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용귀 (r1판)

편집일시 :


>
조선 영의정
순조 ~ 고종
[ 펼치기 · 접기 ]
제212대}}}
심환지
제213대}}}
이시수
제214대}}}
이병모
제215대}}}
서매수
제216대}}}
이병모
제217대}}}
김재찬
제218대}}}
서용보
제219대}}}
한용귀
제220대}}}
김재찬
제221대}}}
남공철
제222대}}}
이상황
제223대}}}
심상규
제224대}}}
이상황
제225대}}}
조인영
제226대}}}
권돈인
제227대}}}
정원용

제228대}}}
조인영
제229대}}}
권돈인
제230대}}}
김흥근
제231대}}}
김좌근
제232대}}}
정원용
제233대}}}
김좌근

제233대}}}
김좌근
제234대}}}
조두순
제235대}}}
이경재
제236대}}}
김병학
제237대}}}
정원용
제238대}}}
김병학
제239대}}}
홍순목
제240대}}}
이유원
제241대}}}
이최응
제242대}}}
서당보
제243대}}}
홍순목
제244대}}}
김병국
제245대}}}
심순택
제246대}}}
김병시
제247대}}}
김홍집



한용귀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조선 정승

순조 ~ 고종
[ 좌의정 ]
제306대}}}
이시수
제307대}}}
서용보
제308대}}}
이시수
제309대}}}
서매수
제310대}}}
한용귀
제311대}}}
서용보
제312대}}}
이시수
제313대}}}
김재찬
제314대}}}
한용귀
제315대}}}
김재찬
제316대}}}
김사목
제317대}}}
남공철
제318·319대}}}
이상황
제320대}}}
이존수
제321·322·323대}}}
이상황

제324대}}}
심상규
제325대}}}
홍석주

제325대}}}
홍석주
제326대}}}
박종훈
제327대}}}
김홍근
제328대}}}
정원용
제329대}}}
권돈인
제330·331대}}}
김도희

제330·331대}}}
김도희
제332대}}}
박종훈
제333대}}}
김홍근
제334대}}}
김홍근
제335대}}}
이헌구
제336대}}}
조두순
제337대}}}
박회수
제338대}}}
조두순

제339대}}}
이유원
제340대}}}
김병학
제341대}}}
강로
제342대}}}
이최응
제343·344대}}}
김병국
제345대}}}
송근수
제346대}}}
김병국
제347대}}}
김홍집
제348대}}}
김병시
제349대}}}
김홍집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 우의정 ]
제340대}}}
서용보
제341대}}}
김관주
제342대}}}
이경일
제343대}}}
김달순
제344대}}}
서용보
제345대}}}
김재찬
제346대}}}
김사목
제347대}}}
남공철
제348대}}}
임한호
제349대}}}
심상규

제350대}}}
이존수
제351대}}}
정만석
제352대}}}
김이교
제353·354대}}}
박종훈

제353·354대}}}
박종훈
제355대}}}
이지연
제356대}}}
조인영
제357대}}}
정원용

제358대}}}
권돈인
제359대}}}
김도희
제360대}}}
박회수

제361대}}}
박영원
제362대}}}
김좌근
제363·364·365대}}}
조두순

제366대}}}
이경재
제367대}}}
임백경
제368대}}}
류후조
제369대}}}
홍순목
제370대}}}
한계원
제371대}}}
박규수
제372대}}}
김병국
제373대}}}
김병덕
제374대}}}
심순택
제375대}}}
김병시








조선 영의정
익정공(翼貞公)
한용귀
韓用龜
출생1747년(영조 23)
사망1828년(순조 28)
시호익정(翼貞)
본관청주 한씨[1]
이름용구(用九) → 용귀(用龜)
계형(季亨)
만오(晩悟)
부모부친 - 한후유(韓後裕, 1713 ~ 1791)
모친 - 여흥 민씨 민익수(閔翼洙)의 딸
부인전주 이씨 이명중(李明中)의 딸
자녀장남 - 한경리(韓景履)

1. 개요
2. 생애



1. 개요[편집]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청주, 초명은 용구(用九). 자는 계형(季亨), 호는 만오(晩悟). 시호는 익정(翼貞)이다. 서매수, 김조순, 남공철, 이상황, 심상규 등과 함께 노론 시파 실세 중 한명이며 순조영의정에 이르렀다.

훈구파 대신인 좌의정 한확의 후손이며, 노론의 핵심인 영의정 한익모와도 가까운 친척이었다. 정조의 신임을 받은 노론 대신 중에 한명이다.


2. 생애[편집]


영조 때 관직 생활을 시작해서, 정조 때 문과에 급제했다. 사간원 정언, 홍문관 응교와 부사과를 지내고 이후 이조참의와 사간원 대사간, 이조참의, 동부승지, 평안도관찰사를 거쳐 이조참판이 되었다.

후에 재상에 오르고 순조 때 공조판서, 형조판서, 의정부 우참찬, 좌참찬, 빈전제조, 예조판서, 이조판서, 사헌부 대사헌, 수원부 유수, 실록청 당상, 전라도관찰사, 약방제조, 판의금부사 등을 지냈다. 이후 우의정과 좌의정을 거쳐 1821년 영의정으로 승진하고 효의왕후의 장례를 치른 다음 사퇴하였다. 시호는 익정(翼貞)이다.

서매수, 남공철 등과 노론 시파 세력 중 한명이다.
[1] 양절공파(襄節公派)-공안공파(恭安公派)