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송역

덤프버전 :

오송역
<-6>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고속열차 노선 보기
대 전
35.1 ㎞ →
진주 방면
대 전
35.1 ㎞ →
포항 방면

미개통 고속열차 노선 보기
#!end||<width=120> }}}}}} ||}}}}}}}}} ||


일반열차 노선 보기



다른 문자 표기
[ 펼치기 · 접기 ]
로마자
Osong
한자
五松
간체자
가나
五松(オソン

주소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오송읍 오송가락로 123 (봉산리)
관리역 등급
관리역
(1급 / 한국철도공사 대전충청본부)
운영 기관
경부고속선
한국철도공사[1]
호남고속선
충북선
개업일

[ 펼치기 · 접기 ]
충북선(1차)
1921년 11월 1일~
1974년 12월 5일
충북선(2차)
1977년 9월 5일
경부고속선
2010년 11월 1일
호남고속선
2015년 4월 2일
파일:KTX BI_White, Red.svg
2010년 11월 1일
파일:Untitled-1.png
2016년 12월 9일
무궁화호
2010년 11월 1일

역사 구조
[ 펼치기 · 접기 ]
지상 4층 (경부고속선)
지상 1층 (충북선)

승강장 구조
[ 펼치기 · 접기 ]

철도거리표

[ 펼치기 · 접기 ]
충북선
오 송
오송선
오 송
종점
경부고속선
오 송
기점 방면
(분기점)[1]
← 0.7 ㎞
호남고속선
오 송

↓ 세종 BRT 운행계통 보기 ↓

1. 개요
2. 역 정보
2.1. 충북선 간이역
2.3. 역명 개정 움직임
2.4. 미래
2.4.1. 오송연결선
2.4.2. 광역철도
2.5. 시간표
2.5.1. 오송역 열차 정차 비율
2.5.2. 고속상행
2.5.3. 고속하행(경부,경전,동해선)
2.5.4. 고속하행(호남,전라선)
2.5.5. 충북선 무궁화호
3. 승강장
3.1. 고속철도 (KTX·SRT)
4. 역 주변 정보
5. 일평균 이용객
6. 연계교통
6.1. 오송역버스환승센터
6.1.1. 승차홈
6.2. 자가용/택시
7. 사건 사고
7.1. 2016~, 세종역 신설 논란
7.2. 2018 오송역 전차선 단전사고
7.3. 2023 오송역 선로 봉쇄 예고
8. 여담
9. 둘러보기



1. 개요[편집]



파일:오송역.jpg

오송역 전경

국토균형발전을 견인하는 중추역으로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오송읍에 위치한 오송역은 1921년 조치원에서 청주로 이어지는 충북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하였다. 옛 오송역은 오랫동안 역원이 배치되지 않고 가끔씩 비정기 열차만 오가는 작은 간이역이었다. 때문에 1974년에는 폐역이 되기도 하였으나 1977년 충북선 복선화와 함께 보통역이 된다. 오송역은 고속철도시대가 열리면서 새로운 전기를 맞는다. 2010년 11월 경부고속철도 2단계 사업으로 고속철도 역사로 다시 태어나게 되고 이후 2015년 4월 호남고속철도의 분기역이 된다. 오송역은 X자 모양의 중앙아치형 지붕을 두른 웅장한 선하역사로 건설되었다. 국토의 중심에 가장 근접한 역이자 경부고속철도와 호남고속철도의 분기역으로, 국가 X축 철도의 중심인 오송역의 가치를 역사모습에 담은 것이다.

국가철도공단 '철도역 이야기'에서 발췌.

경부고속선호남고속선의 분기역이자, 충북선과의 환승역.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오송읍 오송가락로 123 소재.

충북선에서 충주역과 함께 충북선을 관리하는 관리역이다. 오송역이 관리역으로 바뀌면서 청주역이 보통역으로 격하당했다.

현재 세종특별자치시에서 가장 가까운 KTX 역으로, 정부세종청사 및 기타 국가기관의 수요가 있어 세종특별자치시 BRT가 오송역과 행정중심복합도시를 연결하고 있다. BRT를 이용해 세종 정부기관까지 약 25분 소요. 청주시내 방면으로는 청주 급행 747번급행 및 좌석 502번을 비롯해 여러 시내버스 노선들이 있으며, 청주시내 서편의 가경동 청주시외버스터미널청주고속버스터미널까지 약 20~30분 정도 소요된다.

원래 청주시의 수요를 담당할 목적으로 역이 지어졌으나, 이용객 수가 폭증한 계기는 역 남쪽의 세종특별자치시 개발이 결정적이었다. 참여정부가 신행정수도 위치 선정[2]에서 탈락한 충북을 위해 오송역을 세종특별자치시의 관문역으로 지정했기 때문이다. 현재 오송역 수요의 70% 정도는 BRT 타고 30분 거리에 있는 세종특별자치시 신도심에서 유발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3]

역명코드는 297번이다.


2. 역 정보[편집]



2.1. 충북선 간이역[편집]


파일:오송역 구역사.jpg
옛날 오송역 역사
원래는 충북선의 간이역이었다. 그러나 수요 저조로 1974년 12월 5일에 폐역되었다.[4]

그러다가 1977년 9월 5일에 부활하는데, 이 때는 여객 취급만 했다.[5] 1978년 오송선이 개통되면서부터는 운전 취급이 주 업무가 되었다.

최종으로 충북선 여객 영업은 1983년 2월 1일 부로 중단된 상태였다. 화물취급은 벌크양회에 한해서 1983년 2월 6일부터 개시했다.[6] 그나마 KTX 개통 전까지 통일호가 1일 4회 비공식적으로 정차하기는 했다.

2.2. KTX 정차와 호남고속선 분기역 선정[편집]




그러다가 1991년 9월 19일에 경부고속선충북선 오송역 바로 위를 지나가는 것으로 경로가 최종 확정되면서, 그저 흔하디 흔한 시골 간이역 중 하나일 뿐이던 이 역의 운명이 확 바뀌었다. #. 다만 이 과정에서 청주시민들의 물리력이 동원되어 논란이 있었다.

2005년에는 호남고속선이 오송역에서 분기되는 것으로 결정되었다. 오송역과 천안아산역 및 대전역이 경쟁하였는데 오송역이 된 것. 다만 오송역 분기는 다른 대안에 비해 이점이 극히 떨어져서 정치적인 결정이라는 논란이 벌어졌다.

충청북도 소재 철도역으로는 제천역, 단양역(중앙선 KTX-이음), 그리고 충주역(중부내륙선) KTX-이음 시종착)과 함께 KTX가 정차하는 역이 되었다.

어쨌든 KTX가 정차하기 시작한 2010년 11월 1일부터 모든 충북선 여객열차가 정차하는 역이 됐으며 2014년 7월 1일부터 TMO가 설치됐다.

2.3. 역명 개정 움직임[편집]


2018년 8월에 '청주오송역'으로 변경하기로 확정했다. 작명 방식은 광주송정역과 비슷하다. 아직도 역명이 변경되지 않았다고...(2023년 기준). 개명 확정 전 오송읍 주민과 오송읍 제외 청주시민에게 여론조사 결과 역명 개명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70%가 넘었다. 하지만 시민위원회가 역명 개정을 확정지은 후 오송읍 주민의 반발과 90%가 넘는 반대의견으로 일이 진행되지 못하고 있었다. 그러다 2022년 10월 11일 역명 변경 찬반투표를 시행한다는 행정예고가 발표됐다. 찬성 의견이 70%를 넘으면 변경 절차를 진행하겠다는 것이다.

2018년 8월 3일에 KTX 오송역 명칭 개청 제 2차 여론조사 용역(오송읍) 1대1일 대면조사 방식을 결정해 놓고 여론조사에 8개 행정리 마을 이장이 개입하여 대리, 대필로 조사가 됐으며, 찬반지역에 따른 표본 수를 임의 변경하여 대상에 크게 못 미치는 조사가 이뤄지는 등 여론조사 왜곡, 조작 의혹이 드러났다. 이러한 여론조사 조작 사건이 사실로 드러나면서 여론조사 기관의 용역 계약 위반에 따른 오송역 명칭 개정 여론조사에 들어간 비용 중 일부인 927만 원을 환수하기로 결정, 업체측에 통보했다.

2.4. 미래[편집]



2.4.1. 오송연결선[편집]


소위 X축 논리, 강호축 논리에 따라 오송연결선(호남고속선충북선 연결), 봉양연결선(충북선중앙선의 연결), 원주연결선(중앙선강릉선 KTX 연결) 셋을 건설하자는 요구하는 논의가 있다. 2016년 12월에 기획재정부의 예비타당성조사 대상사업에 세 연결선의 검토가 포함됐다. #

2017년 7월, 문재인 대통령의 공약으로 "충북선 고속화 2단계 사업"에 포함 여부가 검토됐다. #

2018년 말, 지자체별 예비타당성 면제 사업에 지원했으나, 2019년 초 탈락했다. #

2019년 6월, 국토교통부-기획재정부-KDI의 연구 결과 고속선 분기기의 고가 설치가 안전 문제로 어렵다는 결과가 나왔다. #

2020년 5월, 충북-청주는 지하에서 분기하자는 대안을 제시했다. #

2021년 7월, 원주연결선만 제4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 반영되고, 오송연결선은 장기과제로 남았다.

2022년 6월, 충북-청주는 오송역 상행 7km 지점에서 분기하자는 대안을 제시했다. #


2.4.2. 광역철도[편집]


한편 2017년 8월 2일 관보에 게시된 국토교통부 고시에 따르면 천안 ~ 청주 간 복선전철 사업에 따라 운행될 열차에 정차역이 천안 - 전의 - 서창 - 오송 - 북청주 - 청주공항으로 정해졌다. 이에 따라 오송역의 수요에 변화가 생길지 귀추가 주목되고 충북선의 사실상 폐역인 내수역이 다시 살아날 수 있을지 궁금한 기사가 많이 나와 주목을 받는다.

2021년 4월 22일 발표된 제4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 초안에 반석~세종~조치원~(충북선 직결)~청주공항을 운행하는 충청권 광역철도가 포함됐다. 충북선 조치원~청주공항 구간에서 가장 메이저한 역이 오송역이므로 거의 무조건 정차할 것으로 보인다. 대전 도시철도 1호선이나 충청권 광역철도직통운전할 계획인지는 불분명하지만, 세종특별자치시의 오송역 접근성이 크게 개선될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나 광역전철청주시 도심 지하 통과 요구가 미반영됐기 때문에 정작 청주 시가지의 오송역/청주국제공항/세종특별자치시/대전광역시 접근성에는 도움이 별로 안 되므로 충청북도청주시 측에서는 반발 중이다. 2022년 충북 대선과 지선 카드로 양당이 청주 도심 통과를 내걸어 작년과는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있다. 그리고 신임 충북도지사 당선 직후 충북도는 국토부 중간 보고회에서 10월 사전타당성조사 발표 전까지 도심통과 반영을 요구하겠다고 밝혔다. 만약 도심 통과과 확정 된다면 가경동터미널에서 오송역까지 강내면에서 정차하더라도 10분 이내 도달이 가능하게 되므로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게 된다. 타당성 조사가 밀려 3월에 세종특별자치시 정차역 추가+충북선 활용안과 청주 도심 통과안 중 1개를 택한다고 한다. 만약 정말로 충북선 활용안으로 나올 경우 충북, 청주에서 역풍이 나올 것으로 예상된다. 여러 선거에서 청주 도심 통과가 공약으로 나왔고 대통령 공약이였기도 한 만큼 말이다.


2.5. 시간표[편집]



2.5.1. 오송역 열차 정차 비율[편집]


다음은 2023년 9월 1일 기준 KTX, SRT 시간표에 따른 내용이다(평일 기준 [7][8]).
  • 경부선 KTX: 하행 - 22/48(45.8%), 상행 - 28/47(59.5%) (구포역 경유 열차 포함)
  • 경부선 SRT: 하행 - 16/40(40.0%),상행 - 20/40(50.0%)
  • 경전선 KTX: 하행 - 7/13(53.8%), 상행 - 2/13(15.3%)
  • 경전선 SRT: 하행 - 1/2(50.0%), 상행 - 2/2(100%)
  • 동해선 KTX: 하행 - 11/15(73.3%), 상행 - 6/11(54.5%)
  • 동해선 SRT 하행 - 1/2(50.0%), 상행 - 0/2(0%)
  • 호남선 KTX: 하행 - 16/26(61.5%), 상행 - 16/25(64.0%) (서대전역 경유 열차 포함)
  • 호남선 SRT: 하행 - 12/20(60.0%), 상행 - 12/20(60.0%)
  • 전라선 KTX: 하행 - 10/17(58.8%), 상행 - 12/18(66.6%) (서대전역 경유 열차 포함)
  • 전라선 SRT: 하행 - 2/2(100%), 상행 - 1/2(50.0%)
  • 합계: 하행 - 96/185(51.8%), 상행 - 99/180(55.0%)[9]


2.5.2. 고속상행[편집]


파일:KTX BI.svg
파일:KTX-산천 BI.svg(상행)
시간
열차종별
열차번호
종착역
06:12
KTX
116
서울
06:46
KTX
402
용산
06:52
KTX
166[월]
118[화~일]
서울
07:07
KTX
4
서울
07:24
KTX-산천
404+502
행신
07:27
KTX
6
서울
07:46
KTX
120
서울
08:08
KTX
8
서울
08:24
KTX
84[금~일]
서울
08:29
KTX
472[김제,서대전]
서울
08:38
KTX
102
서울
08:53
KTX
10
서울
08:56
KTX
406
용산
09:02
KTX-산천
204+234
행신
09:24
KTX
504
행신
09:43
KTX
86[금~일]
서울
10:03
KTX-산천
408+542
행신
10:23
KTX-산천
476
용산
10:29
KTX
104
서울
10:33
KTX
16
행신
10:53
KTX
20
서울
11:51
KTX
238
서울
12:07
KTX
492[금~일]
용산
12:13
KTX
26
서울
12:43
KTX
416
용산
12:54
KTX
28
서울
13:55
KTX
30
서울
14:19
KTX-산천
242+9242[월~목]
292+9292[금~일]
서울
14:23
KTX
32
서울
14:28
KTX
586
용산
14:36
KTX
418
서울
14:57
KTX
34
서울
15:02
KTX
582
용산
15:05
KTX
512
행신
15:38
KTX
420
용산
15:45
KTX_산천
106+244
서울
15:53
KTX
36
행신
16:07
KTX
38
서울
16:33
KTX-산천
588
용산
17:11
KTX
516
서울
17:49
KTX
108
서울
17:59
KTX
590[금~일]
용산
18:09
KTX-산천
248+9248[월~목]
248+284[금~일]
서울
18:15
KTX
46
서울
18:47
KTX
50
서울
18:57
KTX_산천
KTX
196[월~목]
96[금~일]
서울
19:21
KTX
428
서울
19:26
KTX-산천
482[월~목]
488+4054[금~일]
행신
19:36
KTX
250
서울
19:48
KTX
484
용산
19:51
KTX
430
용산
19:55
KTX
54
서울
20:23
KTX
520
행신
20:34
KTX
56
서울
20:42
KTX-산천
296[월~목]
294+286[금~일]
서울
20:52
KTX
58
행신
20:58
KTX
486
용산
21:02
KTX-산천
110+252
서울
21:44
KTX-산천
434[10]
434+544[11]
행신
22:19
KTX-산천
220
서울
22:35
KTX-산천
438+522
용산
22:55
KTX
66
행신
23:00
KTX
112
서울
23:31
KTX
70
서울
23:58
KTX-산천
524
행신

파일:SRT BI.svg (상행)
시간
열차종별
열차번호
종착역
06:21
SRT
602
수서
07:21
SRT
304
수서
07:31
SRT
604
수서
07:52
SRT
306
수서
08:47
SRT
308+9308[12]
수서
09:07
SRT
606+682
수서
09:15
SRT
310
수서
09:29
SRT
312+9312[13]
수서
09:53
SRT
382[월~목]
314+382[금~일]
수서
10:15
SRT
316
수서
11:19
SRT
608+9608[14]
수서
12:02
SRT
324+9324[15]
수서
12:36
SRT
328
수서
14:33
SRT
332
수서
14:51
SRT
658
수서
15:26
SRT
338
수서
16:19
SRT
342
수서
17:17
SRT
346
수서
17:36
SRT
616
수서
17:54
SRT
352
수서
18:27
SRT
662
수서
19:31
SRT
384[월~목]
358+384[금~일]
수서
19:41
SRT
618+9618[16]
수서
20:47
SRT
362
수서
20:55
SRT
664
수서
21:30
SRT
620
수서
21:40
SRT
366
수서
22:14
SRT
666
수서
22:23
SRT
370
수서
23:08
SRT
622
수서
23:37
SRT
376+9376[17]
수서
00:23
SRT
378+9378[18]
수서


2.5.3. 고속하행(경부,경전,동해선)[편집]


파일:KTX BI.svg
파일:KTX-산천 BI.svg(하행)
시간
열차종별
열차번호
종착역
06:32
KTX-산천
203
진주
231
포항
06:57
KTX-산천
75
부산
281[금~일]
진주
07:21
KTX
7
부산
07:51
KTX
9
부산
08:15
KTX
11
부산
09:03
KTX_산천
235
포항
09:10
KTX
205
진주
10:10
KTX-산천
237+9237[월~목]
237[금~일]
포항
10:16
KTX_산천
19
부산
KTX-산천
285[금~일]
진주
10:27
KTX
101[서대구,구포]
부산
11:07
KTX
163[서대구,구포][금~일]
부산
11:22
KTX
23
부산
11:37
KTX-산천
239
포항
4021
진주
13:22
KTX
243
포항
13:36
KTX
211
마산
13:52
KTX-산천
31
부산
241
포항
14:12
KTX
33
부산
14:47
KTX
35
부산
15:06
KTX
37
부산
15:52
KTX
41
부산
15:56
KTX-산천
255[월~목]
포항
KTX_산천
283[금~일]
진주
16:25
KTX
43
부산
17:05
KTX-산천
215
마산
247
포항
17:46
KTX
49
부산
18:20
KTX-산천
217
마산
KTX_산천
249
포항
19:00
KTX
55
부산
19:17
KTX
57
부산
19:35
KTX
107[서대구,구포]
부산
19:52
KTX
59
부산
20:17
KTX
61
부산
20:52
KTX
63
부산
21:32
KTX-산천
221
진주
KTX_산천
251
포항
22:16
KTX
69
부산
22:27
KTX
111[서대구,구포]
부산
23:05
KTX-산천
253
포항
23:52
KTX
117[서대구]
동대구
00:22
KTX
119
대전

파일:SRT BI.svg (하행)
시간
열차종별
열차번호
종착역
06:11
SRT
301
부산
07:11
SRT
305[금~일]
부산
391
포항
07:58
SRT
309
부산
08:07
SRT
311
부산
08:57
SRT
315
부산
10:00
SRT
321
부산
10:41
SRT
323+9323[19]
부산
11:31
SRT
327+9327[20]
부산
14:17
SRT
337+9337[21]
부산
16:15
SRT
345
부산
17:41
SRT
353
부산
19:11
SRT
359
부산
20:11
SRT
367[금~일]
부산
383
진주
21:20
SRT
371
부산
22:10
SRT
375
부산
23:26
SRT
379+9379[22]
부산


2.5.4. 고속하행(호남,전라선)[편집]


파일:KTX BI.svg
파일:KTX-산천 BI.svg(하행)
시간
열차종별
열차번호
종착역
05:55
KTX_산천
401
목포
KTX-산천
501
여수엑스포
06:40
KTX-산천
403
목포
07:02
KTX-산천
471[서대전]
익산
07:16
KTX
405
목포
07:46
KTX
473
서대전
08:02
KTX
503
여수엑스포
08:25
KTX
491[금~일]
광주송정
09:07
KTX
409
목포
09:26
KTX
505
여수엑스포
10:06
KTX
411
광주송정
10:46
KTX-산천
507[월~목]
507+9507[금~일]
여수엑스포
11:27
KTX
413
목포
11:43
KTX
509
여수엑스포
13:27
KTX-산천
417
목포
KTX_산천
543[23]
여수엑스포
14:57
KTX
513
여수엑스포
15:31
KTX-산천
583[서대전][월~목]
593[서대전][금~일]
여수엑스포
4041[서대전][금~일]
목포
15:40
KTX
421
목포
16:22
KTX
423
목포
18:26
KTX-산천
429
목포
517
여수엑스포
19:24
KTX
431
광주송정
20:28
KTX
433
목포
21:01
KTX
521
여수엑스포
21:25
KTX-산천
435
목포
541
여수엑스포
23:16
KTX
439
광주송정

파일:SRT BI.svg (하행)
시간
열차종별
열차번호
종착역
05:44
SRT
651
목포
07:31
SRT
653
목포
09:19
SRT
605
광주송정
10:31
SRT
655
목포
11:11
SRT
607
광주송정
681
여수엑스포
13:56
SRT
659
목포
14:51
SRT
611
광주송정
16:07
SRT
613
광주송정
17:52
SRT
663
목포
19:56
SRT
665
목포
683
여수엑스포
20:23
SRT
617
광주송정
23:01
SRT
619+9619[24]
광주송정

2.5.5. 충북선 무궁화호[편집]


[[무궁화호|

무궁화호
]] (상행)
시간
열차종별
열차번호
종착역
07:17
무궁화
1702
대전
08:48
무궁화
4302
동대구
09:41
무궁화
1704
대전
10:38
무궁화
1282
서울
12:50
무궁화
1706
대전
14:47
무궁화
1708
대전
16:46
무궁화
1710
대전
18:40
무궁화
1712
대전
19:40
무궁화
4304
동대구
20:32
무궁화
1714
대전
23:02
무궁화
1716
대전

[[무궁화호|

무궁화호
]] (하행)
시간
열차종별
열차번호
종착역
06:41
무궁화
1701
제천
07:28
무궁화
1703
제천
08:33
무궁화
4301
영주
09:21
무궁화
1705
제천
12:28
무궁화
1707
제천
15:15
무궁화
1709
제천
18:20
무궁화
1711
제천
19:19
무궁화
1713
제천
19:39
무궁화
1281
제천
20:53
무궁화
4303
영주
22:05
무궁화
1715
제천

3. 승강장[편집]


지상 4층은 고속선 승강장, 지상 1층은 충북선 승강장이다.

오송역 역사를 보면 고속열차가 운행하는 역답게 길쭉하게 되어 있는 모양인데, 당연히 길쭉한 쪽으로 고속선이 운행한다. 충북선 승강장은 북서쪽(정면에서 봤을 때 오른쪽)에 승강장이 있다. 오송역 주위를 잘 둘러보면 고속선 아래로 또 다른 철길이 오송역사 오른쪽 끄트머리를 가로지르고 있는 것을 볼 수 있을 것이다. 이 선이 바로 충북선이다.

오송역 역사를 정면(2번 출입구가 있는 곳)에서 봤을 때 왼쪽이 고속선 부산 방면이고 오른쪽이 고속선 서울 방면이다. 충북선은 오송역 역사 뒤로 나가는 방향(역사를 2번 출입구 앞에서 정면에서 보는 방향)이 조치원 방면이고 역사 앞쪽으로 나가는 방향(역사를 2번 출입구 앞에서 등지고 있는 방향)이 제천 방면이다.

승강장은 12개의 홈으로 이루어져 있지만 평시에는 6개(고속선 4개, 충북선 2개)의 홈만 사용한다. 고속선은 1번·4번·5번·8번 홈을, 충북선은 12번·13번 홈을 사용한다. 특별한 일이 있을 경우 간혹 다른 홈으로 열차가 정차하는 경우도 있다.


3.1. 고속철도 (KTX·SRT)[편집]


천안아산


8

7


6

5





4

3

2

1


공주
대전·서대전
공주


경부고속선의 통과선은 정중앙에, 호남고속선의 통과선은 맨 바깥에 있다. 2번 홈과 3번 홈이 정차하는 선로는 비상대기 열차의 대기용 선로이다.

서대전행 및 논산경유 익산행은 호남고속선 운행계통이지만 공주역 방면으로 빠지지 않고 대전조차장 방면으로 직행하기 때문에 여기서는 경부고속선 열차로 취급해서 부산 방면과 같은 승강장에서 승차한다. 서울에서 출발하는 열차가 오송역으로 들어오기 전 약 0.7km 떨어진 지점에서 경부고속선호남고속선의 선로가 갈라지므로 이렇게 취급할 수밖에 없다.

상행선은 5·6번 홈에서는 경부고속선(서대전 경유 용산호남선 포함) 열차가 정차하고 7·8번 홈에서는 호남고속선 열차가 정차한다. 6번 홈과 7번 홈 사이는 비상대기 등의 목적으로 이용되는 예비 선로이므로, 간혹 이 선로로 열차가 정차하는 경우도 있지만 일반적으로는 5번 홈과 8번 홈에서 상행선 열차를 타게 된다.[25]

3.2. 충북선[편집]


조치원·전의

11
12


13
14

청주

11·12
충북선
[[무궁화호|

무궁화호
]]
대전·동대구·서울 방면
13·14
청주·제천·영주 방면

아주 특별한 일이 없는 이상 여객열차용으로 11번과 14번은 사용하지 않는다. 즉, 상대식 승강장처럼 운영되고 있는 셈.

만약 미래에 충북선이 고속화될 경우, 고속열차로 제천역까지 단 30분 만에 갈 수 있을 전망이다.

4. 역 주변 정보[편집]


역 북쪽으로 오송생명과학단지에 6대 국책기관이 이전해 있다. 역 서쪽에는 2단지가 지어지는 중이다. 2단지의 정식 명칭은 오송바이오폴리스다. 오송산단 남쪽에는 궁평리 마을이 있고 역 서남쪽으로 오송읍 시가지가 있다. 역 서북쪽으로 경부고속선을 따라 오송고속철도시설사무소가 있다. 이 궁평리 지역에 오송역세권개발사업도 다시 추진할 예정이다. 또한 문재인정부의 충북 지역 공약이기도 했던 오송3 생명과학 국가산단 역시 개발 예정으로 현재 토지 매매에 제한이 걸려 있다.

또한 세종특별자치시 방면 BRT가 도착하고 출발하던 곳 옆에는 BRT 차량 주차장이 있는데, 이곳에 전기버스 충전기가 마련되어 있다. 이는 747번 급행버스에 투입된 전기버스들의 충전을 위한 것이며, 충전기는 3기가 설치되어 있다.

2020년 1월 16일부터 서부광장(7번 출구)에 버스환승센터가 개소한다. 청주 방면, 세종, 대전 방면, 조치원 방면, 오송생명단지, 공북, 청주공항 방면 전부 여기서 탑승 가능하다.

전시장청주OSCO를 건설하고 있다. 2024년 준공 예정이다.

그 밖에 조치원읍, 강내면이 가까이 있다. 강내면에는 KTX 오송역 개통 당시부터 주 수요처였던 한국교원대학교가 있고, 조치원은 조치원역과 철도 수요를 양분하고는 있지만 시 단위에 준하는 인구를 자랑하고 2개의 대학이 있어서 잠재 수요가 나름 있다. 특히 교원대 캠퍼스 내에서 오송분기를 볼 수 있고 열차 내에서도 상행 기준 오송역 진입 전 오른쪽, 하행 기준 오송역 출발 후 왼쪽을 보면 교원대가 아주 잘 보인다. 청주 시가지나 행정중심복합도시는 이보다는 거리가 더 멀다.


5. 일평균 이용객[편집]


연도
파일:KTX BI.svg
파일:SRT BI.svg
[[중부내륙순환열차|

O−train
]]
[[무궁화호|

무궁화호
]]
총합
비고
2010년
2,576명


183명
2,759명
[26]
2011년
2,963명
325명
3,288명

2012년
3,510명
406명
3,916명

2013년
5,722명
531명
6,253명

2014년
7,475명
625명
8,100명

2015년
10,523명
75명
644명
11,242명
[27]
2016년
12,667명
2,931명
26명
895명
16,519명
[28]
2017년
13,479명
3,629명
33명
990명
18,131명

2018년
15,298명
4,546명
37명
1,080명
20,961명

2019년
17,335명
5,035명
36명
1,150명
23,556명

2020년
12,261명
4,251명
7명
788명
17,307명
[29]
2021년
14,353명
4,955명

975명
20,283명

2022년
19,360명
5,956명

1,280명
26,596명

출처
철도통계연보

  • 외곽지에 있는 관계로 개통 초기에는 하루 4,000여 명 정도로 이용객이 적을 것이라고 예상했으나# 이러한 예상과는 달리 개통 약 2년 만인 2013년에 5,000명을 기록했다. #
  • 그 후에도 세종특별자치시로 정부 기관이 이전하면서 2015년 1분기 하루 평균 9,182명, 동년 7월 기준 15,000명을 기록해 이용객이 당초 예상의 3배가 됐다. 2015 1분기 2015년 7월 이는 2013년까지 이용객 수가 비슷했던 포항직결선 개통 직전의 신경주역(6,500명)보다 많고 호남고속선 개통 후의 광주송정역(11,000명)과 비슷할 정도. 누적 이용객 역시 같은 시기 800만 명을 달성했다#
  • 2016년부터 세종시가 어느 정도 정착되면서 일 평균 이용자 수는 1만 명대를 유지하고 있다. 이는 세종시 기관 이전이 대부분 완료되어 정착 인구가 늘어나고, 서울 ↔ 세종 간 고속버스 이용의 증가에서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 SRT 개통으로 강남 접근성이 좋아져 현재 일 평균 이용객 수가 증가하고 있으며, 500만을 이어 600만을 돌파할 예정이다. 기사1
  • 2017년 연간 이용객 수는 658만명을 기록했다. 오송역의 이용객 수는 2015년부터 연 100만명씩 증가하는 추세다.
  • 2018년 1 ~ 10월 오송역의 이용객 수는 624만명을 넘었으며, 올해 예상 이용객 수는 750만 명, 일 평균 승객 수는 2만명을 넘는다. 기사
  • 실제로 오송역이 이용객이 많다는 것은 직접 이용해보면 체감할 수 있는데, 대합실의 카페와 음식점, 벤치에는 빈자리를 찾기 힘들고 승하차시에 시간이 오래 걸려서 지연시간이 2~3분 늘어나는 일도 다반사로 일어난다. 특히, 2020년대 들어 오송 지역의 산업단지와 신도시가 개발되고, 청주시 측에서도 대중교통 연계를 적극적으로 확충하고 있다.
  • 고속철도의 입지 덕에 무궁화호 수요도 덩달아 늘어나면서 오송역 이용객 증가에 한몫했다고 볼 수 있다.



6. 연계교통[편집]



6.1. 오송역버스환승센터[편집]


파일:바로타 BI.svg
오송역 정류장
五松驛 | Osong Station

[2번 승강장]
[6번 승강장]
1434
1458
청주공항 방면 오송휴먼시아아파트
1.4 ㎞ →
[3번 승강장]
013012(대전)
시종착
[4번 승강장]
13012(세종)
시종착
시종착
개업일
B1
2016년 7월 20일
B2
2013년 4월 22일
B3
2012년 6월 1일
B4
2022년 9월 1일
↑ 철도역 운행계통 보기 ↑

파일:20200622_141142.jpg
오송역 버스환승센터로 통하는 오송역 7번 출구.

파일:버스정류장2.png오송역2.3.4 (청주 1434 / 세종 13012)


파일:버스정류장2.png오송역5 (청주 1447)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c82127; font-size: .9em"
509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c82127; font-size: .9em"
747

파일:버스정류장2.png오송역6 (청주 1458)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10bf2e; font-size: .9em"
502

파일:버스정류장2.png오송역7 (청주 1497)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4295d1; font-size: .9em"
525

파일:버스정류장2.png오송역8 (청주 1462)

[시외]세종-충북혁신도시

[시외]오송역-인천공항T2


개통 후 한동안 역 하부 오송가락로 노변 정류장을 이용했으나, 2020년 1월 16일에 청주시에서 오송역 7번 출구 서부광장에 터미널 형태의 시내버스 환승센터를 개소했다. 이에 따라 승객 혼란은 줄어들었으나, 개소 초기에는 각 노선의 배차 간격에 대한 고려 없이 단순히 방면별로 한 개의 승차장만을 배정했던 탓에[30] 먼저 진입한 차가 사람을 다 태우기까지 기다려야 하는 상황이 일어나며 승하차 지연이 잦았다. 그나마 종착 차량 하차장은 2면이 배치되어, 열차를 급하게 타야 하는 사람들에게는 용이하다. 또한 이용 편의 측면 밖에 설계 문제도 거론됐는데, 통로가 폭이 좁고 커브가 급해 진출입이 어려우며 세종시에서 운행하는 굴절버스는 더더욱 진입하기 어려워 문제가 되었다.[31]

2021년 9월부터 공사를 거쳐 세종 방면 승강장이 2면으로 변경되어 3번 승강장은 B1번 전용, 4번 승강장은 B2번과 세종터미널행 B3번이 사용하게 됐다. 그리고 공북 승강장과 시외버스 승강장이 합쳐졌다.

2023년 6월 23일부터 승강장 배치가 소폭 변경됐다. 하차 전용이던 2번 승강장이 세종터미널행 B3번 전용으로 바뀌었고[32], 이를 대신하여 하차 전용 1번 승강장의 주차면 바로 뒤에 주차면을 하나 더 만들었다.

세종 방면으로는 B1, B2, B3, B4 네 개의 바로타 노선이 운행되고 있으며 2~4번홈에서 승하차한다. B3번은 아직 B1번, B2번, B4번과의 환승할인이 지원되지 않는데, 이를 해결하기 위해 통합환승요금 체계의 구축 논의가 현재 진행 중이다. 이외에 오송역-반석역 간 자율주행 실증사업 노선인 A2번, A3번 노선도 이 곳에서 승하차를 하고 있다.

청주 시내 방면으로는 747(급행), 502(좌석, 급행), 500, 511, 517번을 이용할 수 있다. 가경동터미널, 사창사거리, 상당사거리까지는 모두 경유하고, 747번은 청주대학교를 거쳐 청주국제공항으로, 511, 517번은 청주대학교를 거쳐 사천동 방면, 502, 500번은 용암동 방면으로 빠진다. 502번이 들어오지 않았을 때는 모두 합쳐 10~15분 간격으로 버스가 왔으나, 배차간격이 짧은 502번이 2017년 3월부터 오송역을 경유하게 되어 배차간격이 크게 개선됐다. 또한 2022년 1월 1일부터 502번에 급행버스가 신설되어 배차간격이 긴 747번 대용으로 사용이 가능해졌다.[33]

조치원 방향으로는 502[34], 525, 52번을 이용할 수 있다.

오송생명단지 방향으로는 B3(광역급행), 511, 515-1/2, 525, 53, 535번을 이용할 수 있다. 이 중 B3번은 오창과학단지를 거쳐 청주국제공항으로, 53, 535번은 옥산, 오창과학단지를 거쳐 오창종점, 오창3산업단지로 간다. 517, 52번은 생명단지 이곳저곳을 경유하지는 않고 생명단지 근처의 농촌 마을들을 잇는다. 생명단지에서 노선들이 가는 길이 전부 다르니 주의해야 한다.

근처에 위치한 한국교원대학교로 가는 노선 518번이 2023년 12월 9일 개통하였다. 시간이 맞지 않을 경우 일단 청주시내 방면 버스를 아무거나 타고 '탑연삼거리'에서 내린 다음 걸어가거나, 삼거리 안쪽 '탑연리' 정류장에서 513번, 514번 등으로 환승하면 된다. 양 노선 모두 배차간격이 45분 정도로 길므로 주의.

출구가 상당히 비좁다. 조심히 운전하지 않으면 부딪힐 위험성이 크다. 도로 폭이 버스 1대만 딱 들어갈 수 있는 크기에다가, 들어가면 옆 공간이 거의 없다. 주변에 풀들이 무성하게 자라있어 풀들이 버스를 스친다.

만약 오송역에서 처음 버스환승센터를 통해 버스를 이용하려고 할 때 3번 출구 앞 횡단보도 건너편에 있는 이 곳과 헷갈리지 말자. 이 곳은 충전소이며 여기서 승하차가 불가능하다. 버스환승센터 개소 전 이 횡단보도 옆에 버스 정류장이 있었고 BRT 노선들을 포함한 대부분의 버스 노선들이 이 곳에서 승하차했지만 환승센터 개소 후 정류장이 철거됐다. 7번 출구를 기억하면 된다.

8번 승차홈은 공북행 노선들, 청주콜버스와 함께 시외버스 노선 승하차용으로 지정되어 있고, 실제로 세종-충북혁신도시 노선이 이 곳에 중간 정차한 적이 있었다. 코로나19의 영향으로 인해 현재는 운휴 중. 2023년 6월에는 청주북부-인천공항T2 간 노선이 이 곳까지 연장 인가된 것이 확인됐고, 6월 23일부터 연장 운행을 개시했다.

6.1.1. 승차홈[편집]


번호
행선지
1
종착(53, 511, 521, 535, B1, B2, B3단축, B4, A2, A3)
2
세종고속시외버스터미널(B3)
3
대전역(B1)
4
반석역(B2, B4, A2, A3)
5
예비군훈련장(500), 동부종점(502, 503, 509), 한국교원대학교(518), 청주국제공항(747), 지하상가(502단축), 청주대교(511단축), 청주고속버스터미널(500단축, 502단축, 747단축)
6
오창종점(53), 송산공원(503), 정하종점(511), 보건의료행정타운(518, 525), 조치원역(521), 오창제3산업단지종점(535), 청주국제공항(B3)
7
조치원역(502, 509, 525)
8
충북혁신도시터미널/세종고속시외버스터미널(충북리무진 시외), 인천공항터미널(대원고속 시외)

6.2. 자가용/택시[편집]


기본적으로 파크웨이 철도역이기 때문에 주차장은 꽤 넓다. 이 중에서 A주차장(346대)과 C주차장(88대)만 한국철도공사에서 관리하며, 나머지 B주차장(437대), D주차장(480대), E주차장(470대), K주차장(246대)은 위탁 관리하고 있다. K주차장은 다른 주차장보다 역까지 거리가 조금 있다. 당연히 요금은 이곳이 가장 저렴하다.

택시 이용 시 오송역은 구 청원군 지역이므로 읍면지역 복합할증이 자동으로 적용된다. 복합할증 적용 구역 중에서 공차로 되돌아올 확률이 낮은 곳이므로 청주시 택시기사들이 선호하는 목적지이며, 이 제도를 이용해 청주시 동 지역 또는 강내면[35]과 오송역 사이만을 오가는 이른바 '경계운행'이라는 것이 청주시에서 성행하고 있다. #

청주 택시와 세종 택시 모두 정부세종청사 가는 승객에게는 특별 할인가를 적용한다.
오송역 A, C주차장
주차장 기본요금
30분 까지 1,400원
주차장 추가요금
10분 당 700원
장기 주차요금
1일주차 10,000원
월정기 80,000원[36]
할인
열차 이용 : 30%
경차, 국가유공자, 장애인, 저공해 : 50%
주차대수 346, 88대 / 042-719-7919

오송역 B주차장
주차장 기본요금
30분 까지 1,500원
주차장 추가요금
30분 당 1,500원
장기 주차요금
1일주차 13,600원
월정기 115,000원
할인
열차 이용 : 30%
경차, 국가유공자, 장애인 : 50%[A]
주차대수 437대 / 010-5966-8586

오송역 D주차장
주차장 기본요금
30분 까지 2,000원
주차장 추가요금
15분 당 1,000원
장기 주차요금
1일주차 12,000원
월정기 100,000원
할인
열차 이용 : 30%
경차, 국가유공자, 장애인, 저공해 : 50%
주차대수 480대 / 1588-8032

오송역 E주차장
주차장 기본요금
30분 까지 2,000원
주차장 추가요금
15분 당 1,000원
장기 주차요금
1일주차 12,000원
할인
열차 이용 : 30%
경차, 국가유공자, 장애인 : 50%[A]
주차대수 470대 / 043-231-6968

오송역 K주차장
주차장 기본요금
30분 까지 1,000원
주차장 추가요금
15분 당 500원
장기 주차요금
1일주차 7,000원
월정기 80,000원
주차대수 246대 / 043-234-0506

파일:청주시 CI_White.svg충북 청주시 택시
일반택시
기본요금 4,000원(2km)
추가(병산제) 100원(32초/127m)
시외할증 20%
심야할증 20~40%[37]
읍면지역 기본요금 4,000원(1.12km)
읍면지역 복합할증 35% 135원(32초/127m)
세종청사(어진동) 지역에는 복합할증 미적용
그 외 지역 미터기 요금 징수
유료도로 이용료 승객 부담

파일:세종특별자치시 휘장_White.svg 세종특별자치시 택시
일반택시
기본요금 3,300원(1.5km)
추가(병산제) 100원(33초/105m)
할증 25%(야간[38]/시외)
세종청사(어진동) 지역에는 16,000원
그 외 지역 미터기 요금 징수
유료도로 이용료 승객 부담


7. 사건 사고[편집]



7.1. 2016~, 세종역 신설 논란[편집]




7.2. 2018 오송역 전차선 단전사고[편집]





7.3. 2023 오송역 선로 봉쇄 예고[편집]


청주 궁평2지하차도 침수 사고로 인해 복구 작업이 있는 중 오송주민비상대책위원회 측이 "빠른 조치 없을 시 36번 국도KTX오송역[* 오송역 역사 자체를 봉쇄하는 것이 아니라 오송역 구내 선로를 봉쇄하는 것을 말한다. 역사를 봉쇄하면 열차는 통과만 하고 그 지역 주민들만 못 쓰는 것이 되기 때문. ]을 농기구로 봉쇄하는 집단행동에 나서겠다" 라고 발표했다. #1 #2

2023년 여름 한반도 폭우 사태로 인해 고속선을 제외한 모든 간선철도 열차 운행이 중단되거나 대폭 축소된 것을 생각하면 경부고속선과 호남고속선의 분기역인 오송역의 봉쇄 예고는 테러 예고나 다름없다고 볼 수 있다.

8. 여담[편집]


  • 2013년부터 2022년까지, 오송역에서 오송 화장품뷰티산업엑스포(오송뷰티박람회)를 매해마다 개최했다.[39] #

  • 2023년 1월, 역사 내 자리에 스킨밴드(폰케이스), 다이아나 롤랜드(패션잡화), 레드아이(악세사리)가 새로 입점했다.

  • 2023년 원래 결혼식장이 있던 2층을 리모델링하여 코레일 라운지로 탈바꿈했다. 할리스커피, 빨라쪼, 분식, 한식 가게 등이 입점하였으며 소파가 비치된 휴식공간도 많이 마련되어 있어 잠시 대기하기 좋다.

  • 오송역의 설립 과정을 다룬 책 <오송역>이 2023년 5월 출판됐다. 저자는 <거대도시 서울 철도>의 저자 전현우, 부제는 "이상한 분기역의 비밀과 오차 수정의 길". 기사 #

9. 둘러보기[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