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6년 일본시리즈

덤프버전 :

[ 펼치기 · 접기 ]
파일:마이니치 오리온즈 심볼.svg파일:1950-1952 요미우리 자이언츠 로고(붉은색).svg파일:1950-1952 요미우리 자이언츠 로고(붉은색).svg파일:요미우리 자이언츠 로고(1954-60).svg파일:주니치식 c로고.svg
1950년 일본시리즈1951년 일본시리즈1952년 일본시리즈1953년 일본시리즈1954년 일본시리즈
파일:요미우리 자이언츠 로고(1954-60).svg파일:니시테츠 라이온즈 블랙로고.svg파일:니시테츠 라이온즈 블랙로고.svg파일:니시테츠 라이온즈 블랙로고.svg파일:난카이호크스 초록색 로고.svg
1955년 일본시리즈1956년 일본시리즈1957년 일본시리즈1958년 일본시리즈1959년 일본시리즈
파일:타이요 훼일즈 심볼(1960).svg파일:요미우리 자이언츠 로고(1961-74).svg파일:토에이 모자로고 1960s.svg파일:요미우리 자이언츠 로고(1961-74).svg파일:난카이호크스 초록색 로고.svg
1960년 일본시리즈1961년 일본시리즈1962년 일본시리즈1963년 일본시리즈1964년 일본시리즈
파일:요미우리 자이언츠 로고(1961-74).svg파일:요미우리 자이언츠 로고(1961-74).svg파일:요미우리 자이언츠 로고(1961-74).svg파일:요미우리 자이언츠 로고(1961-74).svg파일:요미우리 자이언츠 로고(1961-74).svg
1965년 일본시리즈1966년 일본시리즈1967년 일본시리즈1968년 일본시리즈1969년 일본시리즈
파일:요미우리 자이언츠 로고(1961-74).svg파일:요미우리 자이언츠 로고(1961-74).svg파일:요미우리 자이언츠 로고(1961-74).svg파일:요미우리 자이언츠 로고(1961-74).svg파일:롯데 오리온즈 엠블럼.svg
1970년 일본시리즈1971년 일본시리즈1972년 일본시리즈1973년 일본시리즈1974년 일본시리즈
파일:한큐 브레이브스 레드 심볼.svg파일:한큐 브레이브스 레드 심볼.svg파일:한큐 브레이브스 레드 심볼.svg파일: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 심볼.svg파일:히로시마 도요 카프 심볼.svg
1975년 일본시리즈1976년 일본시리즈1977년 일본시리즈1978년 일본시리즈1979년 일본시리즈
파일:히로시마 도요 카프 심볼.svg파일:요미우리 자이언츠 로고(1975-84).svg파일:세이부 라이온즈 심볼.svg파일:세이부 라이온즈 심볼.svg파일:히로시마 도요 카프 심볼.svg
1980년 일본시리즈1981년 일본시리즈1982년 일본시리즈1983년 일본시리즈1984년 일본시리즈
파일:한신 타이거스 블랙 심볼.svg파일:세이부 라이온즈 심볼.svg파일:세이부 라이온즈 심볼.svg파일:세이부 라이온즈 심볼.svg파일:요미우리 자이언츠 로고(1985-92).svg
1985년 일본시리즈1986년 일본시리즈1987년 일본시리즈1988년 일본시리즈1989년 일본시리즈
파일:세이부 라이온즈 심볼.svg파일:세이부 라이온즈 심볼.svg파일:세이부 라이온즈 심볼.svg파일: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 심볼.svg파일:요미우리 자이언츠 심볼.svg
1990년 일본시리즈1991년 일본시리즈1992년 일본시리즈1993년 일본시리즈1994년 일본시리즈
파일: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 심볼(1994~2014).svg파일:오릭스 블루웨이브 심볼.svg파일: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 심볼(1994~2014).svg파일:요코하마 베이스타즈 로고(1996~2008).svg파일:후쿠오카 다이에 호크스 심볼.svg
1995년 일본시리즈1996년 일본시리즈1997년 일본시리즈1998년 일본시리즈1999년 일본시리즈
파일:요미우리 자이언츠 심볼.svg파일: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 심볼(1994~2014).svg파일:요미우리 자이언츠 심볼.svg파일:후쿠오카 다이에 호크스 심볼.svg파일:세이부 라이온즈 심볼.svg
2000년 일본시리즈2001년 일본시리즈2002년 일본시리즈2003년 일본시리즈2004년 일본시리즈
파일:치바 롯데 마린즈 심볼.svg파일: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 심볼(2004~2021).svg파일:드래곤즈 블루 심볼.svg파일:세이부 라이온즈 심볼.svg파일:요미우리 자이언츠 심볼.svg
2005년 일본시리즈2006년 일본시리즈2007년 일본시리즈2008년 일본시리즈2009년 일본시리즈
파일:치바 롯데 마린즈 심볼.svg파일: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심볼.svg파일:요미우리 자이언츠 심볼.svg파일: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 심볼.svg파일: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심볼.svg
2010년 일본시리즈2011년 일본시리즈2012년 일본시리즈2013년 일본시리즈2014년 일본시리즈
파일: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심볼.svg파일: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 심볼(2004~2021).svg파일: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심볼.svg파일: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심볼.svg파일: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심볼.svg
2015년 일본시리즈2016년 일본시리즈2017년 일본시리즈2018년 일본시리즈2019년 일본시리즈
파일: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심볼.svg파일: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 심볼.svg파일:오릭스 버팔로즈 심볼.svg파일:한신 타이거스 블랙 심볼.svg파일:국기.svg
2020년 일본시리즈2021년 일본시리즈2022년 일본시리즈2023년 일본시리즈2024년 일본시리즈




파일:1996년 일본시리즈 우승팀 오릭스 블루웨이브.jpg
1996년 일본시리즈 우승팀
오릭스 블루웨이브
MVP트로이 닐

1. 개요
2. 일정표
3. 경기결과
4. 타이틀 시상
5. 기타
6. 둘러보기 틀



1. 개요[편집]



1996년 10월 19일~10월 24일까지 개최되었으며, 이 해 센트럴 리그 우승팀 요미우리 자이언츠퍼시픽 리그 우승팀인 오릭스 블루웨이브가 맞붙어, 오릭스 블루웨이브가 4승 1패로 1977년 이후 약 20년만의 리턴매치에서 승리하며 4번째 일본시리즈 우승을 차지했다.

2년 연속 그린 스타디움 고베에서 열린 일본시리즈이자 스즈키 이치로가 처음으로 경험한 우승. 전년도 준우승이던 홈구장에서 드디어 우승기를 꽂았다. 요미우리의 리그 우승 덕인지 홈구장인 도쿄는 관중몰이가 잘된건 덤.

2. 일정표[편집]


1996년 일본시리즈, 오릭스 블루웨이브 : 요미우리 자이언츠, 7전 4선승제
일시, 장소스코어
1차전10.19(토) 18:11도쿄 돔O오릭스 4 : 3 요미우리X
2차전10.20(일) 18:11O오릭스 2 : 0 요미우리X
3차전10.22(화) 18:33그린 스타디움 고베X요미우리 2 : 5 오릭스O
4차전10.23(수) 18:33O요미우리 5 : 1 오릭스X
5차전10.24(목) 18:33X요미우리 2 : 5 오릭스O

3. 경기결과[편집]


짝수 해이기 때문에 이 해 일본시리즈센트럴 리그 구단인 요미우리 자이언츠어드밴티지를 가졌다.


3.1. 1차전 : 10월 19일, 도쿄 돔[편집]


일자: 10월 19일, 경기시간: 18시 04분~21시 46분, 관중수: 45,121명
선발12345678910R
오릭스호시노 노부유키00000003014
요미우리사이토 마사키10000000203
  • 승리투수 : 스즈키 타이라(오릭스, 1승)
  • 패전투수 : 고노 히로부미(요미우리, 1패)
  • 세이브 : 히라이 마사후미(오릭스, 1세이브)
홈런 : 오릭스 - 이치로(10회 1점) , 요미우리 - 오모리 타케시(9회 2점)[1]


3.2. 2차전 : 10월 20일, 도쿄 돔[편집]


일자: 10월 20일, 경기시간: 18시 33분~21시 26분, 관중수: 45,086명
선발123456789R
오릭스윌리 프레이저0002000002
요미우리마키하라 히로미0000000000
  • 승리투수 : 윌리 프레이저(오릭스, 1승)
  • 패전투수 : 마키하라 히로미(요미우리, 1패)
  • 세이브 : 스즈키 타이라(오릭스, 1승 1세이브)
홈런 : 없음


3.3. 3차전 : 10월 22일, 그린 스타디움 고베[편집]


일자: 10월 22일, 경기시간: 18시 10분~21시 06분, 관중수: 33,026명
선발12345678910R
요미우리발비노 갈베스01000100002
오릭스노다 코지140000000X5
  • 승리투수 : 노다 고지(오릭스, 1승)
  • 패전투수 : 발비노 갈베스(요미우리, 1패)
  • 세이브 : 스즈키 타이라(오릭스, 1승 2세이브)
홈런: 요미우리 – 셰인 맥(2회 1점), 니시 도시히사(6회 1점)


3.4. 4차전 : 10월 23일, 그린 스타디움 고베[편집]


일자: 10월 23일, 경기시간: 18시 10분~21시 35분, 관중수: 33,070명
선발123456789R
요미우리미야모토 카즈토모0200012005
오릭스토요타 지로0010000001
  • 승리투수 : 기다 마사오(요미우리 1승)
  • 패전투수 : 토요타 지로(오릭스, 1패)
홈런: 요미우리 – 오모리 다케시(6회 1점)


3.5. 5차전 : 10월 24일, 그린 스타디움 고베[편집]


일자: 10월 24일, 경기시간: 18시 10분~21시 36분, 관중수: 33,222명
선발123456789R
요미우리사이토 마사키0011000002
오릭스호시노 노부유키00500000X5
  • 승리투수 : 이토 다카히데(오릭스, 승)
  • 패전투수 : 사이토 마사키(요미우리, 1패)
  • 세이브 : 스즈키 타이라(1승 3세이브)
홈런: 요미우리 – 니시 도시히사(3회 1점)

오릭스의 19년 만에 4번째이자 홈에서 첫번째 일본시리즈 우승을 거두게 된다.


4. 타이틀 시상[편집]


  • MVP : 트로이 닐(오릭스)
  • 감투상 : 니시 도시히사(요미우리)
  • 우수 선수상 : 스즈키 다이라, 오시마 고이치, 이치로(이상 오릭스)


5. 기타[편집]


  • 스즈키 이치로의 처음이자 마지막 우승이다. 이후 NPB 리그를 평정하고 MLB진출했으나 팀은 단 한 번도 월드 시리즈 문턱을 밟아보지 못했다.
  • 시리즈에서 MVP를 받은 트로이 닐은 일본에서의 활약으로 2001년 한국 야구팀인 두산 베어스에 입단을 했으나 성적 부진 및 어이없는 사고로 얼마 못 가서 방출된다. 이후 외인 선수가 일본시리즈 MVP를 받게 되는 건 2012년과 13년도에 잠시 오릭스에서 뛰었던 이대호였다.[2]
  • 약 20년 만에 만난 오릭스와 요미우리의 승부는 비등할 전력으로 비췄으나 4승 1패로 이기며 트로피를 들었다.
  • 오릭스는 전년도 홈구장에서 야쿠르트에게 4승 1패로 무릎을 꿇었으나, 다시 전력을 잡아 기어이 우승을 했다. 블루웨이브라는 이름으로 우승을 한 마지막 시즌이며 이후 오사카 킨테츠 버팔로즈와 병합하여 오릭스 버팔로즈로 팀명을 변경하였으나 2022년 일본시리즈에서 우승할 때까지는 우승 트로피를 들지 못했다.
  • 스즈키 타이라는 4차전을 제외한 전경기 투구를 하여 팀의 우승을 확정짓는 헹가래 투수를 했다. 일명 타이라에서 타이라 까지.
  • 국내 야구팬에게도 익숙한 발비노 갈베스가 이해에 일본프로야구에 데뷔하며 약 5년간 활동하였다. 비슷한 시기에 조성민도 이해 입단하였지만 1군 기록은 없고 이듬해부터 뛰기 시작한다.
  • 나가시마 시게오는 1976년, 1977년 일본시리즈에서 한큐 브레이브스에게 깨진 이후 19년 만에 한큐를 인수한 오릭스와 맞붙었으나 또다시 악연을 피하지 못하고 우승에 실패했다. 그리고 10년뒤 한큐는 나가시마가 어릴때 동경하던 한신 타이거즈를 꿀꺽해버렸다.
  • 오릭스 버팔로즈는 2022년, 26년 만에 야쿠르트 스왈로즈를 꺾고 우승을 차지하였으며 우승을 이끈 나카지마 사토시 감독은 이때 당시 선수로서 우승에 이바지하였다.


6. 둘러보기 틀[편집]



}}} ||
[ 펼치기 · 접기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91919><colbgcolor=#000019><colcolor=#ffffff> 모기업 관련 정보 ||모기업 파일:오릭스 로고.svg 오릭스그룹 ||
|| 일본시리즈 우승
★★★★★ ||1975 · 1976 · 1977 · 1996 · 2022 ||
|| 리그 우승
(15회) ||1967 · 1968 · 1969 · 1971 · 1972 · 1975 · 1976 · 1977 · 1978 · 1984 · 1995 · 1996 · 2021 · 2022 · 2023 ||
|| 퍼시픽리그 전·후기 우승
(9회) ||1973후기 · 1974전기 · 1975전기 · 1976전후기 · 1977전기 · 1978전후기 · 1979후기 ||
|| 클라이맥스 시리즈 ||2008 · 2014 · 2021 · 2022 · 2023 ||
|| 시즌 문서 ||2019 · 2020 · 2021 · 2022 · 2023 ||
|| 현역 선수 경력 ||모리 토모야/선수 경력 · 니시카와 료마/선수 경력 ||
|| 경기장 ||1군 교세라 돔 오사카 · 홋토못토 필드 고베 · 2군 마이시마 베이스볼 스타디움 · 지방 홈구장 와카사 스타디움 교토 ||
|| 홈 중계 채널 ||파일:J SPORTS 3 로고.svg ||
|| 주요 인물 ||감독 나카지마 사토시 · 선수회장 스기모토 유타로 · 주장 공석 ||
|| 구단 상세 정보 ||역사 · 오사카 킨테츠 버팔로즈 · 선수단 및 등번호 · 역대 선수 · 응원가 · 유니폼 · 버팔로 벨 · 10.2 결전 · 칠석의 비극 · 오릭스-라쿠텐 분배 드래프트 ||
|| 틀 문서 ||<bgcolor=#000019> 코칭스태프투수포수내야수외야수육성선수역대 감독
역대 1라운더(한큐-오릭스) | 역대 1라운더(킨테츠)
||

[1] 오오모리 미유의 친아빠다.[2] 물론 우승은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에 가서 했다. 2015년 일본시리즈 MVP.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15 22:38:06에 나무위키 1996년 일본시리즈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