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수역

최근 편집일시 :

驛 / Yaksu Station

약 수
파일:Seoulmetro3_icon.svg 파일:Seoulmetro6_icon.svg



다국어 표기
영어
Yaksu
한자
藥水
중국어
药水
일본어
薬水(ヤクス
주소
3호선
서울특별시 중구 다산로 지하 122 (약수동 373-13번지)
6호선
서울특별시 중구 다산로 지하 115 (약수동 369번지)
운영 기관
3호선
파일:서울교통공사_Logo.svg
6호선
개업일
3호선
1985년 10월 18일
6호선
2001년 3월 9일
역사 구조
지하 2층 (3호선)
지하 3층 (6호선)
승강장 구조
복선 섬식 승강장 (3호선)
복선 상대식 승강장 (6호선)

1. 개요
2. 역 정보
3. 역 주변 정보
4. 일평균 이용객
5. 승강장
6. 기타
7. 버스
8. 둘러보기



1. 개요[편집]


수도권 전철 3호선 333번[1]. 서울특별시 중구 다산로 지하 122 (약수동 373-13번지) 소재.
서울 지하철 6호선 633번. 서울특별시 중구 다산로 지하 115 (약수동 369번지) 소재.


2. 역 정보[편집]



파일:21약수.png

3호선 역 안내도


파일:24 약수(수정).png

6호선 역 안내도


파일:약수6.jpg

6호선 대합실

6호선 약수역은 공사 도중 시공사 부도로 인하여 2000년 12월 15일부터 2001년 3월 8일까지 열차가 무정차 통과하였다.

역명은 인근에 금호터널 건설 이전에 약수터가 있었다는 데서 유래했다. 법정동 '신당동'에 속해있지만 이 일대가 약수동이라고 불려왔고, 실제로 1955~1970년까지 이 일대에 '약수동'이라는 행정동이 있었다가 신당3동으로 변경되었다. 그러다가 2013년 7월에 행정동 신당3동이 '약수동'으로 변경되었다. 즉, 43년 만에 환원된 셈이다.

일반적으로 지하철을 만들 때 상대식 승강장을 위에 짓고, 섬식 승강장을 아래에 짓지만, 이 역은 섬식 승강장을 가지고 있는 3호선이 지하 2층에 먼저 지어지고(1985년 10월 18일), 그 다음 상대식 승강장을 가진 6호선이 지하 3층으로 나중에 지어진(2001년 3월 9일) 특이한 케이스다. 군자역도 이 경우에 해당하는데, 환승은 군자역이 더 편하다.

환승이 조금 불편한 편인데, 6호선 건설 당시 지하철 역사 구조물 위에 약수고가차도까지 있는 관계로[2] 3호선 플랫폼에서 아래쪽으로 통로를 뚫기 어려워 3호선에서 위층 맞이방으로 올라갔다가 터널을 통해 내려가야 하는 방식으로 설계되었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특이하게도 환승통로 중간에 화장실이 위치하게 되었다.

이 역 10번 출구가 빌딩과 연계되어 있다.

막차시간때 3호선 한정으로 이 역에서 종착하는 열차가 있다.

우연의 일치로 3호선, 6호선 두 역 모두 역번호가 '33'이다. 오금역, 삼각지역, 상봉역, 검암역, 회룡역, 서면역, 반월당역, 청라언덕역, 광운대역과 같은 케이스다.


3. 역 주변 정보[편집]


역 주변은 주거지로 구성되어 있으며, 인근에 장충중학교, 장충고등학교, 약수하이츠아파트, 남산타운아파트, 서울중구청소년센터, 주한스리랑카대사관 등이 있다.

약수역에서 동대입구역으로 가는 길목에는 일부 오피스존이 있으며 점심시간의 주변 풍경은 여의도를 방불케 하기도 한다. 유유제약 본사가 약수역 10번 출구 주변에 있다.

약수역 주변으로 식당가가 형성되어 있다.

나가는 곳 Exit 出口
파일:지하철 출구_1.png
장충동 방면
파일:지하철 출구_2.png
다산동
중구정보도서관
장충초등학교
다산치안센터
파일:지하철 출구_3.png
청구동
신당동우체국
약수하이츠아파트
청구초등학교
청구동주민센터
파일:지하철 출구_4.png
금호터널
금호역 방면
파일:지하철 출구_5.png
약수시장
약수지구대
금호터널
서울중구청소년센터[3]
파일:지하철 출구_6.png
약수동
파일:지하철 출구_7.png
약수시장
약수동주민센터
서울송도병원
약수노인복지관
신당119안전센터
파일:지하철 출구_8.png
다산동주민센터
버티고개역 방면
뮤지컬하우스 호연재
신당종합사회복지관
장충중학교
장충고등학교
9
국민은행약수역지점
장원중학교
10
신라면세점
장충체육관
하나은행약수역지점
유유제약


4. 일평균 이용객[편집]


연도
파일:Seoulmetro3_icon.svg
파일:Seoulmetro6_icon.svg
총합
비고

[ 2000년~2009년 ]
2000년
26,222명
미개통
26,222
비고
2001년
26,617명
4,872명
31,489명

2002년
26,836명
5,587명
32,423명

2003년
26,406명
6,320명
32,726명

2004년
27,108명
6,453명
33,561명

2005년
27,561명
6,646명
34,207명

2006년
27,871명
6,879명
34,750명

2007년
28,061명
6,783명
34,844명

2008년
27,894명
6,785명
34,679명

2009년
28,305명
6,907명
35,212명


2010년
28,717명
7,000명
35,717명

2011년
28,983명
7,122명
36,105명

2012년
29,211명
7,286명
36,497명

2013년
29,665명
7,188명
36,853명

2014년
29,670명
7,137명
36,807명

2015년
29,154명
7,243명
36,397명

2016년
28,809명
7,337명
36,146명

2017년
28,261명
7,300명
35,561명

2018년
28,256명
7,478명
35,734명

2019년
28,554명
7,797명
36,351명

2020년
21,296명
5,879명
27,175명

2021년
21,182명
5,933명
27,115명


  • 6호선의 2001년 자료는 개통일인 3월 9일부터 12월 31일까지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
  • 출처: 서울교통공사 자료실

전형적인 강북 주택가에 자리잡은 전철역으로서, 이용객들도 대부분 여기에 볼일이 있어서가 아니라 타지로 볼일이 있어서 나가는 사람들이다. 그래서 외부인들의 유입 요인이 거의 없어 대체로 지역 주민들이 고정적으로 이용하는 경향을 보이는데, 이런 역들의 특징은 승하차객의 변화가 거의 없다는 것이다. 실제로도 지난 21년 동안의 승하차객은 두 노선을 합해 3만명 대 중반 정도로 거의 차이가 없다. 2021년 두 노선의 승하차 합계는 27,115명이다.

대부분의 이용객이 지역 주민이라는 것은 그들이 볼 업무가 3호선 쪽이냐/6호선 쪽이냐에 따라서 이용객 숫자가 달라진다는 말이기도 하다. 3호선이 사대문안과 강남을 전부 가기 때문에 3호선 이용객이 6호선보다 약 네 배씩이나 더 많이 잡힌다. 하지만 실제 두 노선의 전체 이용객 비율은 그렇게까지 차이가 나지 않기 때문에 3호선 게이트를 통과해 6호선을 타는 승객들이 일부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쏠림 현상 때문인지 6호선에서는 전체 34위로 뒤에서 4위다. 반면 3호선은 전체 15위 정도로 중상위권 정도의 이용객을 유지하고 있다.


5. 승강장[편집]



5.1. 수도권 전철 3호선[편집]



파일:attachment/yaksu3.jpg

3호선 승강장

동대입구




금호



5.2. 서울 지하철 6호선[편집]



파일:약수역1.jpg

6호선 승강장

버티고개




청구



6. 기타[편집]


  • 청년이천선 약수역과는 한자까지 동일한 역. 일본에도 한자가 같은 역이 있다.
  • 2013년에 빗물이 계단 천장으로 새는 흑역사가 있었다. 관련 게시물
  • 6호선 기준으로 청구역, 신당역, 심지어 합정역에서도 안 해주는 중/일 방송을 여기에선 해준다.
  • 중국어일본어로도 방송을 한다는 것은 그만큼 하차 및 환승이 많다는 것이다.[4] 당연히 출근시간 한정 응암순환행 열차를 타면 이 역에서 엄청나게 사람들이 내린다. 다만 5~8칸 한정이니 응암순환행을 타고서 약수역 이후 구간까지 출근한다면 5~8칸을 타도록 하자. 큰 효과를 얻고 싶다면 약수역까지 불쾌감을 참고 8번 칸을 타자.
  • 역 번호가 두 노선 모두 33번으로 3으로 들어간 것들이 많다. 3호선으로서는 333번 잭팟이고 6호선으로서는 역 번호가 633번이다.
  • 2007년 무한도전 서울구경특집에서 박명수와 유재석이 6호선 응암방면 승강장에서 촬영되었다.


7. 버스[편집]




8. 둘러보기[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8 14:17:26에 나무위키 약수역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개정 전 23번[2] 약수고가차도는 2014년 9월 4일 철거 완료되었다.[3] 같은 중구에 위치한 '서울청소년센터'는 을지로3가역 인근에 있으니 착오 없길 바란다.[4] 6호선 한정으로 중일문이 송출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