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9군단

덤프버전 :

분류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상징명칭(충무)이 같은 부대에 대한 내용은 충무부대 문서
충무부대번 문단을
충무부대#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제9군단
第九軍團
IX Corps
파일:제9군단 부대마크.svg
창설일
1987년 4월 1일
해체일
2007년 10월 31일
상징명칭
충무부대
소속
대한민국 육군
상급부대
제2야전군사령부
규모
군단
역할
충청도, 전라도 4개 도와 2개의 광역시를 방어
초대 군단장
예) 대장 나중배(육사 15기)
마지막 군단장
예) 중장 박창명(학군 12기)[1]
위치
전라북도 완주군 봉동읍





1. 개요
2. 상세
3. 편제
3.1. 직할부대
3.2. 예하부대
4. 과거부대
5. 출신인물
5.2. 장교/부사관
5.3. 병
6. 기타
6.1. 근무환경
6.2. 군단가
7. 여담

파일:9군단 코인 앞.jpg
제9군단 코인


1. 개요[편집]


전라북도 완주군 봉동읍을 근거지로 했던 대한민국 육군 제2군사령부 소속 군단. 상징명칭은 충무부대.

1987년 4월 1일에 육군 제35보병사단(송천동) 내에서 창설되었으며, 이후 완주군으로 이동하였다.

해체 전까지 4개의 향토사단과, 2개의 동원사단, 1개의 여단을 예하에 두고 있으며, 대한민국 해안선의 52%가 작전 지역이였다.

국방개혁 2020에 따라 (구)제11군단과 함께 2007년 10월 31일 해체되었다.


2. 상세[편집]


1987년 4월 1일에 창설되었다. 같은 날에 1군 예하의 제8군단, 같은 2군 예하의 (구)제11군단과 함께 창설되어 (구)제2군사령부 예하의 군단으로 존재했었다.

충청도와 전라도를 위수지역으로 하는 군단이었으며, 제31보병사단, 제32보병사단, 제35보병사단, 제37보병사단, (구)제61보병사단, (구)제62보병사단, (구)제67보병사단 등 지역방위 및 동원사단을 예속 받았다. 해체된 (구)제1군관구사령부(구)제3군관구사령부의 위수지역을 그대로 물려받았다.[2]

후방지역에 해당하는 2군(現 제2작전사령부)의 책임지역에 군단을 두는 것은 지휘 계통상 불필요하다는 의견이 끊임 없이 제기되었다. 이에 국방개혁 2020에 따라 제11군단과 같이 해체되는 것이 결정되었고 부대의 축소가 이뤄졌다. 이에 따라 향토사단과 동원사단의 통폐합이 우선적으로 이뤄지면서 2005년 12월 01일부로 충청북도 지역의 동원사단인 (구)제67보병사단제37보병사단과 통합하며 해체되었다.

2007년 10월 31일부로, 국방개혁에 따라 제2야전군사령부를 제2작전사령부로 개편하면서 9, 11군단의 부대해체가 이뤄졌다. 9군단 사령부 후적지에는 제35보병사단 예하 제106보병여단이 주둔해 있다.


3. 편제[편집]


2007년 10월 31일 기준

3.1. 직할부대[편집]



  • 지원부대
    • 제309기무부대[3]
    • 국군대전병원
    • 국군논산병원
    • 국군광주병원


3.2. 예하부대[편집]


  • 제31보병사단(충장부대)
  • 제32보병사단(백룡부대)
  • 제35보병사단(충경부대)
  • 제37보병사단(충용부대)
  • (구)제62보병사단(충룡부대)[4]
  • 제203특공여단[5]


4. 과거부대[편집]


2007.10.31 기준.
  • (구)제61보병사단(상승부대)[6]
  • (구)제65보병사단(밀물부대)[7]
  • (구)제67보병사단(용진부대)[8]


5. 출신인물[편집]



5.1. 군단장[편집]



파일:제9군단 부대마크.svg
대한민국 육군
제9군단장


[ 펼치기 · 접기 ]

||<-5><tablewidth=100%><tablebgcolor=#fff,#191919><bgcolor=#ff0000>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중장.svg ||
|| 초대
나중배 || 2대
박재화 || 3대
이택형 || 4대
표순배 || 5대
곽동도 ||
|| 6대
안성용 || 7대
선영제 || 8대
조영호 || 9대
박승춘 || 10대
조재토 ||
|| 11대
박창명 ||<-4>→ 부대 해체 ||
||<-5><bgcolor=#1d2e5d> ※ 관련 직위 둘러보기 ||



볼드체는 대장 진급이 된 군단장.

역대 제9군단장
역대
이름
계급
임관
비고
기타
재임 기간
초대
나중배
예) 대장
육사 15기 [9]
한미연합군사령부 부사령관
#

2대
박재화
예) 중장
육사 17기
군단장
...
...
3대
이택형
예) 중장
육사 19기 [10]
군단장

1991 ~ 1993
4대
표순배
예) 중장
육사 21기 [11]
군단장
재임 중 보직해임
1993 ~ 1994.04.16
5대
곽동도
예) 중장
육사 21기
군단장

1994 ~ 1996
6대
안성용
예) 중장
육사 23기
육군군수사령관

1996 ~ 1998
7대
선영제
예) 중장
육사 25기
육군참모차장

1998 ~ 2000
8대
조영호
예) 중장
학군 7기[12]
군단장
군인공제회 이사장
2000 ~ 2002
9대
박승춘
예) 중장
육사 27기
군단장
국가보훈처장
2002 ~ 2004
10대
조재토
예) 대장
학군 9기[13]
제2작전사령관

2004 ~ 2006
11대
박창명
예) 중장
학군 12기[14]
국방대학교 총장
병무청장
2006 ~ 2007


5.2. 장교/부사관[편집]




5.3. 병[편집]




6. 기타[편집]




6.1. 근무환경[편집]


  • 전라북도 완주군 봉동 부근에 주둔해있었다.

6.2. 군단가[편집]



<1절>

충무공에 얼이 깃든 자랑스런 역사 터전

겨레에 부름 받아 우리모두 한데 모여

피땀으로 정기 쌓아 무적군단 이루어서

아름다운 조국강토 우리가 지키리라

아~아 우리는 용맹스런 9군단용사

찬란한 역사속에 길이 빛날 충무부대

<2절>

소백산맥 정기뻗고 호국정신 어린 이곳

선열의 뜻 이어 받아 충성으로 한데 뭉쳐

슬기로운 백의 민족 자랑스런 금수강산

육천만의 겨레소망 조국통일 이루리라

아~아 우리는 용맹스런 9군단용사

찬란한 역사속에 길이 빛날 충무부대

<3절>

찬란히 떠오르는 동방의 배달민족

우리모두 함께 나서 나라발전 선봉되어

세계속에 대한민국 영원무궁 꽃피우리

장하다 9군단 동방에 빛나리라

아~아 우리는 용맹스런 9군단용사

찬란한 역사속에 길이 빛날 충무부대



7. 여담[편집]



  • 역대 군단장중 하나회 출신이 많다.

  • 애초에 창설 당시(8, 9, 11군단 동시 창설) 장성급 장교의 수를 늘리려 군단을 창설했다는 이야기도 있다. 군단의 지휘체계를 보았을때, 최소 중장 1석 (군단장), 소장 1석 (부군단장), 준장 1~2석 (참모장) 의 장군 수를 늘릴 수 있으며 예하 지휘 계통의 영관급 장교, 위관급 장교의 수도 늘어 날수 밖에 없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6 18:46:41에 나무위키 제9군단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경상대학교[2] 단, 1, 3관구 해체와 9군단 창설까지의 공백기가 좀 길며, 그 동안에 이 사단들은 2군 직할이었다.[3] 정확히 이 부대는 기무사령부 예하부대이다.[4] 2008년 12월 01일 부대 해체 및 제32보병사단으로 통합[5] 2021년 1월 1일 제203신속대응여단으로 명칭 변경.[6] 1997년 수도군단으로 이관 및 인천광역시로 이동. 2017년 12월 01일 부대 해체[7] 1984년 (구)제6군단으로 이관 및 양주군으로 이동. 2017년 12월 01일 부대 해체. 후에 상급부대였던 제6군단은 2022년 10월 1일에 예하부대가 제5군단으로 이관되면서 잔존군단으로 남다가 2022년 11월 30일에 폐지.[8] 2005년 12월 01일 제37보병사단으로 통합되면서 부대 해체.[9] 하나회[10] 하나회[11] 하나회[12] 충북대[13] 전북대[14] 경상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