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장섭

덤프버전 :

파일:검찰 CI (흰색).svg
서울중앙지방검찰청 검사장

[ 펼치기 · 접기 ]

초대
최대교
제2대
이태희
제3대
김형근
제4대
한격만
제5대
민복기


제6대
김장섭
제7대
장재갑
제8대
김치열
제9대
서병균
제10대
김종수


제11대
김병화
제12대
백상기
제13대
서주연
제14대
이봉성
제15대
오탁근

제16대
김용제
제17대
김성재
제18대
김일두
제19대
서정각
제20대
김윤근


제21대
허형구
제22대
강우영
제23대
김석휘
제24대
정해창
제25대
이창우


제26대
이종남
제27대
정구영
제28대
김두희
제29대
김경회
제30대
박종철


제31대
전재기
제32대
이건개
제33대
송종의
제34대
김종구
제35대
최영광


제36대
최환
제37대
안강민
제38대
박순용
제39대
김수장
제40대
임휘윤

제41대
김각영
제42대
김대웅
제43대
이범관
제44대
김진환
제45대
유창종

제46대
서영제
제47대
이종백
제48대
임채진
제49대
안영욱
제50대
명동성


제51대
천성관
제52대
노환균
제53대
한상대
제54대
최교일
제55대
조영곤


제56대
김수남
제57대
박성재
제58대
이영렬
제59대
윤석열
제60대
배성범


제61대
이성윤
제62대
이정수
제63대
송경호





파일:external/tv03.search.naver.net/yonhapnews_28325502.jpg

金長涉
1909년 8월 7일 ~ 1993년 12월 21일 (향년 85세)

1. 개요
2. 생애
3. 선거이력
4. 둘러보기


1. 개요[편집]


대한민국의 전 법조인, 관료, 정치인이다.

2. 생애[편집]


김장섭은 1909년 8월 7일 경상북도 흥해군 동부면(현 포항시 북구 흥해읍 중성리)[1]에서 태어났다. 일제강점기 일본에 유학하여 메이지대학 법학부를 졸업하였다. 귀국 후인 1940년 조선총독부고등문관시험 사법과에 합격하여 판사를 역임하였다.

8.15 광복 이후 미군정기와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 검사로 근무하였다. 대검찰청 검사를 거쳐 변호사를 개업했다.

1958년부터 1959년까지 내무부 차관을, 1959년 농림부 차관을 역임하였다. 1960년 1월 김익노의 당선 무효로 치러진 제4대 국회의원 선거 재보궐선거에서 자유당 후보로 경상북도 영일군 을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같은 해 4.19 혁명 이후 6월 27일 의원직을 사퇴하였으며, 제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무소속으로 참의원(경상북도)에 출마하였다. 그러나 1961년 초 3.15 부정선거를 이유로 반민주주의자로 결정되었다. 이에 공민권 제한 대상자가 되어 국회의원직이 상실되었다.

1963년 제6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공화당 후보로 경상북도 포항시-영일군-울릉군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1967년 제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공화당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같은 해부터 1969년까지 대한민국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위원장을 역임하였다.

2008년 민족문제연구소친일인명사전에 수록하기 위해 정리한 친일인명사전 수록예정자 명단 사법 부문에 선정되었다.


3. 선거이력[편집]


당 내부 선거가 아닌 대한민국 선출직 공직자 선거 결과만 기록한다.

연도
선거종류
소속정당
득표수(득표율)
선여부
비고
1960
1960년 재보궐선거 (경상북도 영일군 을)


29,403 (62.90%)
당선(1위)
초선[2]
1960
제5대 국회의원 선거 (참의원 (경상북도))

[[무소속|
무소속
]]

154,053 (10.70%)
당선
재선[3]
1963
제6대 국회의원 선거 (경상북도 포항시-영일군-울릉군)

[[민주공화당|
파일:민주공화당_글씨만.png
]]

44,363표 (49.05%)
당선(1위)
3선
1967
제7대 국회의원 선거 (경상북도 포항시-영일군-울릉군)
47,868표 (43.86%)
당선(1위)
4선

4. 둘러보기[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6 18:51:02에 나무위키 김장섭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포항시사 제 3권 제 9편 인물 제2장 인물 545쪽[2] 1960.6.27: 의원직 사퇴[3] 1961.03.08: 반민주행위자공민권제한법에 의한 자격 상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