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60년 재보궐선거

덤프버전 :


파일:투표 아이콘(흰 테두리).svg 대한민국의 주요선거
[ 펼치기 · 접기 ]
종류최근선거다음선거
대통령 선거19대
2017년 5월 9일
20대
2022년 3월 9일
[ 역대 선거 펼치기 · 접기 ]
1대 · 2대 · 3대 · 3.15 · 4대 · 5대 · 6대 · 7대 · 8대 · 9대 · 10대 · 11대 · 12대 · 13대 · 14대 · 15대 · 16대 · 17대 · 18대 · 19대 · 20대
국회의원 선거21대
2020년 4월 15일
22대
2024년 4월 10일
[ 역대 선거 펼치기 · 접기 ]
제헌 · 2대 · 3대 · 4대 · 5대 · 6대 · 7대 · 8대 · 9대 · 10대 · 11대 · 12대 · 13대 · 14대 · 15대 · 16대 · 17대 · 18대 · 19대 · 20대 · 21대 · 22대
전국동시지방선거7회
2018년 6월 13일
8회
2022년 6월 1일
[ 역대 선거 펼치기 · 접기 ]
1952 · 1956 · 1960 · 1991
1회 · 2회 · 3회 · 4회 · 5회 · 6회 · 7회 · 8회
재보궐선거2021년
2021년 4월 7일
2022년 1분기
2022년 3월 9일
[ 역대 선거 펼치기 · 접기 ]
2대 부선* · 1993 · 1994 · 1996 · 1997 · 1998 · 1999 · 2000 · 2001 · 2002 · 2003 · 2004 · 2005 · 2006 · 2007 · 2008 · 2009 · 2010 · 2011( · ) · 2012( · ) · 2013( · ) · 2014( · ) · 2015( · ) · 2016 · 2017(4월 · 5월) · 2018 · 2019 · 2020 · 2021 · 2022(3월 · 6월)
국민투표**6차
1987년 10월 27일
시행 불가능***
[ 역대 투표 펼치기 · 접기 ]
1차 · 2차 · 3차 · 4차 · 5차 · 6차
* 제2대 부통령 선거는 대통령 선거와 병행하지 않고 이시영 부통령의 사임에 의해 별도로 시행한 보궐선거이므로 편의상 보궐선거로 분류함.
** 국민투표는 선거에 포함되지 않으나, 편의상 기술함.
*** 2014년 7월 24일 헌법재판소가 국민투표법 제14조 제1항 내용 중 일부에 대해 헌법 불합치 결정을 내렸으나, 국회에서 추가적인 법률 개정이 이뤄지지 않아 2016년 1월 1일자로 효력을 상실하여 시행 불가함.




1. 개요
2. 1월 23일
2.1. 지역별 선거 결과
2.1.1. 경상북도 제20선거구 (영일군 을)
2.1.2. 경상북도 제36선거구 (영주군)
3. 10월 10일
3.1. 지역별 선거 결과
3.1.1. 서울특별시 제1선거구 (종로구 갑)
3.1.2. 경기도 제7선거구 (양주군 갑)
4. 12월 30일
4.1. 지역별 선거 결과
4.1.1. 경기도 제25선거구 (옹진군)



1. 개요[편집]


대한민국의 공직선거법 규정에 따라 1960년 중에 치러진 재보궐선거다. 2000년 2월 이전까지는 재보궐선거의 일정이 정례화 되지 않아 지역마다 선거일이 모두 달랐다.[1]

2. 1월 23일[편집]


1960년 1월 재선거/국회의원 선거 결과

2석
제4대 국회의원

1960년 1월 재보궐선거 지역구
국회의원
경상북도 영일군 을 김익노(자유당)당선무효
경상북도 영주군 이정희(자유당)당선무효

  • 당선자
    • 경상북도 영일군 을 김장섭 (자유당)
    • 경상북도 영주군 이정희 (자유당)

대한민국 제1공화국 말기에 치러진 재선거였다. 이 선거도 후에 있을 3.15 부정선거처럼 엄청난 탈법과 불법선거가 일어났고, 급기야 양 선거구 야당 후보자들이 부정개표에 항의해 입후보 포기와 개표소 참관인석에서 일제히 퇴장하는 등 이승만 정부의 몰락을 암시하는 징조가 보였다.

참고로 영일 을의 김익노는 제4대 국회의원 선거무효, 1959년 재보궐 선거[2] 당선무효로 당선이 2번이나 무효되었음에도, 이번 재선거에 또 출마하려 하였으나 1960년 1월 후보직을 사퇴했다.

2.1. 지역별 선거 결과[편집]



2.1.1. 경상북도 제20선거구 (영일군 을)[편집]


경상북도 제20선거구
구룡포읍, 연일면, 대송면, 조천면, 동해면, 지행면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김장섭(金長涉)29,4031위

62.90%당선
2현석호(玄錫虎)3,8572위

22.20%낙선
3김익노(金益魯)-사퇴

[[무소속|
무소속
]]
-
선거인 수42,005투표율
85.30%
투표 수33,360
무효표 수3,150

2.1.2. 경상북도 제36선거구 (영주군)[편집]


경상북도 제36선거구
영주군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박용만(朴容萬)12,1222위

[[무소속|
무소속
]]
24.50%낙선
2이정희(李正熙)24,8881위

50.30%당선
3황호영(黃虎榮)-사퇴

-
선거인 수투표율
77.80%
투표 수37,010
무효표 수12,460


3. 10월 10일[편집]


1960년 10월 보궐선거/국회의원 선거 결과

무소속
1석1석
제5대 국회의원

1960년 10월 보궐선거 지역구
국회의원
서울특별시 종로구 갑 윤보선 (민주당)제4대 대통령 당선
(국회의원 사퇴)
경기도 양주군 갑 강영훈 (민주당)사망

  • 당선자
    • 서울특별시 종로구 갑 전진한 (무소속)
    • 경기도 양주군 갑 조윤형 (민주당)

3.1. 지역별 선거 결과[편집]



3.1.1. 서울특별시 제1선거구 (종로구 갑)[편집]


서울특별시 제1선거구
자하동, 청송동, 인왕동, 누각동, 백송동, 매동, 사직동, 종교동, 중앙동, 신문동, 광교동, 수진동, 종각동, 대사동, 전훈동, 별궁동, 태화동, 백록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김두한(金斗漢)8,7382위

[[무소속|
무소속
]]
46.08%낙선
2박은혜(朴恩惠)5,1883위

35.30%낙선
3전진한(錢鎭漢)11,3261위

[[무소속|
무소속
]]
49.53%당선
4장후수(張厚水)3,6454위

[[무소속|
무소속
]]
29.08%낙선
선거인 수42,431투표율
56.30%
투표 수29.593
무효표 수596

3.1.2. 경기도 제7선거구 (양주군 갑)[편집]


경기도 제7선거구
의정부읍, 주내면, 회천면, 이담면, 은현면, 광적면, 백석면, 장흥면, 남면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김명수8627위

[[무소속|
무소속
]]
7.28%낙선
2강봉근5,4853위

19.65%낙선
3김종규(金宗奎)11,0192위

[[무소속|
무소속
]]
25.46%낙선
4김현진1,5546위

[[무소속|
무소속
]]
10.28%낙선
5임승학2,6825위

16.47%낙선
6조윤형(趙尹衡)14,3901위

30.43%당선
7남승희4,4264위

[[무소속|
무소속
]]
18.16%낙선
선거인 수69,488투표율
71.50%
투표 수48,288
무효표 수1,390

4. 12월 30일[편집]


1960년 12월 재선거/국회의원 선거 결과
무소속
1석
제5대 국회의원

1960년 12월 재선거 지역구
국회의원
경기도 옹진군 손치호
(무소속)
선거무효

  • 당선자


4.1. 지역별 선거 결과[편집]



4.1.1. 경기도 제25선거구 (옹진군)[편집]


경기도 제25선거구
옹진군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장익현(張翼鉉)1,4771위
36.50%당선
2손치호(孫致浩)1,4392위
35.74%낙선
선거인 수-투표율
78%
투표 수1,085
무효표 수-

[1] 그래서 위키백과나 나무위키 문서에 기재되지 않은 2000년 이전 재보선 결과도 상당하다. 지역별로 날짜가 전부 달라 목록을 만드는 데 어려움이 있기 때문이다. 2000년 이전의 지역별 재보선 결과를 자세히 알고 싶다면 중앙선관위 자료를 참고하길 바람. # [2] 본인이 본인 재선거에 출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