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X-마음/차량 (r22판)

편집일시 :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ITX-마음

파일:나무위키+하위문서.png   하위 문서: ITX-마음/차량/현황

파일:KORAIL_White_로고.svg
한국철도공사의 전동차
고속열차>>> 150000호대
간선열차>> 220000호대 >
광역전철>>>>>>>>
도입 예정> 230000호대 >>
전량 퇴역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0px 5px; margin-right: 5px; border-radius: 4px; background: #f55839; font-size: 1em;" 무궁화
 9900호대(1980~2001)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text-align: center; margin-right: 5px; border-radius: 50%; background: #0052A4; font-size: 1em; width: 1.4em; height: 1.4em;"1 1000호대(상세)(1974~2020)
한국철도공사 소속 기관차 · 디젤동차


파일:코레일_기본_로고.svg
한국철도공사 220000호대 전동차>
KORAIL series 220000 EMU

한국철도공사 한국철도공사 230000호대 전동차
KORAIL serien 230000 EMU
파일:ITXMaum_12.jpg
차량 번호
열차 형식간선, 일반철도 인선용 특급형 전동차
구동방식전기 동력분산식 전동차
편성량수220000호대: 4량 1편성 (Tc-M'-M'-Tc)
230000호대: 6량 1편성 (Tc-M'-T-M-M'-Tc)
생산량수358량
운행계통경부선 서울~부산
호남선 용산~목포
전라선 용산~여수엑스포
태백선 청량리~동해
도입년월일2022~도입 중
제작사파일:다원시스 로고.svg
소유기관파일:코레일_기본_로고.svg
운영기관
편성번호2D1001~[1]
차량배속미정
차량 제원
[ 펼치기 * 접기 ]
전장23,500 mm
전폭3,150 mm
전고3,850 mm
궤간1,435 mm
급전방식단상 교류 25,000V 60Hz
신호장비ATP(안살도),[1] ATS[2]
제어방식다원시스 VVVF-IGBT[3]
동력장치CRRC 3상 교류 유도전동기
제동방식회생제동 병용 전기지령식 공기제동
최고속도영업150km/h
설계165km/h
가속도65km/h까지 2.5km/h/s 이상
감속도상용3.0km/h/s 이상
비상4.0km/h/s 이상[4]
MT 비2M2T(Tc-M'-M'-Tc)
3M3T(Tc-M'-M-T-M'-Tc)
[1] ERTMS Lv.1[2] 점제어식 S1, 속도조사식 S2[3] 소자는 일본 히타치 기반이다.[4] 비상제동거리: 150km/h에서 900 m 이내

1. 개요
2. 특징
3. 내부 시설
4. 편성
5.1. 1차분 (2022.06.15~)
5.2. 2차분
5.3. 3차분
6. 차량 하자 문제



1. 개요[편집]


ITX-마음 등급으로 운행된 신형 여객용 전동차. 220000호대는 4량 열차, 230000호대는 6량 열차다.


2. 특징[편집]




3. 내부 시설[편집]




4. 편성[편집]




5. 현황[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ITX-마음/차량/현황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5.1. 1차분 (2022.06.15~)[편집]


파일:ITXMaum_02+05.jpg
  • 총 150량
  • 4량: 01~27편성 (2201XX-2227XX) (150량 중 108량 총 27편성)
  • 6량: 01~07편성 (2301XX-2301XX) (150량 중 42량 총 7편성)
  • 제작사: 다원시스


230000호대 (6량 7편성)
편성갑종회송일운행개시일출발지도착지
01차량 제작 중호남선 노령역호남선 황등역
02차량 제작 예정
03
04
05
06
07


5.2. 2차분[편집]


  • 총 208량


5.3. 3차분[편집]




6. 차량 하자 문제[편집]


자판기 고장, 출입문 고장, 발판고장, 화장실 고장, 안내방송장치 고장, 접이식 의자 고정 기능 고장,[2]팬터그래프 이상 등 여러 하자가 발생하고 있다. 특히 출입눈 고장이 심각해서 지연 회복에 유리하단 동력분산식의 장점을 전혀 살리지 못한 채 오히려 정차할 때마다 지연이 늘어난 기현상이 발생하고 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ITX-새마을/차량 문서의 r1443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ITX-새마을/차량 문서의 r1443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1] 2D1: ITX-마음
001: 01호기
[2] 접이식 의자 뿐만이 아니라 일반 객실 의자에서도 리클라이닝 고정장치가 고장나 가만히 있어야 할 의자가 움직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