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군훈련소지구병원

덤프버전 : (♥ 0)

파일:충청남도 휘장.svg 충청남도 관내 종합병원
[ 펼치기 · 접기 ]

계룡시계룡대지구병원
공주시충청남도 공주의료원
논산시백제종합병원, 육군훈련소지구병원
당진시당진종합병원
부여군건양대학교부여병원
보령시아산사회복지재단 보령아산병원
서산시서산중앙병원, 충청남도 서산의료원
예산군예산종합병원
아산시아산충무병원
천안시충청남도 천안의료원, 천안충무병원
홍성군충청남도 홍성의료원
충청지역 상급종합병원





육군훈련소지구병원
陸軍訓練所地區病院
Korea Army Training Center District Hospital
파일:육군훈련소 부대마크.svg
창설일2003년 3월 1일 (국군논산병원)
2011년 1월 1일 (육군훈련소지구병원)
약칭훈련소병원
소속대한민국 육군
상급부대육군훈련소
종류국군병원
역할육군훈련소 의무지원
병원장중령 서재기 (의정 00기)
위치충청남도 논산시 연무읍 득안대로 450-8 (죽평리)

진료시간09:00~18:30
전화번호041-740-8533
1. 개요
2. 상세
3. 진료 및 입퇴원
3.1. 진료 과목
3.2. 접수/진료
4. 출신인물
4.1. 병원장
5. 기타
5.1. 근무환경
6. 부대 영상
7. 여담
8.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국방 환자관리 훈령 제4조(육군훈련소지구병원 등의 진료범위)
① 육군훈련소지구병원, 공군교육사령부 기지병원은 제47의5부터 제52에 따른 간부의 공무상요양, 의무조사, 진료미종결 전역자 치료, 군병원 전역자의 국가유공자 등록안내를 제외한 조항을 준용하여 진료할 수 있고, 「병역법 시행령」제25조에 따른 입영정밀신체검사를 시행할 수 있다.
육군훈련소지구병원육군훈련소 예하의 국군병원이다. 2003년 3월 1일에 창설하였으며, 충청남도 논산시 연무읍에 위치하고 있다.


2. 상세[편집]


파일:국군논산병원.png
국군논산병원 시절 전경
2003년 3월 1일 국군논산병원으로 창설 후, 2011년 11월 1일 국군의무사령부에서 육군훈련소로 이관되며 육군훈련소지구병원으로 재창설되었다.

육군훈련소 지원병원으로서 훈련소 예하 부대 및 인접 부대 의무지원을 하고 있다.


3. 진료 및 입퇴원[편집]



3.1. 진료 과목[편집]


  • 내과
  • 피부과
  • 외과
  • 정형외과
  • 신경외과
  • 안과
  • 이비인후과
  • 비뇨기과
  • 가정의학과
  • 치과
  • 한의과(침구과)
  • 정신건강의학과


3.2. 접수/진료[편집]


파일:4dc29d1d-b002-4e4a-b8ca-83f20a5dc191.jpg
육군훈련소지구병원 내부

접수 및 진료 절차는 접수처에서 인적사항(훈련병이면 신병교육연대와 교번, 기간병이면 소속)을 제출한 뒤 본인이 희망하는 진료과 앞 모니터로 순서를 알려주는 방식이다. 훈련소 내부 병원이라는 특성상 늘 훈련병들로 인해 붐비며, 이로 인해 대기시간이 상당히 길다. 그날의 접수는 거의 대부분 당일 아침에 받으므로, 대기시간을 줄이고자 한다면 아침 일찍 접수하는 게 정신건강에 이롭다. 물론 진료를 위해 일과를 빼고 지구병원에 온 기간병들은 설령 아침 일찍 접수하고 진료를 봤다고 해도 인근 햄버거집이나 카페에서 잡담하면서 일과 끝날 즈음 느지막히 들어가는 경우가 대부분이지만(...)


4. 출신인물[편집]



4.1. 병원장[편집]



역대 국군논산병원장
역대이름계급임관주요보직기타
00대남택서예) 소장군의 17기국군의무사령관
00대박동언예) 소장군의 22기국군의무사령관

역대 육군훈련소지구병원장
역대이름계급임관주요보직기타
00대이정만예) 중령군의 00기前 병원장
00대서재기중령의정 00기前 병원장
00대신광용중령의정 00기前 병원장


5. 기타[편집]



5.1. 근무환경[편집]


의무병으로서는 갈 수 있는 병원부대 중 국군수도병원과 더불어 가장 업무가 많은 곳이다. 국군의무학교 수료 전 자대배치 날에 이곳으로 배치받은 교육생들은 모두의 위로를 받는다.

2022년 외래 기준으로 하루 약 120~160명의 환자가 오며, 이등병상병 신체검사랑 외래환자가 많이 오는 날이 겹치는 날엔 병원이 터지는 사태가 종종 발생한다. (야진하고 초근받자)


6. 부대 영상[편집]


[훈련병의 품격] 20부. 훈련병들을 위한 24시간 응급의료체계 | 2014.7.1. 국방TV


7. 여담[편집]


  • (구)국군논산병원 시절에는 연무대고속버스터미널 바로 옆에 병원이 있었다. 영외에 있던 병원이 훈련소 영내로 옮겨지면서 옛 병원 건물은 철거됐고 그 부지 중 일부는 민간 아파트가 지어졌다.

  • 병원이 영외에 있던 시절에는 훈련소 의무대에서 간단히 처치하기 힘든 훈련병들을 한꺼번에 모아서[1] 병원으로 실어보냈는데 육군훈련소 직할대인 수송근무대에서 운행하는 대형 버스가 각 연대를 돌면서 훈련병들을 태워 날랐다. 그 당시에는 근처의 군부대에서도 약간 아파서 외진나가는 건 이쪽으로 나가는 편이었다. 아주 심각한 상황이면 국군대전병원으로 외진을 가지만 그 경우에도 웬만해서는 (구)논산병원에서 1차 치료나 응급처치를 하고 대전으로 보내는 편이었다.

  • (구)논산병원에 외진을 나가던 시절에는 일부러 병을 키워서(!!!) 외진을 받을 수 있도록 고통을 감수하는 꼼수를 부리는 훈련병도 더러 있었다. 그 이유 중에 하나는 논산병원에서 근무하는 여성 간호장교들을 보기 위해서라는 카더라도 있다. 하지만 일부러 병을 키우는 행동은 좋은 게 아니다.

  • 수많은 가짜 환자와 진짜 환자중 누가 진짜 환자인지를 가려내기 위한 군의관들 사이의 노하우 공유가 있다.


8. 관련 문서[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2 12:08:07에 나무위키 육군훈련소지구병원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훈련소 본부근무대 쪽에 있던 의무대에서 군의관들이 1차적으로 진료를 보고 (구)논산병원 진료가 필요하다고 판단될 경우 '외진' 판정을 내려서 (구)논산병원으로 보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