을지로3가역 (r5판)

편집일시 :

乙支路3街驛 / Euljiro 3(sam)-ga Station
을지로3가
파일:Seoulmetro2_icon.svg 파일:Seoulmetro3_icon.svg
외선순환
을지로입구
← 0.8 ㎞
2호선
(203)
내선순환
을지로4가
0.6 ㎞ →
대화 방면
종로3가
← 0.6 ㎞
3호선
(330)
오금 방면
충무로
0.7 ㎞ →

다국어 표기
영어Euljiro 3(sam)-ga
한자乙支路3街
중국어乙支路三街
일본어乙支路3街(ウルチロサムガ
주소
2호선
서울특별시 중구 을지로 지하 106 (을지로2가 47번지)
3호선
서울특별시 중구 을지로 지하 129 (을지로3가 118번지)
운영 기관
2호선파일:서울교통공사_Logo.svg
3호선
개업일
2호선1983년 9월 16일
3호선1985년 10월 18일
역사 구조
지하 2층 (2호선)
지하 3층 (3호선)
승강장 구조
복선 상대식 승강장 (2호선)
복선 섬식 승강장 (3호선)

1. 개요
2. 역 정보
3. 역 주변 정보
4. 일평균 이용객
5. 승강장
6. 기타



1. 개요[편집]


  • 서울 지하철 2호선 203번[1]. 서울특별시 중구 을지로 지하 106 (을지로2가 47번지) 소재.
  • 수도권 전철 3호선 330번[2]. 서울특별시 중구 을지로 지하 129 (을지로3가 118번지) 소재.


2. 역 정보[편집]


파일:을지로3가역 안내도.jpg
역 안내도.

광복 후 일본식으로 된 도로명을 한국식으로 바꿀 때 을지문덕 장군에서 이름을 따서 붙여진 을지로3가에 역이 있어서 붙여진 이름이다.[3] 1기 지하철 노선끼리 환승하기 때문에 개념환승에 버금가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다만 두 역이 십자로 교차하는 형태가 아니라 2호선 을지로4가역 방면 승강장 끝 쪽에서 약간 통로를 따라 걸어야 3호선 승강장에 도착하는 구조라서 발품을 좀 팔아야 한다.

강북구간에서 2호선과 3호선이 만나는 유일한 역이기 때문에 환승 수요도 꽤 높다. 다만 강남에 있는 2-3호선 환승역에 비해서는 환승인구가 매우 적다.[4]

다만 3호선에서 2호선으로 환승하려면 행선지 잘 보고 환승해야 한다. 3호선 오금방향에서 2호선 내선순환으로 환승 시 가장 빠른 출입문 위치는 4-4, 3호선 오금방향에서 2호선 외선순환은 7-2이다. 그리고 2호선 내선순환에서 3호선으로 환승하려면 1-1, 외선순환은 10-4에서 내려야 한다. 3호선이 섬식 승강장이라 환승통로만 잘 따라가면 3호선으로 쉽게 환승이 가능하다.

2호선에서 3호선으로 가는 환승통로가 을지로4가역 방면 승강장 맨 끝 부분에 위치해 있어서 한 마디로 방향 잘못 고르면 망하는 시스템이다. 내리는 위치 잘못 잡으면 잠실역과 같은 구조로 상당히 많이 걸어야 한다. 참고로 잠실역은 막장환승이다. 그냥 2호선 게이트로 올라와서 장애인게이트 벨을 누르고 열리면(그냥 열려 있는 경우가 대부분) 반대편으로 가면 된다. 하루에 저 벨을 누르는 사람이 수천 명이다 보니 직원 입장에서는 일일이 대응하면 다른 일을 못 하기 때문에 그냥 열어준다.

같은 구조의 환승역이라면 대부분 묻지도 따지지도 않고 열어준다. 하지만 잠실역과 달리 환승통로 길이가 길지 않은 건 다행. 그러나 외선순환으로 환승하는 경우에는 내선순환에 비해 약간 길다. 반월당역 구조의 원조이다. 역명판의 글씨체가 서울남산체로 변경되었고, 2호선의 경우는 타원형 역명판이 직사각형으로 바뀌었다.

서울 지하철 10호선이 이 역을 경유할 예정이었지만, 없던 얘기가 되었는데, 10호선은 을지로가 아닌 마른내길을 따라 가는 만큼 정상적으로 개통 되었다면 이 역도 막장환승 문서에 이름을 올렸을 것이다.

3호선의 스크린도어의 경우 노후화로 고장이 잦은 상황이라 2018년 12월 5일부터 교체 작업이 진행되면서 현재는 설치가 완료되었다. 그나저나 2호선 스크린도어도 3호선이랑 같은 시기에 설치했고 노후화됐지만 2호선 스크린도어는 교체 대상이 아니다. 5678호선 스크린도어와 같은 소리가 난다.[5]


3. 역 주변 정보[편집]


인근에 명동성당, 인제대학교 서울백병원, 영락교회, 세운상가, 명보아트홀, 호텔비즈, 서울청소년수련관 등의 시설물이 있다. 명동성당에 가려면 2호선 내선순환(을지로4가, 동대문역사문화공원 방향으로 가는) 열차에서는 10-4번문에서, 외선순환(내선순환과 반대방향) 열차에서는 1-1번문에서 내려 계단을 올라와 게이트 통과 후 외선순환에서 내려 게이트 통과했다면 오른쪽으로, 내선순환에서 내려 게이트를 통과했다면 왼쪽으로 걸어가면 12번출구가 있다. 거기로 올라와 조금만 걸으면 명동성당 사거리가 있다. 거기서는 잘 찾을 수 있을 것이다. 3호선을 탔다면 2호선 환승통로로 올라와 2호선 플랫폼으로 들어온 후 계단을 이용하여 2호선 게이트로 나가 위의 방법대로 나가면 된다. 자신이 내선순환 승강장에 있는지 외선순환 승강장에 있는지를 헷갈리지 않기를 바란다.

  • 1번 출구: 기업은행본점, 청계천 삼일교, 서울고용노동청, 서울고용플러스센터, 수표동, 한국국제교류재단
  • 2번 출구: 을지로동주민센터, 서울청소년센터
  • 3번 출구: 을지로동주민센터, 을지로2가
  • 4번 출구: 기계공구상가, 서울청소년센터, 수표동, 종로3가 방면, 청계천 수표교
  • 5번 출구: 입정동, 을지로3가, 청계천 수표교
  • 6번 출구: 대림상가, 을지로3가
  • 7번 출구: 을지로3가치안센터, 을지로4가, 베스트웨스턴국도호텔, 삼풍상가, 을지로4가우체국
  • 8번 출구: 인현동, 중구청, 덕수중학교
  • 9번 출구: 초동, 중부경찰서, 충무로 방면
  • 10번 출구: 을지로2가, 남대문세무서
  • 11번 출구: 고당조만식기념관, 국민연금공단 종로.중구지사, 충무로3가
  • 12번 출구: 서울백병원, 남대문세무서, 명동성당, 초동, 신한카드, 중부경찰서, CPBC가톨릭평화방송국


4. 일평균 이용객[편집]


을지로3가역을 이용하는 도시철도 일일 승객 수이다. 아래 표는 승차객 + 하차객의 총합이며, 도시철도 간의 직접 환승객 수는 나타내지 않는다.

서울 지하철 2호선
[ 2000년~2009년 ]
2000년2001년2002년2003년2004년2005년2006년2007년2008년2009년
37,495명38,790명38,501명37,380명36,668명34,692명32,464명31,411명30,832명31,894명
2010년2011년2012년2013년2014년2015년2016년2017년2018년2019년
31,869명31,692명34,831명37,171명38,093명38,921명39,861명39,974명42,669명45,968명
2020년
32,599명[A]
수도권 전철 3호선 (서울 지하철 3호선)
[ 2000년~2009년 ]
2000년2001년2002년2003년2004년2005년2006년2007년2008년2009년
25,142명25,342명24,183명22,942명22,031명21,078명19,922명19,369명18,856명18,880명
2010년2011년2012년2013년2014년2015년2016년2017년2018년2019년
18,600명18,636명19,588명20,039명20,264명19,266명19,346명19,700명21,070명22,641명
2020년
16,674명[A]

두 노선의 이용객을 합하면 총 68,609명으로 2003년 이후 15년 만에 일평균 6만 명을 돌파했다. 2000년대에 줄곧 감소세를 보였다가 2009년을 기점으로 반등하기 시작하여 2010년대에는 소폭 상승세를 기록하고 있다. 특히 2호선의 경우 하루 3만 명대 붕괴 직전에서 4만명대 진입을 눈앞에 둘만큼 반등이 꽤나 두드러지는 편이다. 그 이유인즉슨, 을지로2가 부근의 재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어 2가-3가 사이에 업무지구가 새롭게 조성되는 과정에서 2가-3가 사이에 역이 놓여진 2호선이 혜택을 보았기 때문이다. 을지로2가에 인접한 출구가 전부 2호선 출구이기 때문에 업무지구 수요의 혜택을 2호선이 더 많이 받았다고 볼 수 있다.

2018년부터는 근처가 소위 힙지로로 불리며 여러 노포들이 유명세를 타며 사람들을 끌어모으고 있다. 그 결과로 2019년의 일평균 이용객은 21세기 최고점이다.

2-3호선 간의 환승 수요가 조금 많은 역이므로 통계에 비해 실제로는 조금 더 혼잡한 역이며, 환승객은 약 8만 명 정도 된다.


5. 승강장[편집]



5.1. 서울 지하철 2호선[편집]


파일:attachment/2031.jpg

을지로입구
을지로4가


노선 및 방면빠른 환승
파일:Seoulmetro2_icon.svg 2호선 외선(신촌 방면) → 파일:Seoulmetro3_icon.svg 3호선10-4
파일:Seoulmetro2_icon.svg 2호선 내선(왕십리 방면) → 파일:Seoulmetro3_icon.svg 3호선1-1

이 역의 구내의 구배는 을지로입구 방면으로 4퍼밀 상구배가 있다.


5.2. 수도권 전철 3호선[편집]


파일:attachment/3eulgiro3ga.jpg
스크린도어 교체공사 전

파일:20190213_155946.jpg
스크린도어 교체공사 후

종로3가
충무로


노선 및 방면빠른 환승
파일:Seoulmetro3_icon.svg 3호선 (대화 방면) → 파일:Seoulmetro2_icon.svg 2호선 (내선)7-1
파일:Seoulmetro3_icon.svg 3호선 (대화 방면) → 파일:Seoulmetro2_icon.svg 2호선 (외선)2-3
파일:Seoulmetro3_icon.svg 3호선 (오금 방면) → 파일:Seoulmetro2_icon.svg 2호선 (내선)4-4
파일:Seoulmetro3_icon.svg 3호선 (오금 방면) → 파일:Seoulmetro2_icon.svg 2호선 (외선)9-3


이 역의 구내의 구배는 충무로 방면으로 3퍼밀 상구배가 있다. 이 역은 스크린도어를 재시공중인 상태였고, 이례적으로 하행 승강장(오금 방면)부터 설치 후, 상행 승강장(대화 방면)을 설치했으며, 현재 양방향 전부 스크린도어가 작동 중이다.


6. 기타[편집]


  • 2호선의 경우 이 역에서 을지로4가역까지의 거리는 0.6km2호선 전체에서 가장 짧은 구간이다. 3호선 또한 마찬가지로 이 역에서 종로3가역까지의 거리는 0.6km3호선 전체에서 가장 짧은 구간이다.
  • 2008년 9월 20일 무한도전 지못미특집이 2호선 왕십리방면 환승통로에서 박명수, 정형돈이 촬영되었다. 또, 2009년 4월 4일 돌아온 지못미특집에서 유재석과 노홍철이 3호선 승강장에서 구파발 방향으로 운행되는 舊320편성에 승차하는 모습이 촬영됐다.


[1] 개정 전 3번[2] 개정 전 20번[3] 1980년에 제작된 서울 지하철 2호선 홍보영상에는 이 역의 역명이 '을지로2가역'으로 소개되고 있다.[4] 약 10만 명 정도 차이난다. 승하차수도 교대역이 훨씬 높다.[5] 개문 시 '발빠짐 주의', 폐문 시 '띠링x5' 송출[A] A B 코로나19의 영향으로 승객 수가 1/3 가까이 줄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