 없지만 여기서도 땅을 파며 이동하는데, 이 점 덕에 장벽의 영향을 받지 받으며, 이동 중에는 공격받지 않는다.

  • 광부는 땅 속에 있는 동안에도 파이어 볼과 통나무의 넉백을 받는다. 다만, 약간 찔끔하는 것뿐이고, 데미지는 데미지대로 들어오지 않을 뿐더러 이동속도가 빨라서 실전에서 쓰일 여지는 없다.

  • 트롤 카드로도 잘 알려져 있다. 2vs2에서 대부분의 예능 덱이 광부와 같이 쓰이기 때문에 그렇기도 하고, 토네이도나 거대 눈덩이에 카운터당한다는 점도 있기 때문이다.

  • 남성 인간형 유닛 중 최초로 수염이 없다. 다크 프린스, 메가 나이트, 악동 소년, 로얄 훈련병, 골드 나이트을 제외한 다른 남성 인간형 유닛은 카드 일러스트에 수염이 있지만[12] 다크 프린스, 메가 나이트, 로얄 훈련병은 투구로 가려져 있어 일러스트상으로는 확인할 수 없다.[13] 수염이 없는 것이 확실한 유닛은 광부와 악동 소년, 골드 나이트밖에 없다.

  • 우리 땐 말야 광고를 보면 일렉트로 마법사의 공격을 받고 날아가는데, 잘 보면 대머리다. 이후 고블린 우리 출시 광고 때 확인사살.[14]

  • 설정상 클래시 오브 클랜에서는 원래는 금광에서 일을 하는 사람들이다.


  • 해외 클래시 로얄 커뮤니티에서는 이 카드와 연관된 밈이 있는데, 바로 Nerf Miner 밈이다.[15] 광부가 메타상 그리 좋지는 않을 때 슈퍼셀이 광부에게 추가 너프를 먹였고[16], 이것이 밈이 된것. 이것이 퍼져 2021년 후반에 뒤늦게 밈이 된 것으로 보인다.. 공식측에서도 이를 알고 있으며, 결국은 이런 약까지 내놓았고, 로딩 팁에는 '광부의 너프가 시급합니다.'[17]라는 팁도 생겨났다.



8. 관련 문서[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4053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4053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3 22:44:43에 나무위키 광부(클래시 로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광부를 소환할 때 나오는 땅 파는 모션을 배제한 시간이다. 실질적으로 약 1.1~1.4초정도.[2] 파일:BlockingMiner.png[3] 엘릭서 정제소도 5번의 공격만으로 철거할 수 있어 한때 정제소가 열에 일곱이 채용할 정도로 큰 인기를 끌었을 시절에는 정제소 견제용으로 많이 쓰였다. 물론 지금도 정제소 견제용으로 쓰이기는 하지만 수준이 크게 올라간 지금은 이전처럼 쉽게 먹히지 않는다.[4] 그러나 로켓에는 한 방에 나가떨어진다.[5] 엄밀히 따지면 6% 증가한 뒤 6% 감소하면 실제로는 처음의 99.64%이므로 출시 당시보다 체력의 0.36%가 너프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6] 아래 업데이트 내역을 보면 패치하다가 다시 롤백시킨 것을 볼 수 있다.[7] 사실 이는 광부의 완벽한 대체 카드가 없기 때문인데, 광부만큼 범용성이 매우 높으면서 스탯도 준수한 카드는 베이비 드래곤과 메가 미니언밖에 없지만 이 둘은 공중 유닛이라 지상 서브 탱커가 필요한 덱에서는 광부가 더 좋다.[8] 물론 크라운 타워 데미지가 25%로 감소해 약간 딜링이 약해졌다.[9] 이 패치를 기점으로 출시 직후의 스탯으로 롤백되었다.[10] #. 해당 버그가 수정됐는지는 불명.[11] 다만, 이 경우 상대방에게 광부의 위치를 예측당하기 쉽기 때문에 까다로운 것은 마찬가지다.[12] 도끼맨은 면도한 듯한 자국이 남아있다.[13] 그런데 메가 나이트는 소개글에 콧수염이 있다고 적혀있다. 하지만 사실 콧수염이 있다는 것이 아니라 콧수염 1000개의 위력으로 착지한다는 것이다.[14] 고블린 싸움꾼이 지하감옥에서 탈출하던 중 광부를 만나는데, 광부에게 미녀 포스터를 보여주고는 광부의 모자를 가져가자 대머리라는 것이 밝혀진다.[15] 사실 이 밈 전에도 광부가 타워를 힐해준다는 밈도 있었다.[16] 이것이 크라운 타워 데미지 35%→30% 너프였던걸로 보인다.[17] 영문에선 NERF MINER라고 대문자로 박아놓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