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명대학교/학부/공과대학

덤프버전 :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계명대학교/학부



1. 공과대학 평가 인증 현황
2. 소개
3. 소속 학과
3.1. 건축토목공학부
3.1.1. 토목공학전공
3.1.2. 건축학전공
3.1.3. 건축공학전공
3.2. 전자전기공학부
3.2.1. 전자공학전공
3.2.2. 전기에너지공학전공
3.3. 컴퓨터공학부
3.3.1. 컴퓨터공학전공
3.3.2. 게임소프트웨어전공
3.3.3. 디지펜게임공학전공
3.4. 도시학부
3.5. 기계자동차공학부
3.5.1. 기계공학전공
3.5.2. 자동차공학전공
3.6. 로봇융합학부
3.6.1. 로봇공학전공
3.6.2. 스마트제조공학전공
3.7. 화공신소재공학부
3.7.1. 화학공학전공
3.7.2. 신소재공학전공
3.8. 산업공학과
3.9. 의용공학과
3.10. 실내환경디자인학과 (폐과)
3.11. 전통건축학과 (폐과)



1. 공과대학 평가 인증 현황[편집]


파일:B9EF5F8E-E323-4859-8610-D9401180142E.jpg

[ 펼치기 · 접기 ]
2020학년도 기준
대학
EAC
CAC
ETAC
어코드
대학
EAC
CAC
ETAC
어코드
가천대학교
O
-
-
워싱턴
가톨릭대학교
O
-
-
워싱턴
강릉원주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강원대학교
O
-
-
워싱턴
거제대학교
-
-
O
시드니
건국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건양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경기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경남대학교
O
O
-
워싱턴
경복대학교
-
-
O
더블린
경북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경상국립대학교
O
-
-
워싱턴
경성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경일대학교
O
-
-
워싱턴
경희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계명대학교
O
O
-
워싱턴
고려대학교
O
-
-
워싱턴
공주대학교(천안)
O
-
-
워싱턴
광운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구미대학교
-
-
O
더블린
국민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군산대학교
O
-
-
워싱턴
금오공과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단국대학교(죽전)
O
O
-
서울/워싱턴
단국대학교(천안)
O
-
-
서울/워싱턴
대구대학교
O
-
-
워싱턴
대덕대학교
-
-
O
더블린/시드니
대진대학교
O
-
-
워싱턴
동국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동국대학교 경주
O
-
-
워싱턴
동명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동서대학교
O
-
-
워싱턴
동서울대학교
-
-
O
더블린/시드니
동신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동아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동원대학교
-
-
O
시드니
동의과학대학교
-
-
O
더블린
동의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두원공과대학교
-
-
O
더블린/시드니
마산대학교
-
-
O
더블린
명지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목원대학교
O
-
-
워싱턴
목포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부경대학교
O
-
-
워싱턴
부산대학교
O
O
-
워싱턴
백석대학교
-
O
-
서울
상명대학교(서울)
-
O
-
서울
상명대학교(천안)
O
-
-
워싱턴
상지대학교
O
-
-
워싱턴
서강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서영대학교
-
-
O
더블린
서울과학기술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서울대학교
O
-
-
워싱턴
서울시립대학교
O
-
-
워싱턴
선문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성결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성균관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세종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수원과학대학교
-
-
O
더블린
숙명여자대학교
-
O
-
서울
순천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순천향대학교
O
-
-
워싱턴
숭실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신라대학교
O
-
-
워싱턴
아주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아주자동차대학교
-
-
O
더블린
안동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연성대학교
-
-
O
시드니
연세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영남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영남이공대학교
-
-
O
더블린/시드니
영진전문대
-
-
O
더블린
울산과학대학교
-
-
O
시드니/더블린
울산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원광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이화여자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인제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인천대학교
O
-
-
워싱턴
인하대학교
O
-
-
워싱턴
전남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전북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전주대학교
O
-
-
워싱턴
제주대학교
O
-
-
워싱턴
제주한라대학교
-
-
O
시드니/더블린
조선대학교
O
O
-
워싱턴
중앙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창원대학교
O
-
-
워싱턴
청주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충남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충북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한경대학교
O
-
-
워싱턴
한국교통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한국기술교육대학교
O
-
-
워싱턴
한국산업기술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한국외국어대학교
O
-
-
워싱턴
한국항공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한국해양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한남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한동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한라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한밭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한성대학교
O
-
-
워싱턴
한신대학교
O
-
-
워싱턴
한양대학교
-
O
-
워싱턴
한양대학교 ERICA
-
O
-
워싱턴
호남대학교
O
-
-
워싱턴
호서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호원대학교
-
O
-
서울
홍익대학교(서울)
O
O
-
서울/워싱턴
홍익대학교(세종)
O
-
-
워싱턴




파일:KAAB-logo.gif


[ 펼치기 · 접기 ]
국내 건축학교육 인증프로그램
프로그램
홈페이지
인증기간
가톨릭관동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14-2022
강원대학교(춘천)
문화예술공과대학
건축학과
#
2008-2023
건국대학교
#대학원석사
건축전문대학원
#
2009-2024
경기대학교
창의공과대학
건축학전공
#
2009-2025
경남과학기술대학교
건설환경공과대학
건축학과
#
2018-2023
경남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전공
#
2020-2023
경북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09-2024
경일대학교
SMART인프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21-2025
경상국립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
2011-2026
경성대학교
공과대학 건축디자인학부
건축학전공
#
2021-2026
경희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전공
#
2013-2022
계명대학교
공과대학 건설토목공학부
건축학전공
#
2018-2022
광운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
2014-2021
고려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
2012-2022
공주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14-2024
국민대학교
건축대학 건축학부
건축설계전공
#
2010-2026
금오공과대학교
공학계열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17-2025
남서울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
2017-2022
단국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10-2023
동국대학교
#대학원석사
일반대학원 건축공학과(4+2)
#
2017-2026
동명대학교
건축•디자인대학 건축학부
건축학과(5년)
#
2018-2022
동서대학교
건축토목계열
건축학과
#
2012-2023
동아대학교
디자인환경대학
건축학과
#
2009-2025
동의대학교
공과대학 건설공학부
건축학전공
#
2013-2024
대구가톨릭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전공
#
2014-2025
명지대학교
건축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07-2022
명지대학교
건축대학 건축학부
전통건축전공
#
2017-2022
목원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20-2025
목포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
2011-2026
부경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
2008-2023
부산대학교
공과대학 건설융합학부
건축학전공
#
2011-2022
배재대학교
문화예술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17-2021
삼육대학교
문화예술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17-2024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08-2023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건축학전공
#
2007-2022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07-2022
선문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12-2023
성균관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
2009-2023
세종대학교
공과대학 건축공학부
건축학전공
#
2011-2026
순천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
2019-2023
숭실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12-2021
아주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건축학전공
#
2011-2026
연세대학교
공과대학 건축공학과
건축학전공
#
2009-2025
영남대학교
건축학전공
#
2008-2026
울산대학교
디자인·건축융합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08-2024
원광대학교
창의공과대학
건축학과
#
2016-2024
이화여자대학교
엘텍공과대학 미래사회공학부
건축학전공
#
2011-2026
인천대학교
#대학원석사
일반대학원 건축학과(4+2)
#
2021-2025
인하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14-2024
전남대학교(광주)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11-2026
전주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
2017-2023
조선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
2012-2023
중앙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14-2024
제주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12-2024
창원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
2017-2022
청주대학교
공과대학 휴먼환경디자인학부
건축학ㆍ건축공학전공
#
2012-2023
충남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
2008-2023
충북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
2012-2022
한경대학교
디자인건축융합학부
건축학전공
#
2013-2024
한국교통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과
#
2010-2026
한국예술종합학교
미술원
건축과
#
2015-2026
한남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전공
#
2015-2026
한밭대학교
건설환경조형대학
건축학과
#
2010-2025
한양대학교(서울)
공과대학
건축학부
#
2008-2023
한양대학교(에리카)
공학대학
건축학부
#
2009-2023
호서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
2009-2025
홍익대학교(서울)
건축도시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07-2023
홍익대학교(세종)
과학기술대학 건축공학부
건축디자인전공
#
2012-2023
국외 건축학교육 인증프로그램
프로그램
홈페이지
인증기간
인도네시아 반둥공과대학교
#대학원석사
(ITB, Institute Technology Bandung)
#
2016-2024
인도네시아 이슬람대학교
(UII, University Islam Indonesia)
#
2017-2025
인도네시아 가자마다대학교
(UGM, Universitas Gadjah Mada)
#
2020-2022
* 대학교학사 : 대학교 건축학사 (Bachelor of Architecture) 학위
* 대학원석사 : 대학원 건축석사 (Master of Architecture) 학위
별도의 표기가 없는 경우, 대학교 건축학사(B.Arch) 과정임
건축학교육인증의 인증현황은 이곳에서도 확인 가능함
위의 표는 2021년 7월 31일의 인증현황을 기준으로 함




2. 소개[편집]


성서캠퍼스 가장 외지고 구석진 곳에 있는 공학관에 건축대와 함께 위치한 단과대학으로, 공학교육인증과 더불어 타 단과대와 거리가 있어 타전공이나 교양 신청에 망설여진다는 우스갯소리가 있다. 성서캠퍼스 안쪽까지 들어가지 않는이상 잘 보이지도 않는다. 이 덕분인지 모르지만 그들만의 리그가 잘 열리는 특이한 단과대이기도 하다.

꽃보다 남자의 경우 주요 촬영 장소는 성서캠퍼스의 사회대와 동산도서관를 중심으로 한 밝은 분위기였지만, 정작 공과대학은 입구중 가장 가깝다는 동문에서조차 10분 이상이 걸리는 위치에 존재한다. 덕분에 전공수업 바로 다음 시간이 사회관에서 진행되는 타전공이나 교양 수업이라면 지각하지 않고 시간에 맞춰 가기 위해선 수업이 마치는 순간부터 사회관까지 전력 질주를 해야된다.[1]

계명대학교 공과대학

3. 소속 학과[편집]



3.1. 건축토목공학부[편집]



3.1.1. 토목공학전공[편집]


계대 똥군기의 전설로, 학과 노래를 들어보면 오글거리기 짝이 없고 학과깃발이 따로있다. 16학번이 들어오면서 군기가 없어졌다
라고 머리도 박아본 적도 없는 새내기들이 오도된 토목과의 문화를 이야기 하고 있지만 "실상은 그렇지않다
실제로 토목과 관심학생이 제보하여 방송사에서도 취재가 오는 사건 이후에는 폭력적인 문화를 극단적으로 지양하고 있다.
오해하고 있는 것과 다르게 토목과에는 인텔리전트하고 온화한 성격의 소유자들이 대부분이며 또한 가정적이다."
라고 거짓말을 하지만 2022년 1학기에도, 그것도 심지어 학과 교수가 조교를 시켜 학부생들을 집합시킨 후 폭언한 사건이 터지는 등 토목공학과의 똥군기는 현재 진행형이다. 이따금 토목과 학생들이 불편한 진실을 지우고 "" 안의 부분만 남겨 놓는데, 저 말을 믿을 거라고 생각하는지 의심이 되는 부분.

3.1.2. 건축학전공[편집]



3.1.3. 건축공학전공[편집]



3.2. 전자전기공학부[편집]



3.2.1. 전자공학전공[편집]



3.2.2. 전기에너지공학전공[편집]



3.3. 컴퓨터공학부[편집]



3.3.1. 컴퓨터공학전공[편집]



3.3.2. 게임소프트웨어전공[편집]



3.3.3. 디지펜게임공학전공[편집]


계명대에서 5학기, 미국 또는 싱가포르 디지펜 공과대학에서 4학기[2]를 수강하여 졸업 기준을 충족하면 계명대 디지펜게임공학전공의 공학사와 디지펜 공과대학의 실시간 상호작용 시뮬레이션 컴퓨터과학사 (Computer Science in Real-Time Intereactive Simulation, RTIS)를 모두 받을 수 있다.

현재 계명대에서 가장 밀어주는 전공(학과) 중 하나이지만, 일부 장학금 수혜 가능자를 제외하면 해외 유학비는 온전히 본인의 몫이므로[3] 자금의 부족으로 인해 디지펜을 포기하는 경우도 적지 않다.

계명대에 입학하고 나서의 첫 학기를 Pre-디지펜 이라고 부르는데, 이 학기를 마치고 나서는 모든 수업이 영어로 이루어진다. 특히 전공 수업의 경우 미국 디지펜 본교에서 출장 나온 교직원들이 직접 강의하기 때문에 영어에 자신이 없거나 듣고 읽는 것이 어려울 경우 Pre-디지펜 학기때 많이 노력하여 어학 실력을 꼭 향상시켜야 한다.

디지펜 본교의 5년 과정을 한국 대학 교육과정에 맞추느라 4년 안에 때려넣어서 탄생한 살인적인 커리큘럼, 학비, 어학 능력 부족 등의 문제로 인해 중도포기자는 많은 편이지만, 온전히 프로그램을 마칠 경우 돌아오는 이득은 상당히 많은 편이다. 실제로 프로그램 졸업자들은 대부분 미국에서 취업한 상태이며, Microsoft, Apple 등의 유수 IT 기업에 취업하는 것은 물론, 한 번 쯤은 들어봤을 국내외 거대 게임 개발사에서 활동하고 있으므로 과정을 온전히 마칠 수만 있다면 상당한 메리트가 될 수 있다.

디지펜 포기 신청서를 작성할 경우 전과하여 학적을 변경해야 한다. 컴퓨터공학과, 게임소프트웨어전공 전과의 경우 디지펜게임공학전공 학생들에게 우선권이 주어지고, 이외의 타과로 전과하는 경우는 우선권은 없지만 전과는 허용된다.

3.4. 도시학부[편집]



3.4.1. 교통공학전공[편집]



3.4.2. 도시계획학전공[편집]



3.4.3. 생태조경학전공[편집]



3.5. 기계자동차공학부[편집]



3.5.1. 기계공학전공[편집]


해당 과의 대표적인 동아리인 자작자동차 동아리 ‘속도위반’팀 이 ‘2011 대학생 자작자동차대회(KSAE Baja 2011)’에서 종합우승(KSAE Grand Prix)을 차지하였고 '속도위반'팀은 2004년부터 참가한 미국자동차공학회(SAE) 대회에서는 참가 첫 해 전 세계 137개 대학팀들과 경합을 벌여 28위를 기록해 많은 주목을 받은 바 있다.
2011년에는 우리나라 팀으로 유일하게 참가해 10위권의 성적을 거두는 등 지속적인 자작자동차 연구개발로 진보된 안전성과 기술력으로 세계 유수대학들과 경쟁하며 우리나라 자동차의 우수한 기술력을 널리 알리는 데 적극 앞장서고 있다.

3.5.2. 자동차공학전공[편집]



3.6. 로봇융합학부[편집]



3.6.1. 로봇공학전공[편집]



3.6.2. 스마트제조공학전공[편집]


2023년 신설

3.7. 화공신소재공학부[편집]



3.7.1. 화학공학전공[편집]



3.7.2. 신소재공학전공[편집]



3.8. 산업공학과[편집]


산업공학과에서 시작했으며, 해당 과를 졸업한 이정화 동문은 현재 독일 베를린-보이트 기술대학교에서 교수로 근무하고 있다. 참고로 학사와 석사, 박사학위를 모두 계명대학교에서 받았다.
2023년 산업공학과로 명칭 변경된다.

3.9. 의용공학과[편집]


2022년 의과대학에서 공과대학으로 소속이 변경되었다. 총 5분의 교수님이 있다. 그 중 이종하 교수님은 계명대학교 내 최근 10년간 연구실적 1위, 특허실적 1위, 기술이전실적 1위등 엄청난 연구 실적을 가지고 있다. 또한 이종하 교수님의 인공지능 컴퓨터진단 연구실(AICD)는 2022년 한국연구재단 건강한연구실에 선정됨으로써 연구원의 복지와 실적을 동시에 달성하는 연구실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상을 수상한 바 있다.

3.10. 실내환경디자인학과 (폐과)[편집]


2015년 3월 모집중지
2021년 2월 폐지.

3.11. 전통건축학과 (폐과)[편집]


2015년 3월 폐과.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230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2;"
, 2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230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2;"
, 2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2 05:11:12에 나무위키 계명대학교/학부/공과대학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물론 중앙도서관을 경우해 넘어가는 산길이 있긴 하지만 체력 소모 두배, 전력질주를 해도 지각하는 경우가 다반사라서 공대생에 한해 교수님께서 사정을 봐주는 경우가 많다. 이게 싫은 학생은 오토바이를 구입하기도 한다.[2] 총 4.5년 과정인 이유는, 한국은 봄에 교육과정을 시작하지만, 미국과 싱가포르는 가을에 시작하기 때문이다. 계명대에서 2년만 수학할 시 한 학기가 남게 되므로 한 학기를 후술할 Pre-디지펜이라는 학기로 운영하고 있다.[3] 학습을 온전히 마칠 수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디지펜에서 $50,000 이상이 있는 은행 계좌의 잔고 확인서를 요구한다. 물론 실제 학비는 이것보다 많이 들고, 여러 부대 비용까지 합치면 미국 디지펜에서 수학한다고 가정했을 때 2억이라는 비용이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