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4대 국회의원

덤프버전 :



1958년 5월 31일 ~ 1960년 7월 28일


1. 시도별 의석수 변동사항
2. 지역구 의원
2.1. 민의원
2.1.1. 서울특별시[1]



1. 시도별 의석수 변동사항[편집]


  • 서울특별시 변동없음
  • 경기도 2석 증가[2]
  • 강원도 8석 증가[3]
  • 충청북도 1석 증가
  • 충청남도 3석 증가
  • 전라북도 2석 증가
  • 전라남도 2석 증가
  • 경상북도 4석 증가
  • 경상남도 8석 증가
  • 제주도 변동 없음

총 의석 수가 30석 증가했다. 구체적인 변경 내역은 각 지역에서 서술.


2. 지역구 의원[편집]



2.1. 민의원[편집]


발췌 개헌으로 양원제가 채택되었으나 여당인 자유당의 반대로 제3대 국회의원 선거와 같이 민의원 선거만 실시되었다.


2.1.1. 서울특별시[4][편집]


서울특별시 제4대 국회의원 목록
지역구
이름
소속
선수
비고
종로구[종로갑]
윤보선
민주당
재선

종로구[종로을]
한근조
민주당
초선

중구[중구갑]
주요한
민주당
초선

중구[중구을]
정일형
민주당
3선

용산구[용산갑]
엄상섭
민주당
재선[A]
* 60.05.03: 임기 중 사망
용산구[용산을]
김원만
민주당
초선

성동구[성동갑]
유성권
민주당
초선

성동구[성동을]
조병옥
민주당
재선
* 60.02.15: 임기 중 사망
동대문구[동대문갑]
민관식
무소속
재선

동대문구[동대문을]
이영준
민주당
재선[B]

성북구[성북구]
서범석
민주당
재선[A]

서대문구[서대문갑]
김도연
민주당
3선[C]
* 후반기 국회부의장
서대문구[서대문을]
최규남
자유당
초선
* 60.07.01: 의원직 사퇴
마포구[마포구]
김상돈
민주당
3선[C]

영등포구[영등포갑]
윤명운
민주당
초선

영등포구[영등포을]
류홍
민주당
재선[A]


이전 국회에서 갑/을 선거구로 나눴던 마포구가 통합된 대신, 동대문구가 갑/을로 나누었다.


2.1.2. 경기도[편집]


경기도 제4대 국회의원 목록
지역구
이름
소속
선수
비고
인천시[인천갑]
김재곤
민주당
재선

인천시[인천을]
곽상훈
민주당
4선
* 전/후반기 국회의장
* 60.06.16~60.06.23: 대통령 권한대행 겸직
인천시[인천병]
김훈
민주당
초선

수원시[수원시]
홍길선
민주당
3선[D]

고양군
이성주
자유당
재선

광주군
최인규
자유당
초선
* 58.09.09: 국무위원 교통부장관 겸직
* 59.03.20: 국무위원 내무부장관 겸직
* 60.05.03: 의원직 사퇴
양주군
강영훈
민주당
초선

양주군
강성태
자유당
초선
* 60.07.02: 의원직 사퇴
연천군
이익흥
자유당
초선
* 60.05.31: 의원직 사퇴
포천군
윤성순
자유당
3선
* 60.07.01: 의원직 사퇴
가평군
홍익표
민주당
3선[D]

양평군
유용식
자유당
초선

여주군
김의준
자유당
3선

이천군
이기붕
자유당
재선
* 전반기 국회의장
* 60.04.28: 임기 중 사망
용인군
구철회
민주당
초선

안성군
오재영
자유당
재선

평택군
정존수
자유당
재선
* 60.05.26: 의원직 사퇴
화성군
손도심
자유당
재선
* 60.05.03: 의원직 사퇴
화성군
홍봉진
민주당
초선

시흥군
이재형
자유당
3선[C]

부천군
장경근
자유당
재선
* 60.05.03: 의원직 사퇴
김포군
정준
무소속
3선[C]

강화군
윤재근
무소속
3선[C]

파주군
정대천
자유당
재선

연천군
이익흥
자유당
초선

옹진군
유영준
자유당
초선


수복지구에서의 총선이 실시되면서 삼팔선 이북에 있던 연천군과 이전 국회에서 선거구가 사라졌던 옹진군이 신설되었다.[5] 물론 당시 옹진군의 영역은 서해 5도 뿐이었다.


2.1.3. 강원도[편집]


강원도 제4대 국회의원 목록
지역구
이름
소속
선수
비고
춘천시
계광순
민주당
초선

원주시
박충모
민주당
초선

강릉시
최용근
자유당
재선

춘성군
임우영
자유당
재선

홍천군
이재학
자유당
4선
* 무투표 당선
* 전반기 국회부의장
* 60.05.26: 의원직 사퇴
횡성군
장석윤
자유당
재선

원성군
홍범희
자유당
재선[B]
* 60.07.01: 의원직 사퇴
영월군
정규상
자유당
재선

평창군
황호현
무소속
재선[B]

정선군
유기수
무소속
초선

철원군
서임수
무소속
초선

김화군
박현숙
자유당
초선

화천군
박덕영
자유당
초선

양구군
최규옥
자유당
재선[A]
* 60.07.01: 의원직 사퇴
인제군
나상근
자유당
초선
* 59.03.11: 당선 무효
전형산
자유당
초선
* 59.6.5: 재선거 당선
고성군
홍승업
자유당
초선
* 60.07.02: 의원직 사퇴
양양군
이동근
자유당
초선

명주군
박용익
자유당
재선
* 무투표 당선
삼척군
김진만
자유당
재선

울진군
전만중
자유당
재선


수복지구에서의 총선 실시로 철원군, 김화군, 화천군, 양구군, 인제군, 고성군, 양양군 선거구가 신설되었고, 원주군 선거구에서 원주읍이 시로 승격하여 선거구가 추가되면서 기존 원주군 선거구는 원성군으로 변경되었다. 갑/을로 나눴던 강릉군은 강릉읍이 시로 승격되면서 선거구로 분리되었고, 남은 지역은 '명주군'으로 변경·통합되었다.


2.1.4. 충청북도[편집]


충청북도 제4대 국회의원 목록
지역구
이름
소속
선수
비고
청주시
이민우
민주당
초선

충주시
홍병각
자유당
초선

청원군
오범수
자유당
초선
* 60.07.01: 의원직 사퇴
청원군
곽의영
자유당
3선
* 58.09.09: 국무위원 체신부장관 겸직
보은군
김선우
자유당
재선

옥천군
권복인
자유당
초선

영동군
민장식
민주당
초선

진천군
정운갑
자유당
초선

괴산군
김원태
자유당
초선

음성군
김주묵
민주당
초선

중원군
정상희
자유당
초선

제천군
이태용
민주당
재선

단양군
조종호
무소속
초선


충주군 선거구에서 충주읍이 시로 승격되면서 충주시 선거구와 중원군 선거구로 나눴다.


2.1.5. 충청남도[편집]


충청남도 제4대 국회의원 목록
지역구
이름
소속
선수
비고
대전시
정락훈
자유당
초선

대전시
진형하
민주당
초선

대덕군
박병배
무소속
초선

연기군
유지원
자유당
재선

공주군
박충식
자유당
재선[A]

공주군
김학준
민주당
초선

논산군
김공평
자유당
초선

논산군
윤담
민주당
재선[A]

부여군
한광석
자유당
초선
* 60.06.30: 의원직 사퇴
부여군
임철호
자유당
초선
* 전반기 국회부의장
* 60.05.26: 의원직 사퇴
서천군
우희창
민주당
초선

보령군
이원장
자유당
초선
* 60.07.01: 의원직 사퇴
청양군
김창동
자유당
초선

홍성군
유승준
민주당
재선[A]

예산군
윤병구
자유당
재선[B]

서산군
전영석
민주당
초선

서산군
유순식
자유당
재선

당진군
인태식
자유당
재선

당진군
원용석
자유당
초선
* 60.06.28: 의원직 사퇴
아산군
이민우
자유당
초선

천안군
한희석
자유당
재선
* 전반기 국회부의장
* 60.04.27: 의원직 사퇴
천안군
김종철
자유당
초선


대전시와 천안군의 인구 증가로 두 지역이 갑/을로 나눠졌고, 서산군의 일부가 당진군(현 당진시 정미면과 대호지면)으로 넘어가면서 당진군이 갑/을로 나눠졌다. 여담으로 갑/을로 나뉜 대전시의 경우, 관할구역이 갑 선거구는 현재의 중구, 을 선거구는 현재의 동구이다.


2.1.6. 전라북도[편집]


전라북도 제4대 국회의원 목록
지역구
이름
소속
선수
비고
전주시
유청
민주당
초선

전주시
이철승
민주당
재선

군산시
김원전
자유당
초선

이리시
김원중
자유당
초선

완주군
이존화
자유당
재선
* 60.05.03: 의원직 사퇴
완주군
배성기
민주당
초선

진안군
이옥동
무소속
초선

금산군
유진산
민주당
재선

무주군
김진원
자유당
초선

장수군
정준모
자유당
재선

임실군
박세경
자유당
재선

남원군
조정훈
민주당
재선[A]

남원군
안균섭
자유당
초선

순창군
임차주
자유당
재선

정읍군
나용균
민주당
재선[B]

정읍군
송영주
민주당
초선

고창군
정세환
자유당
재선

고창군
홍순희
민주당
초선

부안군
신규식
자유당
재선
* 60.06.30: 의원직 사퇴
김제군
조한백
민주당
재선[B]

김제군
윤제술
민주당
재선

옥구군
양일동
무소속
재선

익산군
김형섭
자유당
초선

익산군
윤택중
민주당
재선[A]


인구가 늘어난 전주시와 남원군이 갑/을로 분구되었다.


2.1.7. 전라남도[편집]


전라남도 제4대 국회의원 목록
지역구
이름
소속
선수
비고
광주시
정성태
민주당
재선

광주시
이필호
민주당
초선

광주시
박흥규
자유당
재선

목포시
정중섭
민주당
재선

여수시
정재완
민주당
3선

순천시
윤형남
민주당
재선

광산군
이정휴
자유당
재선

담양군
국쾌남
무소속
초선
* 60.07.01: 의원직 사퇴
곡성군
조순
자유당
3선

구례군
이갑식
자유당
재선

광양군
황숙현
자유당
초선

여천군
이은태
자유당
초선
* 60.07.01: 의원직 사퇴
승주군
이형모
자유당
재선

고흥군
손문경
자유당
재선
* 60.07.01: 의원직 사퇴
고흥군
박철웅
자유당
재선[A]
* 60.06.30: 의원직 사퇴
보성군
안용백
자유당
초선
* 59.06.24: 당선 무효
황성수
자유당
3선
* 59.9.12: 재선거 당선
* 60.07.01: 의원직 사퇴
화순군
구흥남
자유당
재선

장흥군
손석두
자유당
재선

강진군
김향수
무소속
초선

해남군
김병순
자유당
재선

해남군
김석진
자유당
초선

영암군
김준연
통일당
3선[C]

무안군
나판수
자유당
초선

무안군
유옥우
민주당
재선

무안군
김삭
민주당
초선

나주군
이사형
무소속
초선

나주군
정명섭
자유당
재선

함평군
김의택
민주당
재선

영광군
조영규
민주당
3선[C]

장성군
변진갑
자유당
3선

완도군
김선태
민주당
재선

진도군
손재형
무소속
초선


광산군의 일부를 편입(광주광역시/역사 참조.)한 광주시(光州市)가 갑/을/병으로 나눴고, 인구가 많아진 무안군은 갑/을 선거구의 일부를 병 선거구로 늘렸다.


2.1.8. 경상북도[편집]


경상북도 제4대 국회의원 목록
지역구
이름
소속
선수
비고
대구시
신도환
자유당
초선
* 60.05.03: 의원직 사퇴
대구시
이병하
민주당
초선

대구시
이우줄
자유당
재선
* 58.12.24: 당선 무효
임문석
민주당
초선
* 58.12.31: 대법원 당선 재결정
대구시
조재천
민주당
재선

대구시
조일환
민주당
초선

대구시
이순희
자유당
초선
* 58.09.20: 당선 무효
최희송
민주당
재선[B]
* 58.09.29: 대법원 당선 재결정
* 60.06.29: 의원직 사퇴
포항시
하태환
자유당
재선

김천시
문종두
무소속
재선

경주시
안용대
무소속
재선[A]

달성군
김성곤
자유당
초선

군위군
박만원
자유당
3선
* 60.05.03: 의원직 사퇴
의성군
김규만
민주당
초선

의성군
박영교
자유당
재선

안동군
권오종
자유당
재선
* 60.02.01: 임기 중 사망
안동군
김익기
자유당
4선
* 60.07.01: 의원직 사퇴
청송군
윤용구
자유당
재선

영양군
박종길
자유당
재선
* 무투표 당선
영덕군
김원규
자유당
재선
* 59.3.12: 대법원의 선거 무효 판결로 인한 자격 상실
* 59.6.7: 재선거 당선
영일군
박순석
자유당
3선[C]
* 60.06.29: 의원직 사퇴
영일군
김익노
자유당
4선
* 58.06.22: 대법원의 선거 무효 판결로 인한 자격 상실
* 58.9.22: 재선거 당선
* 59.11.10: 당선 무효
김장섭
자유당
초선
* 60.1.23: 재선거 당선
월성군
이협우
자유당
3선

월성군
이종준
자유당
초선

영천군
김상도
자유당
재선
* 무투표 당선
영천군
권중돈
민주당
3선

경산군
박해정
민주당
3선[C]

청도군
반재현
무소속
초선

고령군
정남택
자유당
초선

성주군
주병환
민주당
초선

칠곡군
장택상
무소속
3선

금릉군
김철안
자유당
재선

선산군
김우동
자유당
재선
* 59.01.03: 대법원의 당선 무효 판결로 인한 자격 상실
김동석
무소속
초선
* 59.01.04: 대법원 당선 재결정
상주군
조광희
무소속
초선
* 60.06.28: 의원직 사퇴
상주군
김정근
무소속
초선

문경군
이동녕
자유당
초선

예천군
정재원
자유당
초선

영주군
이정희
자유당
초선

봉화군
정문흠
자유당
3선

울릉군
최병권
자유당
재선
* 무투표 당선

달성군의 일부(대구광역시/역사를 참조)를 편입한 대구시는 '갑(甲)'에서 '기(己)'에 이르는 선거구를 형성하게 되었고, 갑/을로 있던 경주군은 경주읍과 주변 지역이 경주시로 승격되면서 경주시와 월성군 갑/을 선거구로 재편성했다.


2.1.9. 경상남도[편집]


경상남도 제4대 국회의원 목록
지역구
이름
소속
선수
비고
부산시 중구
김응주
민주당
초선

부산시 서구
이상용
자유당
초선

부산시 서구
김동욱
민주당
재선

부산시 영도구
이영언
민주당
재선
* 무투표 당선
부산시 영도구
이만우
민주당
초선

부산시 동구
박순천
민주당
재선[B]

부산시 동구
오위영
민주당
재선[A]
* 60.06.30: 의원직 사퇴
부산시 부산진구
이종남
민주당
초선

부산시 부산진구
박찬현
민주당
재선[B]

부산시 동래구
김인호
자유당
초선

마산시
허윤수
민주당
초선

진주시
김용진
민주당
초선

충무시
최천
민주당
재선

진해시
주금용
무소속
초선

삼천포시
이재현
무소속
초선

진양군
구태회
자유당
초선

의령군
이영희
자유당
초선

함안군
조경규
자유당
3선

창녕군
신영주
무소속
초선

밀양군
박창화
민주당
초선

밀양군
김정환
민주당
초선

양산군
지영진
자유당
재선
* 59.7.22: 대법원 선거 무효 판결로 인한 자격 상실
* 59.9.12: 재선거 당선
울산군
안덕기
자유당
초선

울산군
김성탁
자유당
초선

동래군
조일재
민주당
초선

김해군
강종무
자유당
초선

김해군
이종수
자유당
3선

창원군
김형돈
자유당
초선

창원군
이용범
자유당
재선

통영군
서정귀
민주당
초선

거제군
진석중
자유당
초선
* 60.07.13: 임기 중 사망
고성군
최석림
무소속
초선

사천군
정헌주
민주당
재선[A]

남해군
김정기
자유당
초선

하동군
손영수
자유당
초선

산청군
김재위
자유당
초선

함양군
박상길
무소속
초선

거창군
서한두
자유당
초선

합천군
유봉순
자유당
재선

합천군
최창섭
자유당
3선[C]


강원도와 더불어서 이전 국회와 선거구가 많이 차이가 난 곳이 경상남도인데, 부산시에 구제(區制)가 실시되면서 기존 갑~무 선거구가 중·동·서·영도·부산진·동래로 재편성되었고, 그 중 중구와 동래구를 제외한 나머지 구는 갑/을로 분구했다. 또한, 사천군 삼천포읍과 남양면이 삼천포시로 승격되어 삼천포시 선거구가 신설되었고, 통영군은 3대 국회 이전에 거제군이 분리된 데 이어서 통영읍이 충무시로 승격[6]되면서 충무시/통영군/거제군으로 재편성했고, 창원군 진해읍이 진해시로 승격되면서 진해시 선거구가 신설되었다.


2.1.10. 제주도[편집]


제주도 제4대 국회의원 목록
지역구
이름
소속
선수
비고
제주시
고담룡
민주당
초선

북제주군
김두진
자유당
재선

남제주군
현오봉
무소속
초선


북제주군 제주읍이 제주시로 승격되면서 북제주군 갑/을이 제주시/북제주군으로 변경되었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6 16:17:25에 나무위키 제4대 국회의원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행정동제가 1955년 실시되어 이전까지와 달리 행정동을 기준으로 선거구가 쪼개짐[2] 6.25 전쟁의 결과 수복한 연천군 선거구 신설(이른바 수복지구), 폐지되었던 옹진군 갑, 옹진군 을 선거구를 옹진군 선거구로 통합하여 부활.[3] 6.25 전쟁의 결과 수복한 철원군, 김화군, 화천군, 양구군, 인제군, 고성군, 양양군 선거구 신설(이른바 수복지구)[4] 행정동제가 1955년 실시되어 이전까지와 달리 행정동을 기준으로 선거구가 쪼개짐[종로갑] 자하동, 청송동, 인왕동, 누각동, 백송동, 매동, 사직동, 종교동, 중앙동, 신문동, 광교동, 수진동, 종각동, 대사동, 전훈동, 별궁동, 태화동, 백록동[종로을] 계동, 원서동, 돈화문동, 탑동, 운현동, 대묘동, 비파동, 이현동, 통내동, 종로5가동, 대학동, 종로6가동, 충신동, 낙산동, 혜화동, 명륜1가동, 명륜3가동, 명륜4가동[중구갑] 덕수동, 흥천동, 청계동, 대창동, 숭남동, 도동, 동자동, 회현1가제1동, 회현1가제2동, 회현2·3가동, 남산동, 남곡동, 충무로1·2가동, 명동, 영희동, 을지로2·3가동[중구을] 동원동, 충인동, 야현동, 인현1가동, 낙선동, 장충1가동, 장충2가동, 쌍림동, 광희1가동, 광희2가동, 을지로4가동, 훈련동, 을지로6·7가동, 훈도동, 산림동, 주교동[용산갑] 원신동, 심원동, 서계동, 청파1가동, 청파2가동, 청파3가동, 원효로1가동, 원효로2가동, 효창동, 용문동, 도원동, 한강로3가동, 문계동, 한강로2가제1동, 한강로2가제2동[A] A B C D E F G H I J K L M 2,4대[용산을] 후암제1동, 후암제2동, 신흥동, 동빙고동, 서빙고동, 한남동, 갈월동, 이태원제1동, 이태원제2동, 남영동, 한강로1가동, 해방동, 보광동[성동갑] 황학동, 흥인동, 무학제1동, 무학제2동, 충현동, 약수동, 청구동, 문화동, 동화동, 율원동, 유락동, 금옥동[성동을] 상왕십리제1동, 상왕십리제2동, 하왕십리제1동, 하왕십리제2동, 하왕십리제3동, 마장동, 사근동, 행당동, 행응동, 성수1가동, 성수2가동, 장안동, 면목동, 광의동, 신양동[동대문갑] 창신제1동, 창신제2동, 창신제3동, 창신제4동, 숭인동, 신설동, 보문제1동, 보문제2동, 용두제1동, 용두제2동[동대문을] 제기제1동, 제기제2동, 제기제3동, 청량리제1동, 청량리제2동, 전농제1동, 전농제2동, 답십리동, 회기동, 휘경동, 이문동[B] A B C D E F G H I 1,4대[성북구] 삼선제1동, 삼선제2동, 삼선제3동, 서암동, 남암동, 동암동, 성북제1동, 성북제2동, 동소문동, 남선동, 정화동, 서선동, 동선동, 북선동, 정릉동, 길음동, 월곡동, 장석동, 삼양동, 송천동, 인수동, 화계동[서대문갑] 서정동, 순화동, 합미동, 중림동, 만리제1동, 만리제2동, 충정로1·2가동, 충정로3가동, 북아현제1동, 북아현제2동, 북아현제3동, 대신동, 창산동, 연희동[C] A B C D E F G H I J 1,3,4대[서대문을] 감영동, 냉천동, 석교동, 독립문동, 영천동, 현저제1동, 현저제2동, 현저제3동, 홍제동, 세검정동, 수색동, 녹신동, 대광동, 증가동, 성암동, 홍은동, 구평동[마포구] 세교동, 서강동, 신석동, 대흥동, 관란동, 도화제1동, 도화제2동, 염리동, 신공덕제1동, 신공덕제2동, 공덕제1동, 공덕제2동, 공덕제3동, 공덕제4동, 아현제1동, 아현제2동, 아현제3동, 아현제4동, 아현제5동[영등포갑] 영등포제1동, 영등포제2동, 영등포제3동, 영등포제4동, 영등포제5동, 당산제1동, 당산제2동, 당산제3동, 당산제4동, 양평제1동, 양평제2동, 문래제1동, 문래제2동, 구로동, 도림제1동, 도림제2동[영등포을] 대림동, 신길제1동, 신길제2동, 신길제3동, 대방동, 상도제1동, 상도제2동, 노량진동, 본동, 흑석제1동, 흑석제2동, 흑석제3동[인천갑] 중앙동 1~4가, 관동 1~3가, 송학동 1~3가, 해안동 1~4가, 항동 1~7가, 사동, 답동, 신흥동 1~3가, 신생동, 신포동, 선화동, 선린동, 북성동 1~3가, 송월동 1~3가, 숭의동 일부, 용현동 일부, 학익동, 옥련동, 만석동, 청학동, 동춘동, 연수동, 관교동, 문학동, 선학동, 고잔동, 논현동 일부, 도림동, 남촌동, 수산동, 서창동, 운연동, 장수동, 만수동[인천을] 송현동 일부, 화수동, 화평동, 전동, 인현동, 내동, 경동, 용동, 율목동, 유동, 도원동, 숭의동 일부, 도화동 일부, 주안동 일부, 구월동, 간석동, 부평동 일부, 부개동, 일신동, 구산동[인천병] 송현동 일부, 송림동 일부, 금곡동, 창영동, 도화동 일부, 십정동 일부, 부평동 일부, 산곡동, 청천동, 갈산동, 삼산동, 서운동, 계산동, 작전동, 효성동, 공촌동, 시천동, 금암동, 경서동, 연희동, 심곡동, 가정동, 신현동, 원창동, 석남동, 가좌동[수원시] 중동, 팔달로1~3가, 남창동, 영동, 구천동, 남수동, 매향동, 북수동, 장안동, 신풍동, 매교동, 교동, 세류동, 평동, 서둔동, 매산로1~3가, 고둔동, 화서동, 연무동, 영화동, 지동, 우만동, 인계동[D] A B 1,2,4대[5] 연천군과 함께 북한으로 넘어갔던 포천군의 일부는 다시 포천군으로 통합되었다.[6] 다만, 3대 국회 당시 선거법이 개정되지 않아서 당시는 그냥 통영군 갑/을로 나눴다. 을 선거구의 대부분이 현 거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