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금역

최근 편집일시 :

梧琴 / Ogeum

오 금
파일:Seoulmetro3_icon.svg 파일:Seoulmetro5_icon.svg



다국어 표기
영어
Ogeum
한자
梧琴
중국어
일본어
オグム
주소
서울특별시 송파구 오금로 지하 321 (오금동 44-2번지)
운영 기관
3호선
파일:서울교통공사_Logo.png
5호선
개업일
5호선
1996년 3월 30일
3호선
2010년 2월 18일
역사 구조
지하 2층 (5호선)
지하 4층 (3호선)
승강장 구조
복선 상대식 승강장 (횡단 가능)
(3호선, 5호선)

1. 개요
2. 특징
3. 역 주변 정보
4. 일평균 이용객
5. 승강장
6. 최단거리 환승 및 하차 구간
7. 기타
8. 둘러보기




1. 개요[편집]


  • 수도권 전철 3호선 352번, 수도권 전철 5호선 마천지선 P552번[1] 서울특별시 송파구 오금로 지하 321 (오금동 44-2번지) 소재.
하지만 지금은 개통 초기의 역번호랑 비슷하다.


2. 특징[편집]


파일:오금역 안내도.jpg
역 안내도.

2010년 2월 18일부터 수도권 전철 3호선이 개업하여 환승역이 되었다.

3호선 승강장의 경우 기존 3호선과 일관성을 찾아볼 수 없는 서울시 디자인 가이드라인을 채용해서 완전히 9호선과 똑같은 모습을 하고 있다. 역명판도 9호선 스타일인데 환승띠라고 당연히 있을 리가 없다. (정확히 말하자면 9호선에서 앞뒤역 영어역명을 뺀 것이다.)[2]

5호선 계획 당시 오금역의 가칭 역명은 삼학사역이었고, 대신 개롱역의 가칭이 오금역이었다. 정식 역명도 본래 '삼학사역'이었다가 1993년에 오금역으로 바뀌었고, 당시 정식 역명이 오금역이었던 역은 개농역을 거쳐 개롱역으로 개명되었다.[3]

전체적으로 보면 환승동선 자체는 그다지 어려운 편이 아닌데, 이는 마천지선을 지을 때 부터 3기 지하철 계획상에 3호선 송파연장구간이 포함되어 있었던지라 환승동선 짜기가 수월했기 때문이다. 아니, 환승동선만 구상한 정도가 아니라 아예 3호선 환승통로층과 본선 구조물[4]까지 통째로 만들어 두었다. 8호선 가락시장역도 마찬가지다.

그러다 3기 계획이 무기한 연기되면서 물거품이 될 뻔 했지만 9호선과 3호선 송파 연장은 원안대로 개통되었다.

역 이름의 유래는 오금동의 이름을 따서 오금역이라 지었는데 일찍이 이곳에 오동나무가 많았고 가야금을 만드는 사람들이 살았기 때문에 유래되었다는 설과 병자호란 때에 인조가 신하의 등에 업혀서 남한산성으로 피난을 가는데 이 동네가 온통 진흙뻘이어서 인조를 업은 신하의 다리에 오금이 저렸다는 말에서 유래했다는 설이 있다.

하지만 지하철 시리즈에서 타고 있어도 저린 역으로 나온다.


3. 역 주변 정보[편집]


역 주변은 평범한 주거지역과 근린공원인 오금공원이 있고, 송파우체국과 서울송파경찰서가 있어서 관공서 이용이 용이하다. 주변의 가락동에 서울지방경찰청 소속 제2기동단과 성동구치소가 있었다. 다만 역 앞 대로변 사거리 중 2개가 관공서에 점유당하고 한쪽은 구치소, 남은 한쪽은 공원이 차지하고 있어 상권 형성은 교통의 편의성에 비해 상당히 빈약한 편이다. 주변 주민들은 빨리 성동구치소를 이전하고 특수목적고등학교 세우자고 벼르고 있었는데, 성동구치소는 서울동부구치소로 개명하고 2017년 6월 26일 문정역 서쪽의 자곡동 방향에 새로 조성된 문정법조타운 내 서울동부지방검찰청 건너편으로 이전했다. 서울지방경찰청 제2기동단 역시 2015년 7월 동대문구 장안동의 신청사로 이전했다. 그리고 이 텅빈 부지는 주민들의 바램과 다르게 업무시설와 주거시설이 혼재된 신혼희망타운이 지어질 예정이다.

이 역의 굉장한 장점은 상당한 교통의 요지라는 것이다. 비단 지하철에 의존하지 않아도 약 10~13분에 잠실역에 도착하는 버스들이 3분 간격으로 배차되어 있고, 과거 3호선의 종점이었던 수서역으로 이동하는 3416번 등의 버스가 근처에 있지만, 이제는 3호선이 오금역까지 오게 되어서 이 버스들 안 타고 수서역으로 직방으로 더 빨리 갈 수 있다. 택시보다 빨리. 그나마 단거리 구간 수요가 드문드문 있는 3416번은 그대로 유지되고 있으나, 대치동까지 노선이 상당부분 겹치던 3219번은 아예 노선이 변경됐다.

서울의 중앙을 동서로 관통하는 5호선, 서울을 서북-동남으로 관통하는 3호선, 순환선 2호선 잠실역으로 이어지는 편한 역이다. 다만 잠실역으로 가려면 지하철 타고 가는 것보다 앞서 언급했다시피 버스로 환승해서 가는 게 훨씬 빠르다.

나가는 곳 Exit 出口
파일:지하철 출구_1.png
오금중학교
오금고등학교
오금동주민센터
파일:지하철 출구_2.png
오금공원
송파레미니스1,2단지
파일:지하철 출구_3.png
서울경찰청제2기동단
가동초등학교
파일:지하철 출구_4.png
가락2동주민센터(키움센터)
가주초등학교
파일:지하철 출구_5.png
송파경찰서
서울시동남권50플러스센터
가락근린공원
파일:지하철 출구_6.png
석촌중학교
신가초등학교
웃말공원
파일:지하철 출구_7.png
송파우체국
오금동주민센터
현대아파트


4. 일평균 이용객[편집]


연도
파일:Seoulmetro3_icon.svg
파일:Seoulmetro5_icon.svg
총합
비고

[ 2000년~2009년 ]
2000년
13,396명
8,157명
20,555명
비고
2001년
8,855명

2002년
8,918명

2003년
9,013명

2004년
9,366명

2005년
9,364명

2006년
9,219명

2007년
9,169명

2008년
9,335명

2009년
9,480명


2010년
8,089명
8,392명
16,481명

2011년
11,295명
8,280명
19,575명

2012년
12,173명
8,292명
20,465명

2013년
12,922명
8,107명
21,029명

2014년
13,096명
8,071명
21,167명

2015년
12,708명
7,847명
20,555명

2016년
12,915명
7,518명
20,433명

2017년
13,104명
7,292명
20,396명

2018년
13,396명
7,109명
20,505명

2019년
12,797명
7,368명
20,165명

2020년
9,647명
5,878명
15,525명

2021년
9,605명
6,064명
15,669명


  • 3호선의 2010년 자료는 개통일인 2월 18일부터 12월 31일까지 317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
  • 출처: 서울교통공사 자료실

  • 두 노선의 이용객 수 총합은 15,669명(2021년 기준)이다.
  • 5호선 오금역은 5호선이 지나는 56개 역을 통틀어 세 번째로 승하차객이 적은 역이다[5]. 향후 하남선 개통 후 마천지선이 분리된다면 도심 접근성이 좋다는 그나마의 장점도 상실하고 5호선 이용객 수는 바닥에 가까울 정도로 하락할 것으로 전망된다.
  • 더 놀라운 것은 역 바로 앞에 송파경찰서, 송파우체국 등의 관공서와 삼성생명빌딩 등의 업무지구까지 형성되어 있다는 점이다. 그 이유인즉슨, 방이역 문서에 설명된 대로 배차 간격이 나쁘고 강남 접근성이 떨어지는 것 때문이다. 5호선 강동역 동쪽 구간은 이러한 이유로 인하여 전반적으로 둔촌동역, 상일동역 정도를 제외하면 수요가 적은 편이다. 분담률이 낮다는 사실은 3호선 연장 구간이 개통되고 나서 바로 통계로 입증되었다.
  • 3호선이 연장 개통한 2010년 첫 해부터 이미 3호선의 하루 평균 이용객이 5호선 턱밑에서 시작하더니, 5호선 오금역이 한 번도 넘지 못했던 1만 명 고지를 다음 해에 곧바로 돌파해버렸다. 그리고는 2013년에 13,000여 명까지 올라간 뒤로 쭉 이 정도의 수요를 유지하고 있는데, 5호선 측은 3호선 개통 전에도 9,000명 선에서 정체되어 있다가 3호선 개통 이후 7,000여 명 선까지 떨어져 대략 두 배의 이용객 차이가 난다. 서울 도심으로 연결되는 5호선이 십수 년 동안 못 넘던 1만 명의 벽을 곧바로 깨버린 3호선을 보면, 강남 접근성 문제가 얼마나 발목을 잡았는지 알 수 있다.
  • 2018년 12월 인접한 거리에 강남접근성이 뛰어난 9호선 올림픽공원역이 개통하였기 때문에 3호선 또한 향후 전망이 어둡다. 다만 점점 역세권의 규모가 커지는 수서역을 지남과 동시에 향후 5호선 상일동-마천간 직결화가 추진 중에 있어서 3호선 이용객이 늘 수도 있다.


5. 승강장[편집]



5.1. 수도권 전철 3호선[편집]



파일:오금역 승강장(수도권 전철 3호선).jpg

승강장

경찰병원




종착역


노선 및 방면
출입문
파일:Seoulmetro3_icon.svg 3호선 → 파일:Seoulmetro5_icon.svg 5호선
9-3

여담으로 오금역에서 종착하는 3호선 열차의 9-3에서 바로 앞에있는 5호선 환승 에스컬레이터가 있어서 하차할때 유독 이 곳만 몰린다. 그것도 할머니들이 5호선 열차 놓친다고 에스컬레이터를 역방향까지 타는거 보면 보면 상당히 흠좀무하다. 출근시간을 빼고 지하철을 놓치면 평균 12분 정도를 기다려야 하니까 그렇다.[6]


5.2. 수도권 전철 5호선[편집]



파일:오금역 승강장(수도권 전철 5호선).jpg

승강장

방이




개롱


노선 및 방면
출입문
파일:Seoulmetro5_icon.svg 5호선 (마천 방면) → 파일:Seoulmetro3_icon.svg 3호선
1-3
파일:Seoulmetro5_icon.svg 5호선 (방화 방면) → 파일:Seoulmetro3_icon.svg 3호선
8-2


6. 최단거리 환승 및 하차 구간[편집]


노선 및 방면
출입문
파일:Seoulmetro3_icon.svg호선 → 파일:Seoulmetro5_icon.svg호선
9-3
파일:Seoulmetro5_icon.svg호선 (마천 방면) → 파일:Seoulmetro3_icon.svg호선
1-3
파일:Seoulmetro5_icon.svg호선 (방화 방면) → 파일:Seoulmetro3_icon.svg호선
8-2


7. 기타[편집]


외주화 및 직영화로 인하여 역사를 운영하는 업체가 달라지는 경우는 종종 있지만, 이 역은 외주화가 아님에도 불구하고 서울 지하철 사상 최초로 영업 도중에 운영사가 바뀐 역이다. 물론 지금은 두 운영사가 통합해서 그 의미를 상실했다.

하남검단산역 방면으로는 열차가 운행되지 않는다. 강동역까지 가서 갈아타야 하는데, 희한하게도 이 역에는 3호선 구역 한정으로 하남검단산 방면도 환승할 수 있는 것처럼 안내되고 있다. 5호선 승강장에선 상일동 or 하남검단산 표기를 찾을 수 없다. 다만 길동삼각선을 이용한 직결계획이 실현될 경우 표기가 추가될 것으로 보인다.

9호선 3단계 연장개통이 되기 전까지는 이 역의 5호선 마천지선의 유일한 환승역이였다.

영화 본 레거시에서 오금역에 도착하는 서울 지하철 3호선이 짤막하게 등장한다. 다만 열차가 출발할 때 등장하는 역은 이곳이 아니라 가락시장역이다.[7]


8. 둘러보기[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0 02:13:32에 나무위키 오금역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개정 전 557번. 지금은 하남시청역이 쓰고 있다.[2] 하지만 2020년 9월에 역명판을 주황색 띠가 있는 역명판으로 바꾸었다. 가락시장역, 경찰병원역도 마찬가지다.[3] 삼학사驛「오금역」으로 改名(동아일보)[4] 5호선과 교차하는 부분의 2련 터널박스[5] 이보다 적은 곳은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강일역이다.[6] 하지만 3호선도 출퇴근시간을 빼면 배차간격이 길어지는데 어떨때는 10분을 넘길 때도 있을 정도로 긴편이다.[7] 자세히 보면 8호선 환승안내 표지판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