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주 버스 7700, 7701

덤프버전 :




파일:7700_1785.png
파일:9710_1750.png
7700번.7701번.

1. 노선 정보
2. 개요
3. 역사
4. 특징
4.1. 시간표
4.1.1. 교하차고지, 금촌역 → 감악산출렁다리 시간표
4.1.2. 감악산출렁다리 → 교하차고지, 금촌역 시간표
5. 연계 철도역
6. 둘러보기



1. 노선 정보[편집]


파일:파주시 CI_White.svg 파주시 직행좌석버스 7700번
기점경기도 파주시 교하동(신성교하차고지)종점경기도 파주시 적성면 설마리(감악산출렁다리)
종점행첫차07:00[A]기점행첫차08:20
막차17:00[A]막차18:20
평일배차미운행주말배차하절기 60~120분(1일 9회)
동절기 60~180분(1일 6회)[B]
운수사명신성교통인가대수3대[1]
노선신성교하차고지 - 금촌역고속버스정류소 - 360번 지방도 - 문산역(시티투어) - 37번 국도 - 황포돛배.두지리 - 적성전통시장 - 371번 지방도 - 감악산출렁다리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굿파주-7700-7701번-노선도.svg[참고]
[참고] 위 노선도에서 문산역의 위치가 잘못됐다.
파일:파주시 CI_White.svg 파주시 직행좌석버스 7701번
기점경기도 파주시 금촌동(금촌역고속버스정류소)종점경기도 파주시 적성면 설마리(감악산출렁다리)
종점행첫차10:00기점행첫차11:20
막차18:00막차19:20
평일배차미운행주말배차240분(1일 3회)[B]
운수사명신일여객인가대수1대[2]
노선7700번과 동일하게 운행 (신성교하차고지 구간 제외)


2. 개요[편집]


신성교통(7700번), 신일여객(7701번)에서 운행 중인 직행좌석버스 노선. 위에 기재된 정류장에만 정차한다. 왕복 운행거리는 91.2km(7700번), 83.5km(7701번). (현재 버스위치 확인(7700번), 현재 버스위치 확인(7701번))


3. 역사[편집]


  • 2017년 10월 14일에 신설되었다. 차량은 G7111번 차량으로 운행한다. 신설 직후엔 GBIS에 등록되어 있지 않아서 시스템상으로는 7111번으로 나왔다. 운행사원 말에 의하면, EB에서 설치를 안 해주고 있어 BIS 등록까진 한참 걸릴 가능성이 높다고 밝혔다. 타 노선과의 환승에는 지장 없으니 딱히 걱정할 건 없을 듯하다.

  • 2017년 11월 1일 기준으로 GBIS에 등록된 것이 확인되었다.

  • 2018년 4월 1일에 7701번이 신설되었다. 차량은 9710번 차량[3]으로 운행하며, 2018년 4월 5일 기준으로 GBIS에 등록된 것이 확인되었다.

  • 2018년 5월 19일에 G7111번7500번이 3대에서 4대로 증차됨에 따라 편의를 위해 9030번 2층버스 3대가 7700번에서 운행하고, G7111번 4대가 7500번에서 운행한다.

  • 2019년 4월 27일부터 두 노선 모두 황포돛대 정류장에 새로 정차한다. 파주시 보도자료


4. 특징[편집]


  • 금촌역 정류장의 경우 다른 시내버스 및 마을버스들이 정차하는 새꽃로변 정류장이 아닌 역광장 서측의 금촌고속버스정류소에서 정차한다.

  • 문산역 정류장의 경우 감악산 방향은 다른 시내버스 및 마을버스들이 정차하는 역 남쪽 정류장이 아닌 1번 출구 바로 앞의 7700번 전용 정류장에서 정차한다. 금촌 방향은 시내버스 정류장을 이용하지만, 문산역 앞 삼거리에서 신호에 걸렸을 경우에는 그 자리에서 하차해 주기도 한다.

  • 감악산출렁다리 정류장의 경우 25-1번이 정차하는 정류장이 아닌 서쪽의 '2층버스 타는곳' 입간판이 있는 별도의 버스베이에서 승하차를 취급한다.

  • 감악산출렁다리 정류장에서 등산로 입구까지는 도보로 2~3분, 출렁다리까지는 10~15분 정도 걸린다. 1시간이면 출렁다리 건너편의 운계폭포까지 여유롭게 갔다 올 수 있으며, 정상까지 갔다 오려면 4~5시간 정도 소요된다.

4.1. 시간표[편집]



4.1.1. 교하차고지, 금촌역 → 감악산출렁다리 시간표[편집]


파주 버스 7700, 7701번 운행 시간표
회차노선금촌역문산역황포돛배적성전통시장감악산
1회770007:0007:3008:0008:0508:20
2회770008:0008:3009:0009:0509:20
3회770009:0009:3010:0010:0510:20
1회770110:0010:3011:0011:0511:20
4회770011:0011:3012:0012:0512:20
5회770012:0012:3013:0013:0513:20
6회770013:0013:3014:0014:0514:20
2회770114:0014:3015:0015:0515:20
7회770015:0015:3016:0016:0516:20
8회770016:0016:3017:0017:0517:20
9회770017:0017:3018:0018:0518:20
3회770118:0018:3019:0019:0519:20

하절기(3~10월)에는 12회 모두 운행하고, 동절기(11~2월)에는 7700 6회, 7701 3회만 운행하는데 문제는 쉬는 회차가 그날그날 다르다(...)

4.1.2. 감악산출렁다리 → 교하차고지, 금촌역 시간표[편집]


파주 버스 7700, 7701번 운행 시간표
회차노선감악산적성전통시장황포돛배문산역금촌역
1회770008:2008:3508:4009:0009:25
2회770009:2009:3509:4010:0010:25
3회770010:2010:3510:4011:0011:25
1회770111:2011:3511:4012:0012:25
4회770012:2012:3512:4013:0013:25
5회770013:2013:3513:4014:0014:25
6회770014:2014:3514:4015:0015:25
2회770115:2015:3515:4016:0016:25
7회770015:0015:3016:0016:0516:20
8회770017:2017:3517:4018:0018:25
9회770018:2018:3518:4019:0019:25
3회770119:2019:3519:4020:0020:25

5. 연계 철도역[편집]


  • 파일:GJLine_icon.svg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금촌역, 문산역
  • 일반 철도역: 문산역(DMZ-Train)[4]


6. 둘러보기[편집]


파일:경기도 휘장.svg 서울특별시내 미운행 경기도 직행좌석버스
[ 펼치기 · 접기 ]
파일:고양시 CI_White.svg고양시
1001[통]
3300[공]
>

파일:광주시 CI_White.svg광주시[미]
3200[공][통]
5000

파일:김포시 CI_White.svg김포시
9000[공]
9008[통]
>

파일:성남시 CI_White.svg성남시
3100

8109[통]

파일:수원시 CI_White.svg수원시>

파일:시흥시 CI_White.svg시흥시
은계-판교

파일:안산시 CI_White.svg안산시
300[관]
>

8407[미]
파일:의정부시 CI_White.svg의정부시
8401[통]
8409[통]
>

파일:파주시 CI_White.svg파주시[관]
7700

파일:화성시 CI_White.svg화성시
G6010
기타>
[공] 공항버스 노선 / [관] 주말 관광노선 / [미] 면허지 미경유 / [통] 서울시를 경유하나 정류장이 없는 경우


파일:경기도 휘장.svg 고속(화)도로 미경유 경기도 직행좌석버스
[ 펼치기 · 접기 ]
>>
파일:가평군 CI_White.svg가평 · · >
파일:고양시 CI_White.svg고양
1000[2]
·
1100 · ·
파일:광주시 CI_White.svg광주 ·
파일:김포시 CI_White.svg김포 ·
파일:수원시 CI_White.svg수원 · · >
파일:안산시 CI_White.svg안산 ·
300[주] · ·
파일:용인시 CI_White.svg용인 · · >
파일:파주시 CI_White.svg파주
7500[주]
·
7700, 7701[주] · · ·
기타 · · >
[2] 2층버스 운행 노선 / [주] 주말에만 운행, 2층버스 운행 노선
이 틀에 기재된 노선은 입석금지 제도 적용을 받지 않아 합법적으로 입석 승차가 가능하나, 업체 재량으로 입석 승차가 불가능할 수 있음.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4 21:54:40에 나무위키 파주 버스 7700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A] A B 금촌역 기준.[B] A B 단 두 노선의 운행시간을 합치면 배차간격은 하절기 60분, 동절기 60~120분이다.[1] 9030번 차량으로 운행.[2] 9710-1번 차량으로 운행.[3] 원래는 9710번을 2층 버스로 운행할 예정이었다. 이미 2018년 1월에 운행 준비를 마쳤으나, 통일로 구간 통행 문제 때문에 2018년 11월경에야 운행을 시작했다.[4] 돼지열병 사태로 운행중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