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교통공사 3000호대 초퍼제어 전동차

최근 편집일시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서울교통공사가 3호선에서 사용 중인 VVVF 전동차에 대한 내용은 서울교통공사 3000호대 VVVF 전동차 문서
서울교통공사 3000호대 VVVF 전동차번 문단을
서울교통공사 3000호대 VVVF 전동차#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나무위키+하위문서.png   하위 문서: 서울교통공사 3000호대 초퍼제어 전동차/현황

이 문서는 현재 운행이 중단된 차량을 다룹니다.

이 문서에서 서술하는 차량은 현재 퇴역하여 더 이상 운행하지 않는 차량입니다.




파일:서울교통공사 로고.svg

서울교통공사 3000호대 초퍼제어 전동차

파일:3호선_3035.jpg
외부

파일:347inside.jpg

내부
차량 정보
열차 형식
도시, 광역철도 입선용 통근형 전동차
구동방식
전기 동력분산식 열차
편성
10량 1편성
생산량
480량 (총 48편성)
운행 노선
파일:Seoulmetro2_icon.svg 서울 지하철 2호선 (1983~1993)
파일:Seoulmetro3_icon.svg 수도권 전철 3호선 (1985~2022)
도입시기
직각형
(2호선)
1983 ~ 1984년 (1차분)
1991년 (2차분)
광폭형
(3호선)
1984 ~ 1985년 (1차분)
1990 ~ 1991년 (3차분)
1990 ~ 1992년 (4차분)
1993년 (5차분)
2010년 (개조분)
운행기간
1985년 7월 12일 ~ 2022년 8월 23일
제작사
파일:대우중공업 로고.svg
파일:한진그룹 심볼.svg
소유기관
파일:서울교통공사 로고.svg
운영기관
차량기지
수서차량사업소
지축차량사업소
차량 제원

[ 펼치기 · 접기 ]
전장
19,500㎜
전폭
3,160㎜
전고
3,750㎜
궤간
1,435㎜
차중
Tc: 33.0t
M1: 42.21t
M2: 41.8t
T: 32.0t
급전방식
직류 1500V
운전보안장치
US&S(현 히타치 레일 STS) ATC
제어방식
GEC 사이리스터 초퍼제어
동력장치
직류 직권전동기
(G319AZ형)
제동방식
회생제동 병용 전기지령식 공기제동
최고속도
영업
90㎞/h
설계
100㎞/h
가속도
3.0 ㎞/h/s
감속도
상용
3.5 ㎞/h/s
비상
4.5 ㎞/h/s
MT 비
6M 4T

1. 개요
2. 편성
3. 상세
4. 분류
4.1. 미개조형 GEC 초퍼
4.2. 개조형 GEC 초퍼
5. 노후화 문제
5.1. 퇴역
5.2. 보존
6. 기타
6.1. 개번 이력
6.2. 내장재 불연재화 개조
6.3. 조성 변경



1. 개요[편집]


서울교통공사 3000호대 초퍼제어 전동차수도권 전철 3호선에서 운행되었던 GEC제(대우중공업, 한진중공업에서 기술이전 생산) 초퍼제어 전동차이다. 서울 지하철 3호선의 개통과 함께 운행을 시작했고, 2022년 9월 30일자로 모든 편성이 퇴역했다.

디자인은 다르지만 서울교통공사 2000호대 초퍼제어 전동차에 기초하고, 국내 최초로 하부가 광폭형으로 설계되어 차체 폭이 넓고 출입문이 볼록한 형상이다. 전면부에는 비상탈출용 관통문이 설치되었다.


2. 편성[편집]


구파발·대화 방면
30## (1)
Tc(운전실)
31## (2)
M(MG, 공기압축기, 축전지)
32## (3)
M'(팬터그래프, 주변압기, 주변환장치)
33## (4)
M(SIV, 공기압축기, 축전지)
34## (5)
M'(팬터그래프, 제어장치)
35## (6)
T(무동력객차)
36## (7)
T(무동력객차)
37## (8)
M(MG, 공기압축기, 축전지)
38## (9)
M'(팬터그래프, 제어장치)
39## (10)
Tc(운전실)
수서·오금 방면
  • 일부 편성은 앞과 뒤가 바뀌는 경우도 있는데, 차륜 편마모 방지를 위해 지축차량사업소의 방향전환용 루프선, 수서차량사업소의 삼각선으로 이용해서 바뀌었던 것이다. 수서차량사업소에서 수서역 출고선, 오금역 출고선, 3호선 본선을 합쳐 삼각선을 이루게 되어 오금출고-수서입고 또는 수서출고-오금입고 다이아로, 그리고 지축출고-오금입고-수서출고-지축입고 크로스다이아로 방향 전환이 이루어지게 된다. 다만 두, 세 번째 다이아는 오금역에서 수서기지 입고 시 가락시장역 부근에서 평면 교차가 발생하기 때문에 첫 번째 다이아가 빈도수가 조금 더 높다. 과거 수서~오금 연장 개통 전 수서차량사업소는 삼각선이 없었기 때문에 수서기지 소속은 수서출고-지축입고 다이아로 운행 후 지축차량사업소의 루프선을 이용하여 방향전환 후 지축출고-수서입고 다이아로 운행되었다.[1]


3. 상세[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서울교통공사 광폭형 GEC 초퍼제어 전동차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1차분에 해당되는 1984년~1985년에 제작된 광폭형 GEC 초퍼제어 차량은 출입문 내부에 손잡이가 있었지만 3~5차분에 해당되는 1990년부터 1993년에 제작된 차량은 출입문 내부에 손잡이가 없었다.

구 428~434편성에 해당되는 2차분은 1994년에 285~291편성으로 개번하면서 2호선으로 이적되었다. 따라서 3호선에는 2차분이 없다. 또 3차분에 한해서만 창문, 출입문 창틀이 금색 쇠창틀로 적용되었다.


4. 분류[편집]


도입 연식 및 창문 사양에 따라 5차로 분류된다.
분류
제어방식
도입
광폭형
1차분
GEC
초퍼제어
1985년 1~2차 구간 개통 시 도입된 차량 (6량 27편성 + 8량 7편성 + 10량 8편성)
3차분
1990년에 도입된 차량 (10량 5편성 + 8량 1편성)
1991년 10량화에 따라 도입된 동력 부수 객차 (2량 1편성)

4차분
1990~1992년 10량화에 따라 도입된 동력, 무동력 부수 객차 (4량 27편성)
5차분
1993년 10량화에 따라 무동력 부수 객차 (2량 7편성)

[ 1983~1993년 시절 ]
분류
제어방식
도입
직각형 (2호선)
1차분
GEC 초퍼제어
1983~1984년에 도입된 차량 (6량 15편성)
2차분
1991년 10량화에 따라 도입된 동력, 무동력 부수 객차 (4량 6편성)
광폭형 (3호선)
1차분
GEC 초퍼제어
1985년에 도입된 차량 (6량 25편성)
4차분
1991년에 도입된 차량 (6량 7편성)
1992년 10량화에 따라 도입된 동력, 무동력 부수 객차 (4량 6편성)



4.1. 미개조형 GEC 초퍼[편집]


영국형 GEC 초퍼
  • 1차 도입분
    • 301~333, 336~344편성 (총 6량 42편성) - 1984~1985년 도입
    • 316~318, 320, 323, 327~330, 332~333, 336, 338~340편성 (10량 증결분, 총 17편성 46량(323, 328~329, 336, 338~340편성: 2량 7편성 + 316~318, 320, 322, 327, 332~333편성: 4량 8편성)) - 1984~1985년 도입
  • 2차 도입분
    • 3호선에는 없음((285~291편성(변경 전 428~434편성)[2] (총 6량 7편성) - 1989년 도입)에 해당)
  • 3차 도입분
    • 334~335, 345~348편성[3] (총 6편성, 58량(334~335, 345~347편성: 10량 5편성 + 348편성: 8량 1편성)) - 1990년 도입
    • 348편성 (10량 증결분, 총 2량 1편성) - 1991년 도입
  • 4차 도입분
    • 301~315, 319, 321, 324~326, 330~331, 337, 341~344편성[4] (10량 증결분, 총 4량 27편성) - 1990~1992년 도입
  • 5차 도입분
    • 323, 328~329, 336, 338~340편성[5] (순수 10량 증결분, 총 2량 7편성) - 1993년 도입
  • 제작사
  • 차량소속
  • 일반석 구조
    • 1칸 한쪽 면 3석-7석-7석-7석-3석
[ 1983~1993년 시절(2호선) ]
직각형 GEC 초퍼
1차 도입분
  • 301~315편성(변경 후 261~275편성) (총 6량 15편성) - 1983~1984년 도입
2차 도입분
  • 310~315편성(변경 후 261~263, 270, 272, 275편성) (10량 증결분, 총 4량 6편성) - 1991년 도입
제작사
차량소속
일반석 구조
  • 1칸 한쪽 면 3석-7석-7석-7석-3석


[ 1985~1993년 시절(3호선) ]
영국형 GEC 초퍼
1차 도입분
  • 316~340편성(변경 후 316~333, 336~340, 276~277편성) (총 6량 25편성) - 1985년 도입
4차 도입분
  • 341~347편성(변경 후 278~284편성) (총 6량 7편성) - 1991년 도입
  • 342~347편성(변경 후 279~284편성) (10량 증결분, 총 4량 6편성) - 1992년 도입
제작사
  • 대우중공업(316~340편성의 모든 칸, 342~347편성의 4~7번째 칸)
  • 한진중공업(341편성의 모든 칸, 342~347편성의 1~3, 8~10번째 칸)
차량소속
일반석 구조
  • 1칸 한쪽 면 3석-7석-7석-7석-3석


파일:동호대교334.jpg
파일:IMGP2438.jpg
동호대교를 건너는 334편성
수서차량기지의 335편성
1985년 서울 지하철 3호선~서울 지하철 4호선 개통과 함께 운행을 시작한 전동차로, 도입 당시 3호선 전동차는 316편성부터, 4호선 전동차는 401편성부터 차호가 부여되었다. 다만 처음에는 3000호대 차량도 4호선에서 운행하는 등 구분이 엄격하지는 않았다. 당시 차호는 316편성은 3030호대, 401편성은 4000호대였다. 이는 2호선 GEC 초퍼 전동차가 301~315편성으로 부여되었기 때문이었다.

1993~1995년 4호선 4000호대 GEC 초퍼 전동차가 2~3호선으로 이적했다. 이와 함께 2호선 GEC 초퍼 전동차도 261~275편성으로 변경되었다. 4호선의 GEC 초퍼제어 전동차가 2, 3호선으로 이동한 이유는 4호선이 사당역 이남 구간이 연장되었기 때문이다. 과천정부청사, 서울대공원(서울랜드), 과천경마공원 연계 교통 확보와 평촌신도시 건설로 인해 과천선이 생겼고, 금정역 이남은 안산선과 직결운행하면서 산본신도시, 그리고 안산시와 연계되는 광역전철로 바뀌었기 때문이다. 그 과정에서 4호선은 새로운 방식인 VVVF 제어 전동차를 새로 도입하여 운행하는 것이 결정되었고 남은 차량들을 2~3호선 시격 단축 목적으로 이동시킨 것이다. 그렇게 1994년경부터 301~315, 334~335, 341~348편성이 4호선에서 유입되어 총 25편성이 늘어난 48편성으로 운행하게 되었다. 일부 차량의 2호선 양도가 겹치면서 본래 3호선에서 다니던 차량은 316~333, 336~340편성으로 23편성에 불과했다.

1984~1985년산 차량들은 1985~2010년까지 25년 동안 운행했다.

2005년 전에는 제동완해음 소리가 굉장히 시끄러웠으나 그 이후에는 소음기 장착으로 조용해졌다.

1984~1985년 도입분과 1989~1993년(모델명: DEC-07, DEC-12) 도입분은 출입문 개폐 속도에 차이가 있었다.

파일:PG-1985-0021-005.jpg
내장재 교체 전 내부


335편성 대화 - 수서 구동음


4.2. 개조형 GEC 초퍼[편집]


  • 지축차량사업소 소속: 316~320편성 (총 5편성)
  • 수서차량사업소 소속: 341~344편성 (총 4편성)
  • 일반석 구조: 1칸 한쪽 면 3석-7석-7석-7석-3석
파일:external/blogfiles.naver.net/_MG_1058.jpg
파일:20190212151229_IMG_1098.jpg
서울메트로 시절 구 320편성
지축차량기지의 구 318편성
파일:suseo341.jpg
파일:343편성.jpg
수서차량기지의 구 341편성
동호대교를 건너는 구 343편성
2010년 경, 1984~1985년 도입된 전동차가 폐차되면서 10량으로 증결될 당시 도입된 부수 객차들이 남아돌았고, 일부 무동력차를 Tc 차량(운전실)으로 바꾸고 재조합하여 운행을 시작했다. M차 54량, T차 68량이 남았는데 1편성당 M차 6량, T차 4량씩 조합해 개조 초퍼제어 전동차로 반입되었다. 이때 재편성되지 못한 T차 32량은 5년 조기폐차되었다(302~305, 307~311, 319, 324, 330~331, 337, 342~343편성의 T차). 즉 원래 있던 중간 객차의 노약자석과 통로문이 있던 부분을 잘라서 그 부분을 운전실칸으로 바꾼 셈이다(301, 312, 323, 328~329, 336, 338~340편성의 T차). 당시에 84~85년식은 내장재 개조를 거치지 못한 상태로 운용되었으나, 이 부수 객차들은 내장재 개조를 거쳐 가연재 및 불연재 차량이 한 편성이 되어 다니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초기에는 2호선 광폭형 GEC 초퍼 276~277편성 부수객차 중 T차는 3호선 개조형 GEC 초퍼 전동차의 TC칸으로 개조할 예정이었고 M차는 개조형 GEC초퍼 전동차의 중간객차로 쓰일 예정이었다. 원래 내구연한이 남은 M차 54량, T차 68량 중 M차 2량과 T차 36량이 조기폐차될 예정이었으나 추후 276~277편성 부수객차가 조기폐차로 변경이 되면서 기존 3호선 GEC초퍼 부수객차 조기폐차 예정이었던 M차 2량과 T차 36량 중 M차 2량과 T칸 4량은 해당 계획에서 빠지게 되었다.

새로 편성하면서 랜덤으로 조합한 탓에 번호를 개번하기 전 어느 편성에서 가져왔는지 알기 꽤 복잡해졌는데, 아래의 조성을 보면 이해할 수 있다.
개조 GEC 초퍼 조성 ▼
개조 GEC 초퍼 조성
개번 전 차호 기준이며, 빨간색은 부수객차를 운전석으로 개조한 차량이다.
모든 차량이 1990년 이후 제작된 고무창틀 차량이다.
편성 / 호차
1호차
(TC)

2호차
(M)

3호차
(M')

4호차
(M)

5호차
(M')

6호차
(T)

7호차
(T)

8호차
(M)

9호차
(M')

10호차
(TC)

소속
316편성
3501
3303
3403
3302
3402
3506
3606
3304
3404
3601
지축차량사업소
317편성
3512
3305
3405
3307
3407
3513
3613
3308
3408
3612
318편성
3523
3309
3409
3310
3410
3514
3614
3311
3411
3623
319편성
3529
3301
3401
3306
3406
3521
3621
3321
3421
3629
320편성
3528
3319
3419
3330
3430
3515
3615
3315
3415
3628
341편성
3536
3312
3412
3313
3413
3525
3625
3325
3425
3636
수서차량사업소
342편성
3538
3314
3414
3324
3424
3526
3626
3326
3426
3638
343편성
3539
3331
3431
3337
3437
3541
3641
3341
3441
3639
344편성
3540
3342
3442
3343
3443
3544
3644
3344
3444
3640

  • 344편성 중 무동력차 2량(3544, 3644호)은 2010년에 중간차만 잔존하면서 개번없이 그대로 운행했다.
  • 3309, 3409, 3313, 3413, 3513, 3613, 3314, 3414, 3514, 3614는 개조 전에는 CRT 모니터가 없었다가 개조 후에는 CRT 모니터가 장착되었다.
전두부 또한 영국형 GEC 차량과 완전히 다르게 생겼고, 해당 디자인에 대한 혹평이 많은 편이다.

기존 대비 애매하게 개량된 부분이 있어서 영국형 GEC와도 부품이 호환되지 않고, 그 때문에 관리 방법에도 차이가 있다. 다만 보이지 않는 부분이 알게 모르게 약간 개량된 것뿐이었고, 차량의 성능 자체는 1984년 그대로였다. 이에 반입 이후 계속 최후순위 예비차 애물단지 신세였다. 현업에서도 "어차피 10년 쓰고 또 신차로 교체할 거 뭐 이런 걸 개조했냐"는 평이 주를 이루었다.

2020년 12월부터 노후화 및 폐차를 이유로 조성이 일부 변경되었다.

2020년 12월, 317편성의 3017, 3917호와 320편성의 3020, 3920호가 서로 변경되었다.

2021년 2월, 317편성의 3717, 3817호와 318편성의 3318, 3418호가 서로 변경되었다.

2022년 3월, 320편성의 3120~3420호와 344편성의 3144~3444호가 서로 변경되었다.
편성
교체 시기
교체투입된 차량
편성제외된 차량
320
2020년
12월
3017, 3917
3020, 3920
318
2021년
2월
3717, 3817
3318, 3418
344[344]
2022년
3월
3120~3420
3144~3444
2021년초부터 퇴역하기 시작했고 2022년 4월 30일에 344편성을 끝으로 운행이 종료되어 개조 초퍼는 현역으로 볼 수 없게 되었다. 이로써 서울에서 초퍼 차량들은 모두 퇴역했다.


5. 노후화 문제[편집]


파일:201904031515049830_121.jpg
파일:3044.jpg
2022년 기준으로, 3호선 전 초퍼제어 열차는 내구연한이 모두 최소 30년이 넘은 차량에 해당되었다. 연식이 극도로 오래된 탓에 내외부적으로 노후화가 매우 심각한 상황이었다. 위의 사진에 보이는 것과 마찬가지로 측면 차체 외관 형태는 부식이 심했다. 특히나 개조형 GEC 초퍼의 노후화가 더 심한 편이었고, 도색이 갈라지고 부식되어 외관 상태가 불결한 편이었다. 그 외에도 차량 운행 도중에 일부 설비가 꺼지는 등 내구 연한이 남은 차량들 또한 차량의 노후화로 인한 문제점 발생 빈도가 잦았다. 운행 말기에는 관리 상황이 예전보다는 다소 나아져서 잔고장이 상당히 줄어들었지만 기본적으로 차량 자체의 안전을 고려해 운행에 자주 투입시키지는 않았다. 무엇보다 지금은 퇴역한 서울교통공사 2000호대 초퍼제어 전동차와 마찬가지로 초퍼 제어 장치 및 핵심 부품의 단종으로 정비 관리 자체가 매우 어려워졌다. 결국 동, 하계 운휴를 시행했고 3호선은 2014년부터 현재까지 이어지는 시간표로 개정되면서 초퍼제어 열차의 운행비율이 줄어들기 시작되었다. 2015년 중반 실시된 1차 다이아 개정을 기점으로 초퍼의 잦은 다이아가 삭제되어 장거리 운용에서 빠지게 되었고 2017년 이후로는 구파발행 비중이 늘어났다. 퇴역 시기에 가까워진 2020년 하반기부터는 2차 다이아 개정에서는 운행이 거의 없거나 운행해도 대부분 구파발 또는 수서 착발 열차로 운행했다.


5.1. 퇴역[편집]


2009년 서울교통공사 3000호대 VVVF 전동차가 기존 1984~1985년산 초퍼 차량 대차용으로 도입되면서 2009년 6월부터 지축차량사업소 소속 301편성(2009년 6월 14일 마지막 운행)을 시작으로 폐차 및 부품 해체 작업을 시작했고, 2009년 7월 중순부터 수서차량사업소 소속도 321편성을 시작으로 폐차되기 시작하면서 2010년 9월까지 1984~1985년산 GEC차량이 전부 폐차되었다. 2010년 5월 24일까지 모두 퇴역했지만 사실상 오금으로 연장된 이후부터는 거의 운행에 나오지 않았다. 나오더라도 단다이어나 예비차, 출퇴근 시간대 탄력배차를 위한 증편으로 나오는 정도였다. 매각 업체 계약 지연으로 일부 후기 편성은 한동안 지축차량사업소에 유치되어 있었다.

확인되는 기록상으로 3호선의 1차분 GEC 전동차 마지막 운행 기록은 2010년 4월 30일 S3095 열차 수서행으로 운행한 333편성이며, 개조 GEC 전동차는 2022년 4월 14일 S3404열차 구파발행으로 운행한 344편성을 끝으로, 2차분 GEC는 2022년 8월 23일 S3101열차 수서행으로 운행한 345편성을 끝으로 운행하지 않았다.

2009년 철도안전법 개정에 따라 정밀안전진단 시행 결과에 따라 사용기한 연장이 가능해졌고 이에 1990년 제작 영국형 GEC 전동차 6개 편성은 2015년에 폐차되지 않고 2번의 사용기한 연장을 통해 2022년까지 운행했다. 하지만 초퍼 사이리스터 소자를 비롯한 대부분의 주요 부품이 단종된 데다가 신차가 도입되어 2023년을 넘기지 못하고 폐차되었다.

수서차량사업소 배속 전동차도 폐차는 지축차량사업소에서 진행된다. 대다수의 차량들이 제3860열차(수서역 → 구파발역 임시다이아)로 공차회송을 하기도 했지만, 일부 차량들은 수서역에서 행선기에 구파발행을 표시하고 구파발역까지 마지막 영업 운행을 한 직후 지축차량사업소의 주공장에서 부품 적출, 이후 폐차되었다.

2009~2010년 대폐차 후로 NH시간대에는 운행을 하지 않아도 될 만큼 개체수가 줄었으며, 이에 평일 RH시간대 단거리 위주로 운행하거나 예비차 또는 비상대기용으로 사용되었다.

대폐차 이후 남은 차량들의 운행 종료 및 폐차 내역은 아래와 같다.
연도
해당차량
2020년
12월
320편성 3020호 및 3920호
2021년
1월
317편성 3117~3817호 8칸
2월
316편성의 10칸, 318편성의 3318, 3418호
4월
320편성
5월
348편성 3448, 3848호
316~317편성
11월
320편성
12월
318편성 10칸(운행종료)
2022년
2월
341~343편성 30칸(운행종료)
3월
319~320, 348편성 30칸(운행종료)
4월
344편성 10칸(운행종료)
5월
335편성(5월 2일 운행종료)
320, 344편성(폐차)
7월
334편성, 347편성(운행종료)
9월
345편성, 346편성(운행종료)
10월
345편성, 347편성(폐차)
2023년
1월
334편성, 346편성(폐차)
  • 348편성의 3448호와 3848호도 사용기한 만료로 2021년 2월 임시로 휴차되었다. 다만 318편성은 317편성 부수칸 중 정밀안전진단 기한이 유효한 객차로 조성 변경 이후 운행에 복귀했고, 316~317편성이 진단기한이 만료됨에 따라 예비차 확보를 위해 기존 수서차량사업소 소속이었던 344편성이 2021년 2월 말부터 지축차량사업소 소속으로 변경되었다.
  • 2021년 4월 휴차되었던 320편성은 317편성의 Tc와 재조합, 중정비 시행 후 운행에 복귀했다. 동년 11월에는 320편성의 1991년산 객차(2~5호차)가 정밀안전진단이 시행되었다. 2~5호차를 제외한 다른 6칸은 1992년 제작분이라 2022년까지 사용 가능했기에 조성 변경 사항은 없었다.[6]
  • 2021년 5월 348편성은 정밀안전진단 시행과 동시에 지축차량기지의 예비차 확보를 위해 지축소속으로 변경되었다.
  • 316~317편성은 지축소속 개조 GEC 전동차 중 최초로 폐차되었다.

  • 2022년 3월 319~320, 348편성 30칸의 운행 종료로 인해 지축차량사업소 차량 부족으로 335편성이 지축차량사업소로 배속 변경되었으며, 318, 342~343편성이 폐차되었다. 이후 318~319, 341~343, 348편성은 차적에서 삭제되었다.
  • 2022년 4월 344편성 10칸의 운행이 종료되면서 개조 초퍼는 더 이상 운행하지 않았다. 동년 5월 320편성과 344편성이 폐차되면서 개조 GEC 초퍼는 존재하지 않게 되었다. 사실상 차적이 삭제된 셈이며, 이후 335편성마저 차적에서 삭제되었다.
2022년 5월에는 이전까지 그나마 다녔던 초퍼제어 전동차들마저도 운행을 거의 하지 않거나 한 대 정도 짧게만 운행했다. 이미 서울교통공사 3000호대 VVVF 전동차 2차분들이 2/3 이상 다녀서 특수한 상황을 빼면 운행하지 않았다.

2022년 6월 이후로는 거의 기지에서만 방치되어 있어 사실상 퇴역 수순을 밟는 정도였다. 그 탓에 폐차 직전 초퍼를 보기 위해 수서기지로 가는 철도 동호인도 있었다. 사실상 운행은 종료되었지만 퇴역은 하지 않았기 때문이었다.

그러나 신 347, 348편성의 대차 문제로 운행에 투입이 늦어지자 구 345, 346편성이 7월 말 ~ 8월 말까지 퇴역을 앞두고 계속 단다이아 운행에 투입되어 운행했다. 하지만 하루 한 번 정도로 출퇴근 시간대에만 운행하는 탓에 우연의 일치로만 볼 수 있었다. 9월에는 두 편성 모두 한 번도 투입되지 않고 있다가 9월 30일을 끝으로 사용 중지되면서 전 편성이 퇴역했다. 2022년 8월 23일 S3101(구파발→수서) 열차로 운행한 345편성이 마지막 운행이었다. 파란색 일색이던 3호선 초퍼제어 전동차의 운행중지와 함께 수도권 전철 3호선에 운행 중인 열차의 도색이 개통 37년만에 노선 색상인 주황색으로 단일화되었다.

2023년 1월, 마지막까지 기지에 남아 있던 334, 346편성이 지축차량사업소에서 폐차반출되면서 수도권의 초퍼제어 열차는 역사 속으로 사라지게 되었다.[7]


5.2. 보존[편집]


초기 편성 중 301편성(당시 4호선 출신 401편성) 보존 계획이 있었으나, 당시 경제난으로 무산되었다. 301편성을 비롯한 1984년 제작 전동차들은 4호선 출신에다 내구 연한도 4~5년이 남아 시트만 불연재로 교체했다.[8]

공사 차원에서의 공식적인 보존계획은 없어서 영상으로 대체되었다.

2022년 10월부로 최후의 GEC 초퍼 열차인 334, 346편성까지 퇴역하면서 개통한 1985년 7월에서 2022년 9월까지 37년 2개월이라는 긴 운행을 마치고 역사 속으로 사라지게 되었다. 다만, 서울교통공사에서 최후의 초퍼 열차인 346편성의 일부 부품을 보존한다.[9] 또한, 335편성 TC 3035호는 개인에 의해 원형 보존되었다. 위치는 불명, 하부는 탈거 상태이다.[10] 또한 현재 안동시 길안면 舊 묵계초등학교 부지(유병언 일가 사유지)에 약 20량 가량이 여전히 냉방기와 대차를 장착한 상태로 잔존하고 있다.


6. 기타[편집]


파일:S3101.jpg
파일:S3095.jpg
열차번호 표시기 미개조 차량
열차번호 표시기 개조 차량
345편성은 285편성과 함께 구 서울지하철공사 최초로 행선지 표시기가 롤지에서 LED로 2004년에 교체되었으며, 상단 우측 사진에 보이듯이 미개조 차량 중 유일하게 2007년에 열차번호 표시기가 LED로 교체되었다. 2006년에는 구 319~320편성이 212~213편성과 함께 LED로 교체되었으며 2009년 6월에 334~335, 346~348편성의 행선지 표시기가 LED로 개조되었다.

2002년 차내 천장에 CRT 모니터를 설치해 엠튜브(現 한국이동방송) 사에서 이동방송을 내보냈는데, 초창기에는 한일 월드컵 중계방송을 객실 내에서 시청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했다가[11] 이후에는 인기 드라마를 틀어주는 등 좋은 평가를 얻었다. 단, 구 309, 313~314, 318편성에는 설치되지 않았으며, 운행 말기에는 주로 서울교통공사 관련 광고 및 기타 광고 표출 용도로만 사용되다가 광고판에 스티커로 광고를 하거나 송출을 하지 않았다. 그 이유는 한국이동방송사와 이동방송의 계약이 만료되었기 때문이다. CRT 모니터가 오래된 탓인지 일부 칸 객실은 뜨지 않는 경우가 있었고, 화면 하단 검은색 바탕에 자막이 뜨지 않을 때도 있었으며, 전자총 고장으로 일부 색이 나오지 않거나 화면의 위치가 맞지 않는 곳도 있었다. CRT 모니터는 1차분 VVVF 차량에서 객실 중앙의 LCD 모니터로 계승되어 사용되고 있다.

LCD 모니터
일부 차량에서는 간혹 출입문 안내방송이 강희선 성우로 통일된 서울교통공사 안내방송이 아닌 홍성헌 성우로 녹음된 서울메트로 시절 안내방송으로 나왔으며, 복불복으로 들을 수 있었다.

334편성의 3534, 3634호는 일명 '짝짝이 출입문'이 존재했다. 출입문 1개가 고무 패킹으로 되어 있었다. 또 346편성은 3호선 전 차량 중 유일하게 내부디자인 시범 교체 차량으로 키낮이 손잡이가 연두색으로 되어 있었다. 348편성 3448, 3848호는 1991년 한진중공업 제작으로, 유일하게 타 제작사 차량이 끼어있었다.

2011년 중반기에 미개조 차량의 전면부 중앙에 있는 비상문을 수선했다. 서울메트로 로고와 호차번호 형태를 스티커로 바꾸었다.
파일:3544.jpg
초록색 손잡이
316편성 3016, 3916호와 344편성 3344, 3444, 3544호의 노약자석 손잡이가 구 301편성 및 구 343편성의 일부 부수차 개조로 인해 초록색 손잡이가 달려 있았다. 구 301편성, 구 343편성 운행 당시 노약자석 손잡이가 초록색 손잡이였다.
파일:319CRT.jpg
표시 프로그램 오류로 인해 Windows 10에서 자체적으로 경고 메시지가 표출되었다.
2017년 12월 말부터 천장에 달린 CRT 모니터에 역번호가 뜨기 시작했는데, 새로 개통한 원흥역이 시스템 상에 반영되지 않아 원흥역부터 역 안내가 한 개 역씩 밀렸다. 그래서 일부 차량은 운영 체제를 Windows 10으로 업그레이드했다.[12] 반면에 서울교통공사 VVVF 2호선 1~2차분, 3호선 1차분 전동차의 모니터는 아직도 Windows XP를 사용하고 있다.

이 전동차는 한국철도공사 구간 역들의 부역명을 안내하지 않는다.

구 302편성 주행 영상(옥수→압구정)


2010년 오금 연장 직후 대화→삼송 안내방송이다.
2001년도에 씨네 트레인이 다니기도 했다.[13]

퇴역분 중 일부가 공사현장 사무실로 쓰이는 것이 확인되기도 했다.[14]

319편성은 2010년 런닝맨 15회에 출연했다.

1990년대에서 2000년대 초기 운행 당시 출발 시, 그리고 정차 시 약간의 브레이크 마찰 같은 소리가 났었다. 하지만 소리가 큰 데다가 소음으로 간주되어서 2000년대 중후반쯤 개조해서 더 이상 그런 소리는 나지 않게 되었다.


6.1. 개번 이력[편집]


편성 번호 개번
개번 시기
개번 전
개번 후
1993년
301~315편성
261~275편성
316~338편성
316~333, 336~340편성
339~347편성
276~284편성
424~427편성
341~344편성
1994년
401~415편성
301~315편성
1995년
436~441편성
334~335, 345~348편성
1993년도에 광폭형 GEC 초퍼 316~338편성이 10량화 되면서 316~333, 336~340편성으로 개번했고 4호선에서 운행했던 서울교통공사 4000호대 초퍼제어 전동차가 3호선으로 이적되면서 1993년에 424~427편성이 341~344편성으로 개번했고 1994년에는 401~415편성이 301~315편성으로, 1995년에는 436~441편성이 334~335, 345~348편성으로 개번했다.


6.2. 내장재 불연재화 개조[편집]


내장재 개조는 2004년 이후 대부분 차량에 실시되었으나, 1984년 11월 5일부터 1984년 12월 28일까지 도입된 301~314편성까지는 제외되었고, 일부 객차는 시트 재질만 난연재 모켓시트로 교체해 내구 연한이 도래되는 2009년까지 운행하고 폐차되었다. 구 301~309편성의 경우 84년 제작 객차들의 과반수가 시트 재질 교체 없이 도입 당시 모습을 그대로 유지하고 2009년부터 퇴역했다. 이들 특징은 주로 과거 4호선에서 운행하다가 3호선 공백 편성을 채웠으며, 각각 1990년대 도입된 4량만 내장재 개조를 실시했다. 당시 손님들은 내장재를 개조하지 않았기 때문에 시트 재질이 푹신하다는 점 특성상 84년식 객차들만 골라 착석하기도 했다.

구 303편성
303편성처럼 증결분 객차가 섞인 편성은 내장재 개조 후의 모습과 개조 전의 모습이 공존하기도 했다. 4~7번째 칸만 해당했다.

두 대의 GEC 초퍼제어 차량
315편성은 전 편성에 내장재 개조가 실시되었다. 1, 10번째 칸은 1985년 제작이고, 2~3, 8~9번째칸은 1984년 제작이고, 4~7번째칸은 1992년 제작이다. 이는 구 416편성에도 똑같이 적용된다. 구 416편성은 구 318, 328~329, 337편성의 부수칸으로 각각 편입되었다. 인터넷에서 구 301~315편성은 내장재 미개조라는 정보가 돌아다니는데 이는 잘못된 정보이며, 실제로는 구 301~314편성만 해당된다.

개조를 담당한 회사가 흥일기업, 로윈(現 다원시스)이었는데, 흥일기업은 2009~2010년 대폐차 대상에 해당되지 않는 1990년 도입분 334~335, 345~348편성을 대상으로 실시했고, 나머지는 로윈이 실시했다.
분류
편성
객차번호
흥일기업 개조 (2004년)
광폭형
(GEC)
334
3034-3134-3234-3334-3434-3534-3634-3734-3834-3934
335
3035-3135-3235-3335-3435-3535-3635-3735-3835-3935
345
3045-3145-3245-3345-3445-3545-3645-3745-3845-3945
346
3046-3146-3246-3346-3446-3546-3646-3746-3846-3946
347
3047-3147-3247-3347-3447-3547-3647-3747-3847-3947
348
3048-3148-3248-3348-3448-3548-3648-3748-3848-3948
로윈 개조 (2005년)
광폭형
(GEC)
301
3301-3401-3501-3601
302
3302-3402-3502-3602
303
3303-3403-3503-3603
304
3304-3404-3504-3604
305
3305-3405-3505-3605
306
3306-3406-3506-3606
307
3307-3407-3507-3607
308
3308-3408-3508-3608
309
3309-3409-3509-3609
310
3310-3410-3510-3600
311
3311-3411-3511-3611
312
3312-3412-3512-3612
313
3313-3413-3513-3613
314
3314-3414-3514-3614
315
3015-3115-3215-3315-3415-3515-3615-3715-3815-3915
316
3016-3116-3216-3316-3416-3516-3616-3716-3816-3916
317
3017-3117-3217-3317-3417-3517-3617-3717-3817-3917
318
3018-3118-3218-3318-3418-3518-3618-3718-3818-3918
319
3019-3119-3219-3319-3419-3519-3619-3719-3819-3919
320
3020-3120-3220-3320-3420-3520-3620-3720-3820-3920
321
3021-3121-3221-3321-3421-3521-3621-3721-3821-3921
322
3022-3122-3222-3322-3422-3522-3622-3722-3822-3922
323
3023-3123-3223-3323-3423-3523-3623-3723-3823-3923
324
3024-3124-3224-3324-3424-3524-3624-3724-3824-3924
325
3025-3125-3225-3325-3425-3525-3625-3725-3825-3925
326
3026-3126-3226-3326-3426-3526-3626-3726-3826-3926
327
3027-3127-3227-3327-3427-3527-3627-3727-3827-3927
328
3028-3128-3228-3328-3428-3528-3628-3728-3828-3928
329
3029-3129-3229-3329-3429-3529-3629-3729-3829-3929
330
3030-3130-3230-3330-3430-3530-3630-3730-3830-3930
331
3031-3131-3231-3331-3431-3531-3631-3731-3831-3931
332
3032-3132-3232-3332-3432-3532-3632-3732-3832-3932
333
3033-3133-3233-3333-3433-3533-3633-3733-3833-3933
336
3036-3136-3236-3336-3436-3536-3636-3736-3836-3936
337
3037-3137-3237-3337-3437-3537-3637-3737-3837-3937
338
3038-3138-3238-3338-3438-3538-3638-3738-3838-3938
339
3039-3139-3239-3339-3439-3539-3639-3739-3839-3939
340
3040-3140-3240-3340-3440-3540-3640-3740-3840-3940
341
3041-3141-3241-3341-3441-3541-3641-3741-3841-3941
342
3042-3142-3242-3342-3442-3542-3642-3742-3842-3942
343
3043-3143-3243-3343-3443-3543-3643-3743-3843-3943
344
3044-3144-3244-3344-3444-3544-3644-3744-3844-3944


6.3. 조성 변경[편집]


2021년 2월 기준 GEC 초퍼 조성 ▼
편성
교체투입된 차량
편성제외된 차량
318
3717, 3817
3318, 3418
320
3017, 3917
3020, 3920

2021년 2월 기준 GEC 초퍼 조성
번호 개번하기 전 기준이며, 타 차량으로부터 편입된 부수객차는 색깔 표시했다.
연두색 바탕은 1990년 이후 제작된 고무창틀 차량이다.
편성 / 호차
1호차
(TC)

2호차
(M)

3호차
(M')

4호차
(M)

5호차
(M')

6호차
(T)

7호차
(T)

8호차
(M)

9호차
(M')

10호차
(TC)

소속
318편성
3018
3118
3218
3717
3817
3518
3618
3718
3818
3918
지축
320편성
3017
3120
3220
3320
3420
3520
3620
3720
3820
3917


2022년 3월 기준 GEC 초퍼 조성 ▼
편성
교체투입된 차량
편성제외된 차량
344[344]
3120~3420
3144~3444

2022년 3월 기준 GEC 초퍼 조성
번호 개번하기 전 기준이며, 타 차량으로부터 편입된 부수객차는 색깔 표시했다.
연두색 바탕은 1990년 이후 제작된 고무창틀 차량이다.
편성 / 호차
1호차
(TC)

2호차
(M)

3호차
(M')

4호차
(M)

5호차
(M')

6호차
(T)

7호차
(T)

8호차
(M)

9호차
(M')

10호차
(TC)

소속
344편성
3044
3120
3220
3320
3420
3544
3644
3744
3844
3944
지축[344]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3 04:55:04에 나무위키 서울교통공사 3000호대 초퍼제어 전동차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정방향으로 운행 중인 348편성(2008.09.15.), 출처: 네이버 블로그[2] DEC-04[3] DEC-07[4] DEC-07[5] DEC-12[344] 2022년 소속변경: 수서→지축[6] 관련 게시글, 출처: 디시인사이드 모노레일 마이너 갤러리[7] 관련 게시글, 출처: 네이버 블로그[8] 관련 게시글: 「ソウル地下鉄3号線」[9] 관련 게시글, 출처: 디시인사이드 모노레일 마이너 갤러리[10] 관련 게시글, 출처: 디시인사이드 모노레일 마이너 갤러리[11] 「[2002년 뉴스]MBC 지하철 3호선 월드컵 경기 생중계」, 출처: 유튜브[12] 관련 게시글, 출처: 디시인사이드 철도(지하철) 갤러리[13] 관련 게시글: 「3号線イベント列車【2001年】」, 2001년 5월 3일[14] 관련 영상, 출처: 유튜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