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s 123

덤프버전 :

파일:Hs_123_thumbnail.jpg
Henschel Hs 123



1. 개요[편집]



Hs 123 A-1 비행 영상
"Hs 123"스페인 내전 ~ 제2차 세계 대전까지 독일 공군에서 운용한 급강하폭격기/근접지원기이다.

현재는 슈투카라고 하면 Ju87의 별칭으로 인식되고 있지만 원래 급강하폭격기를 의미하는 단어이고 독일 공군(이하 루프트바페로 표기함) 최초의 슈투카는 헨셸의 Hs 123였다.


2. 제원[편집]


Henschel Hs 123
제원
개발 기관
독일 공군 병기부, 헨셸
초도 비행
1935년 5월 8일
생산기관
헨셸
생산 연도
1936년 ~ 1938년
생산 댓수
265기
운용 국가
나치 독일 포함 도합 3개국 사용
운용 연도
1936년 ~ 1953년[1]
전장
8.33m
전폭
10.50m
전고
3.2m
자체 중량
1,500kg
전비 중량
2,215kg
익면적
24.85㎡
엔진
BMW 132Dc 9기통 공랭식 성형엔진
최고 출력
880hp
사용 연료
가솔린
주무장
7.92mm MG17 기관총 2정
폭장
주익 하면/동체 중앙 하드포인트 3개소 최대 450kg 폭장
항속 거리
860km
최고속력
341km/h


3. 상세[편집]


파일:hs123_A-1_Cutaway.jpg
Hs 123 A-1 상세도
"Hs 123"Ju 87의 개발 이전까지의 공백을 매꾸기 위한 일종의 땜빵 기체였다.

그러나 실전을 다수 치르면서 진가를 발휘하였으며, 루프트바페 내에서도 고평가를 받게 된다.

이후 Ju 87의 양산이 시작되고 각 전선에서 악명을 날리면서 급강하폭격기로서의 지위를 상실하게 되었고 루프트바페 수뇌부에서도 Hs 123의 생산을 중지하였다.

그렇게 일선에서 완전히 물러나나 싶었는데 정작 Ju 87은 주요 목표물에 대한 일격필살의 급강하 폭격에 특화되었다보니 오히려 근접지원에 부적합한 모습을 보여주었고[2] 결국 루프트바페는 마땅한 대체품을 찾지 못하고 생산하였던 Hs 123을 계속 근접지원기로 운용하였으며 이후로도 마땅한 대체품이 개발되지 않고 항공기 수도 부족하다보니 동부전선에까지 파견되어 근접지원임무에 투입되었다.

당초 독일군 수뇌부는 너무 구시대 기체라서 격추 당하는게 아닌가 우려했는데 오히려 동부전선의 열악한 환경에서도 높은 가동률을 기록할 수 있는 항공기란 사실이 확인되어 더 열심히 운용하였다.

워낙 쓸만한 기체다보니 1943년 루프트바페에서는 동부전선에서 활동 중이던 일선 지휘부의 요청을 받아들여 이 복엽기의 생산재개를 진지하게 고려하기도 했다.

하지만 항공기를 제작했던 헨쉘사에서 이미 수 년 전에 모든 생산라인을 폐기한 상황이었고 다른 항공기 생산도 슬슬 버거워지기 시작한 상황이라 결국 생산재개 계획은 취소되었다.

그 때문에 잔존 기체로 사용할 수 있을 때까지 사용했지만 계속되는 손실과 부품수급이 어려워지자 결국 일선에서 하나 둘 물러나기 시작하였고 1943년 중반에는 잔존 기체 모두 보급품 투하 등의 비전투임무로 돌려져 일선에서 완전히 물러나게 되었다.

루프트바페 내에서도 "이제 Hs 123도 폐기해야 하는 게 아니냐"는 소릴 자주 들었지만 매우 잘 활용한 기체이다. 그 때문에 일각에서는 독일이 운용한 항공기 중에 매우 효율적인 무기였다는 평가를 내리기도 한다.

Hs 123에 장착된 BMW 엔진의 경우 특정 RPM대에서 나는 엔진음이 기총사격할 때와 비슷한 소리를 내는 특징이 있었다.[3]

이를 파악한 Hs 123 조종사들은 적 상공 위를 지나갈 때는 일부러 저 RPM대를 유지하면서 저공비행을 하기도 했다.

당연히 이를 알리가 없는 적 지상군 입장에서는 기총소사가 시작됐다고 생각하여 지상에 엎드린 상태로 웅크릴 수 밖에 없었으므로 적들의 대공사격이나 진격을 어느정도 지연시키는 효과도 있었다.

이러한 활약 덕분에 제2차 세계 대전 당시의 무기를 다룰 때 Hs 123을 급강하폭격기보다는 근접지원기로 분류하는 모습을 종종 찾아볼 수 있다.

4. 개발사[편집]


파일:hs_123_D_ILUA.jpg
V-1 D-ILUA 시제기

Hs 123을 개발하게 된 동기는 Ju 87과 동일하다. 에른스트 우데트가 미국에서 헬다이버 급강하폭격기의 시범 비행을 보고 필이 확 꽂혀서 급강하폭격기 개발을 적극 추천하였고 아돌프 히틀러가 이를 긍정적으로 검토하고 개발을 지시하면서 잘 알려진 Ju 87 슈투카 개발 프로젝트가 추진되었다.

하지만 1930년대 초반까지는 저익단엽기가 주류가 아닌 상황이었고 몇 가지 신기술을 적용하여 개발한다면 실전배치까지 얼마나 오랜 시간이 소요될지 확답을 못하는 상황에서 잠시 공백을 채울만한 과도기적 기체를 요구받게 되었다.

이에 따라 추진된 것이 단좌 복엽기 사양의 슈투카 개발 계획이었고 헨쉘사와 피즐러(Fieseler)[4] 사가 경쟁에 참가하였다. 성능 테스트에서 이 계획을 적극 추진한 에른스트 우데트가 직접 조종해본 결과 헨쉘사의 시제기가 피즐러사의 시제기를 압도하는 성능을 보여주며 루프트바페의 발주를 따냈다.

V-1 D-ILUA 시제기는 656마력짜리 BMW 132A-3 엔진을 사용하였으나 양산기에는 880마력짜리 BMW 132Dc 엔진으로 개수되었다. 기본적으로 자기방어용 무장인 MG17 기관총 2정을 장착하였으며 동체 하면에 250kg짜리 폭탄을 장착하거나 외부연료탱크를 동체 하면에 장착할 경우 주익 양쪽에 50kg 짜리 폭탄을 각각 2발씩 장착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그리고 복엽기이긴 했으나 주익과 보조익의 일부를 제외하면 전금속제 항공기로 제작되었기에 아주 시대에 뒤쳐진 수준의 기종은 아니었다.


5. 형식[편집]



5.1. Hs 123 A-1[편집]


"Hs 123 A-1"은 Hs 123의 기본 형식으로, 특유의 랜딩기어 커버가 특징이라고 볼 수 있다.

특히, 기체 강도가 매우 중요한 급강하폭격기답게 굉장히 내구성이 좋았으며, 성능도 출중하여 다수의 기체가 전간기와 대전 초기 독일군의 주력 급강하폭격기로 운용되었다.


5.2. Hs 123 B-1[편집]


"Hs 123 B-1"은 기존 Hs 123 A-1의 염가형으로, 랜딩기어 커버가 사라지고 프레임만이 남았다.

A-1 사양보다는 수량이 적었으나 독소전쟁 시기 A-1과 함께 사용되었으며, 유고슬라비아 침공 당시 기존의 A-1 형식의 랜딩기어 커버가 환경과 맞지 않았기에 다수 투입되었다.


6. 실전[편집]



6.1. 전간기[편집]



6.1.1. 스페인 내전[편집]


파일:Espanol_Civill_war_Hs123.jpg
스페인 내전 당시의 스페인 국군 소속 Hs 123 A-1
Hs 123은 스페인 내전에서 데뷔전을 치렀는데, 당시 스페인 국군으로부터 지상군 지원을 위해 쓸만한 기체파견을 요청받자 Hs 123이 파견되어 첫 실전 투입이 이루어졌다.

다만 이 실전 데뷔가 Hs 123의 향후 운명을 결정짓고 말았는데 주목적인 급강하 폭격 성능도 만족할 수 있는 수준이지만 부업인 지상군 근접지원용으로 더 쓸만하다는 사실을 각인시켰다.

아무래도 복엽기다보니 속도가 느린 편이었고 다른 고속폭격기보다는 지상군과 호흡을 맞추기 쉬운 편에 속했다. 게다가 외부연료탱크 탑재까지 가능하였으니 지상군 위를 장시간 맴돌 수 있었으며 복엽기답게 크기가 매우 작아 대공화기에 의한 피탄확률도 낮은 편이었으니 근접지원기로서의 메리트를 제대로 갖췄던 셈이다.


6.2. 대전기[편집]



6.2.1. 중일전쟁[편집]


파일:sino_japanese_war_hs123.webp
중일전쟁 당시의 국민혁명군 공군 산하 제15비행대대 소속 Hs 123 A-1
중일전쟁 초반에 국민혁명군 측에서 도합 12기를 구매하여 급강하폭격기로 운용하였다.

양쯔강에 주둔하던 일본 제국 해군의 전투함을 상대로 운용하였지만 성과를 내지 못하였으며, 이후 중일전쟁 와중 전량 격추 및 유실되었다고 한다.


6.2.2. 제2차 세계 대전[편집]



6.2.2.1. 폴란드 침공[편집]

파일:Poland_Hs123.jpg
폴란드 침공 당시의 독일 공군 제2시범항공단 소속 Hs 123 A-1
폴란드 침공 당시 제2시범항공단 소속으로 사용되었다.


6.2.2.2. 노르웨이 침공[편집]

파일:Norway_invasion_hs_123.jpg
노르웨이 침공 당시의 독일 공군 제2훈련비행대대 소속 Hs 123 A-1
노르웨이 침공 당시 독일 공군 제2훈련비행대대 소속으로 Hs 123 A-1이 지상군 지원 및 공격기 용도로 투입되었다.


6.2.2.3. 프랑스 침공[편집]

파일:Hs123A_B09.jpg
프랑스 침공 시기의 독일 공군 소속 Hs 123 A-1
프랑스 침공 당시 아르덴을 주파하는 독일 육군을 지원하기 위하여 투입되었다.


6.2.2.4. 유고슬라비아 침공[편집]

파일:valkan_hs_123.jpg
유고슬라비아 침공 당시의 독일 공군 소속 Hs 123 B-1
유고슬라비아 침공 당시 발칸 반도를 기습하는 용도로 Hs 123 B-1이 투입되었다.

기존의 A-1은 랜딩기어 커버가 달려있었는데, 이는 발칸 지역 땅에 착륙 시 랜딩기어 커버가 충격을 버티지 못하고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기에 B-1이 투입된 것이라고 한다.


6.2.2.5. 지중해 전역[편집]

파일:Hs-123_Middle_of_sea.jpg
지중해 전역 당시의 독일 공군 소속 Hs 123 A-1
지중해 전역 초기, 부족한 수량의 Ju 87를 보조하기 위해 Hs 123 다수가 투입되어 공격기로 투입되었으며, 이후 Ju 87의 수량이 어느정도 채워지자 동부전선으로 이송되었다.


6.2.2.6. 독소전쟁[편집]


6.2.2.6.1. 바르바로사 작전[편집]

파일:Hs_123_1_S_LG_2_aug41_Michalitzki_ost.jpg
바르바로사 작전 당시의 독일 공군 제2시범항공단 소속 Hs 123 A-1
바르바로사 작전 주간, 제2시범항공단 소속으로 수량이 부족한 Ju 87을 대신하여 Bf 109E-7/B와 함께 폭격, 지상공격임무를 수행했으며 함께 운용한 Bf 109E-7/B가 오히려 지상공격임무 수행시 소화기에도 취약한 수랭식 엔진문제로 가동률이 떨어질때, Hs 123은 짧은 이착륙거리와 튼튼한 공랭식 성형엔진으로 동부전선의 혹한속에서 진가를 발휘했으며, 당시 소련군에게는 공포의 대상 중 하나였다고 한다.


6.2.2.6.2. 모스크바 공방전[편집]

파일:1470845430_hs-123-sbityy-22.11.1941-pod-volokolamskom.jpg
볼로콜람스크 근교에 추락한 독일 공군 제2시범항공단 소속 Hs 123 A-1
모스크바 전투 시기 다수의 기체가 제2시범항공단 소속으로 근접항공지원을 위해 투입되었다.

이 중 몇몇 기체는 소련군의 대공포에 의하여 격추당하는 등, 어느 정도 손실을 입기도 하였지만 기체 손상이 적거나, 추락했음에도 큰 손상을 입지 않은[5] 개체들의 경우 근접지원항공기가 부족한 독일군이 황급히 회수하여 수리 후 전장에 재투입하는 일이 잦았다고 한다.


6.2.2.6.3. 제2차 하르코프 공방전[편집]

파일:Hs123_Kharkiv.jpg
제2차 하르코프 공방전 당시의 독일 공군 제1지상공격항공단 소속 Hs 123 A-1
제2차 하르코프 공방전 당시 제1지상공격항공단 소속으로 지상지원임무를 수행하였다.


6.2.2.6.4. 스탈린그라드 전투[편집]

파일:Hs123B_1942_ost.jpg
스탈린그라드 전투 당시의 독일 공군 제1지상공격항공단 소속 Hs 123 A-1
스탈린그라드 전투 당시 제1지상공격항공단 소속의 기체들이 사용되었으며, 비단 폭격 뿐만 아니라 연락기나, 보급품 투하기 등의 용도로도 운용되었다.


6.2.2.6.5. 쿠르스크 전투[편집]

파일:battleofKursK_Hs_123.jpg
쿠르스크 전투 당시의 독일 공군 소속 Hs 123 A-1
쿠르스크 전투에도 다수의 기체가 참전하였으며, 후속 기체인 Ju 87의 수량이 늘어남과 예비 부품의 부재로 이 시기 이후로는 후방으로 돌려져 사용되어 전투를 치르지 않고, 다목적기로 이용되었다가 1944년 4월 경 완전히 퇴역하였다.


7. 사용 국가[편집]



7.1. 유럽[편집]



7.1.1. 중부유럽[편집]



7.1.1.1. 나치 독일[편집]

파일:Hs_123_A-1_Thumbnail.jpg
독일 공군 소속 Hs 123 A-1 "52번기"
원조 사용국으로, 1936년부터 선행 양산분이 배치되기 시작한 뒤, 1943년까지 헌역으로 1선에서 사용했고 후방으로 돌려졌으며, 이후 비전투 및 후방지원용으로 사용되다 1944년 늦봄에 완전 퇴역하였다.


7.1.2. 서유럽[편집]



7.1.2.1. 스페인국[편집]

파일:Espanol_Air_Force_hs123.jpg
스페인 왕립 공군 제61지원비행대 소속 Hs 123 A-1 "50번기"
스페인 내전 직후 독일 의용군이 운용하던 기체를 사들이고 추가로 주문하여 운용하였으며, "앙헬리토 (Angelito)"라는 별칭으로 불렀다고 한다.

스페인이 도입한 Hs 123은 지상 지원 전문인 제61지원비행대 소속으로 편제되어 신생 스페인공군 일원이 되었으며 마지막으로 운용되던 기체가 1953년 퇴역하면서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졌다.


7.2. 아시아[편집]



7.2.1. 동아시아[편집]



7.2.1.1. 중화민국 국민정부[편집]

파일:chinese_hs123.webp
중화민국 공군 산하 제15비행대대 소속 Hs 123 A-1
중일전쟁 초기, 중화민국 국민정부와 나치 독일은 동맹국이었던 관계로 도합 12기를 구매하여 제15비행대대 소속으로 편제하였다.

1938년 양쯔강 전투 당시 일본 해군의 함선을 격침시키기 위해 공격기로 투입되었으나 강력한 방공 및 운용의 미숙으로 큰 피해를 주지 못하고 12기 전량 격추당했다고 한다.


8. 모형화[편집]



8.1. 프라모델[편집]



8.1.1. 레벨[편집]


파일:external/www.ipmsdeutschland.de/04500_HENSCHEL_HS_123_A_1.jpg
Henschel Hs 123 A-1
프라모델 제작회사인 레벨에서 1/48 스케일로 1종을 발매하였다.


9. 미디어[편집]



9.1. 게임[편집]



9.1.1. 워 썬더[편집]


파일:Hs123 A-1.png
Hs 123 A-1
파일:Hs123 A-1 (China).png
Hs 123 A-1 (중국)
1티어 독일 급강하폭격기 트리와 중국 공격기 트리의 첫번째 기체로 등장한다.

의외로 폭격기 치곤 꽤 쓸만한 성능을 가지고 있어서 폭탄을 투하한뒤 제공전투기로 써먹을수도 있는데, 특히 복엽기답게 기동력이 좋아서 어느정도는 전투기 상대로 공중전도 가능하다.


9.1.2. 월드 오브 워플레인[편집]


파일:Hs 123_001.jpg
월드 오브 워플레인에 등장한 독일 공군 소속 Hs 123 A-1
독일 2티어 프리미엄 공격기로 등장한다.


9.1.3. 월드 오브 워쉽[편집]


파일:world of warships Hs123 A-1.jpg
월드 오브 워쉽에 등장한 독일 공군 소속 Hs 123 A-1
Hs 123 A-1 모델이 독일 항공모함 6티어 베저 (Weser)에 업그레이드 폭격기로 탑재되어 등장한다.


9.1.4. 인리스티드[편집]


파일:inlisted_Hs123.jpg
인리스티드에 등장한 독일 공군 소속 Hs 123 A-1
모스크바 전투 캠페인에 등장하며, 폭장이 적다는 단점이 있으나 후계기인 Ju 87이 너무 빠르고 순간 기동력이 이보다 낮기에 자주 이용되는 편이다.

노르망디 캠페인에서는 비행장에 배치되어 있어 보병이어도 탑승 가능하다.


9.1.5. KARDS[편집]


파일:T_henchel_hs_123.png
KARDS에 등장한 독일 공군 소속 Hs 123 A-1
전략 게임 KARDS에서도 독일군이 사용 가능한 폭격기로 등장한다.


9.2. 문학[편집]



9.2.1. 소설[편집]



9.2.1.1. 내 독일에 나치는 필요없다[편집]

현실과 달리, 주인공이 이 기체가 유용하다는 것을 알고 있어서 생산중지를 막아 더욱 널널한 수량이 준비될 수 있었고, 이 기체의 장점인 근접항공지원 능력을 살려 독소전쟁에서 매우 유용하게 사용하다가 훗날 제트기인 Me262가 나오고 나서도 쏠쏠히 써먹는다.


10. 참고문헌[편집]




11. 둘러보기[편집]




제2차 세계대전기의 스페인군 항공기

[ 펼치기 · 접기 ]
전투기
복엽 전투기
I-15 ChatoS, He 51B-1S, He 51C-1S, 아라도 Ar 68ES, 피아트 CR.32(bis)S, HA-132L ChirriS
단엽기
I-16S, He 112BS, C.4(B, C, D E, F)S, Bf 109(E-4, E-7, E-7B, F-2, F-4, G-2, G-4, G-6EA, HA-1109-J1S, G.50 프레치아S
폭격기
육상기
He 111(B, D, E)S, CASA 2.111AS, Ju 86 D-1S, Ju 88(A-4, C-6)S, Do 17(E, F, P)S, SM.79 스파르비에로S, SM.81 피피스트렐로S, BR.20 치코냐S, B-25C 미첼C, Fw 200C
수상기
Do 24S
뇌격기

공격기

정찰기
Ca.310 리베치오,
수송기


※ 윗첨자 S: 스페인 공군 소속
※윗첨자 EA: 청색 비행대 소속
※윗첨자 C: 노획 기체




중일전쟁 ~ 제2차 세계 대전의 국민혁명군 항공병기
파일:대만 국장.svg

[ 펼치기 · 접기 ]
전투기
복엽기
피아트 CR.30, 피아트 CR.32, 호크 III, I-15bis, I-153, 충-28을, 글래디에이터 mk.1, 블랙번 린콕
단엽기
드와틴 D.510, I-16 5식, I-16 10식, I-16 17식, 충-28갑, P-26 피슈터, Ki-36c, Ki-43c, A6Mc, Ki-61c,
P-66 뱅가드, P-40C, P-40E-1, P-51 머스탱
지원기
경폭격기/급강하폭격기
DH-98 모스키토, Ki-48c, 마틴 B-10, 커티스 A-12 슈라이크, Hs 123
中폭격기
He 111, DB-3, 투폴레프 SB, 브리스톨 봄베이
重폭격기
투폴레프 TB-3, P1Yc, B-17, B-24
공격기
벌티 V-11, 벌티 V-12D
프로토타입
훈련기
XT-1 연교일식/옌차오이쉬(研教一式)
XT-2 연교이식/옌차오알쉬(研教二式)
XT-3 연교삼식/옌차오산쉬(研教三式)
전투기
XP-0 연구영식/옌추이링쉬(研驅零式/研驱零式)
XP-1 연구일식/옌추이이쉬(研驅一式/研驱一式)
수송기
C-0101 중운일호/중윤이하오(中運一號/中运一号)
폭격기
XB-3 연굉-3/옌홍-3(研轰-3)
기타
UC-43, C-45 Expeditor
플라잉 타이거즈
운용기체

P-40 워호크
소비에트 의용군
운용기체

전투기
I-15bis, I-153, I-16
폭격기
TB-3, 투폴레프 SB
윗첨자c: 노획 기종






✈️ 항공병기 둘러보기
⠀[ 대전기 1914~1945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 냉전기 1945~1991 ]⠀
제1세계
파일:미합중국 공군 라운델.svg
미 공군 | 미 해군
파일:독일 공군 라운델.svg
서독

제2세계
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소련

파일:국가인민군 공군 라운델.svg
동독

파일:폴란드 공군 라운델(1921-1993).svg
폴란드

제3세계
[[틀:냉전/유고슬라비아 항공기|파일:유고슬라비아 항공 및 반항공군 라운델.svg

유고슬라비아
]]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 현대 1991~ ]⠀
북미
파일:미합중국 공군 라운델.svg
미 공군 | 미 해군
파일:캐나다 공군 라운델.png
캐나다

파일:멕시코라운델.png
멕시코

'''

중미/카리브
'''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공군 라운델.svg
도미니카 공화국

파일:쿠바 라운델.svg
쿠바

[[틀:현대전/엘살바도르 항공병기|파일:엘살바도르 공군 라운델.svg

엘살바도르
]]
파일:온두라스 공군 라운델.svg.png
온두라스

남미
파일:브라질라운델.png
브라질

파일:우루과이 공군 라운델.svg
우루과이

[[틀:현대전/아르헨티나 항공병기|파일:아르헨티나 공군 라운델.svg

아르헨티나
]]
파일:칠레라운델.png
칠레

파일:볼리비아 공군 라운델.svg
볼리비아

파일:파라과이 공군 라운델.svg
파라과이

파일:페루 공군 라운델.svg
페루

파일:에콰도르 공군 라운델.svg
에콰도르

파일:콜롬비아 공군 라운델.svg
콜롬비아

파일:베네수엘라 공군 라운델.svg
베네수엘라

서유럽
파일:영국 공군 라운델.svg
영국

파일:프랑스 항공우주군 라운델.svg
프랑스

파일:네덜란드 라운델.svg
네덜란드

파일:2000px-Roundel_of_Belgium_svg.png
벨기에

파일:아일랜드 라운델.svg
아일랜드

파일:룩셈라운델.svg.png
룩셈부르크
중부유럽
파일:독일 공군 라운델.svg
독일

파일:폴란드 공군 라운델.svg
폴란드

파일:체코 공군 라운델.svg
체코

[[틀:현대전/슬로바키아 항공병기|파일:슬로바키아 국장.svg

슬로바키아
]]
파일:스위스 공군 라운델.png
스위스

[[틀:현대전/오스트리아 항공병기|파일:오스트리아 라운델.svg

오스트리아
]]
파일:헝가리 공군 라운델.png
헝가리


남유럽
파일:이탈리아 공군 라운델.svg
이탈리아

파일:스페인 공군 라운델.png
스페인

파일:포르투갈라운델.png
포르투갈

파일:그리스 공군 라운델.svg
그리스

파일:루마니아 공군 라운델.svg
루마니아

파일:불가리아 공군 라운델.svg.png
불가리아
[[틀:현대전/슬로베니아 항공병기|파일:슬로베니아군 라운델.svg

슬로베니아
]]
[[틀:현대전/크로아티아 항공병기|파일:크로아티아군 라운델.svg

크로아티아
]]
파일:세르비아 라운델.svg
세르비아

[[틀:현대전/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항공병기|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공군 라운델.png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틀:현대전/몬테네그로 항공병기|파일:몬테네그로 공군 라운델.svg

몬테네그로
]]
[[틀:현대전/북마케도니아 항공병기|파일:북마케도니아군 라운델.svg

북마케도니아
]]
파일:알바니아 공군 라운델.svg
알바니아

파일:아르헨티나 공군 라운델.svg
키프로스

파일:튀르키예 공군 라운델.svg
튀르키예

--[[틀:현대전/유고슬라비아 항공병기|파일:세르비아 몬테네그로 공군 라운델.svg

신유고 연방
]]--
북유럽
파일:스웨덴 공군 라운델.svg
스웨덴

파일:노르웨이 공군 라운델.png
노르웨이

파일:덴마크 공군 라운델.svg
덴마크

파일:핀란드 공군 라운델.svg
핀란드

동유럽
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svg
러시아

[[틀:현대전/우크라이나 항공병기|파일:우크라이나 공군 라운델.svg

우크라이나
]]
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벨라루스

파일:몰도바 공군 라운델.svg
몰도바

[[틀:현대전/바그너 그룹 항공병기|파일:바그너 그룹 로고.svg

바그너 그룹
]]
동아시아
파일:대한민국 국군 라운델.svg
대한민국

파일:항공자위대 라운델.svg
일본

파일:중국 인민해방군 공군 라운델.svg
중국

파일:대만 국장.svg
대만

파일:북한 공군 라운델.png
북한

파일:몽골 공군 핀 플래시.svg
몽골

'''

동남아시아
'''
파일:태국 공군 라운델.svg
태국

파일:베트남 공군 라운델.png
베트남

[[틀:현대전/말레이시아 항공병기|파일:말레이시아 공군 라운델.svg

말레이시아
]]
파일:싱가포르 공군 라운델.svg
싱가포르

[[틀:현대전/인도네시아 항공병기|파일:인도네시아라운델.png

인도네시아
]]
파일:필리핀 공군 라운델.svg
필리핀

파일:브루나이 공군 라운델.svg.png
브루나이
파일:미얀마 라운델.svg
미얀마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50px-Royal_Cambodian_Air_Force_roundel.svg.png
캄보디아

파일:라오스 공군 라운델.svg
라오스

'''

중앙아시아
'''
[[틀:현대전/카자흐스탄 항공병기|파일:카자흐스탄 공군 라운델.svg

카자흐스탄
]]
[[틀:현대전/우즈베키스탄 항공병기|파일:우즈베키스탄 공군 라운델.svg

우즈베키스탄
]]
[[틀:현대전/타지키스탄 항공병기|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타지키스탄
]]
[[틀:현대전/키르기스스탄 항공병기|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Roundel_of_the_Air_Force_of_Kyrgyzstan.svg.png

키르기스스탄
]]
[[틀:현대전/투르크메니스탄 항공병기|파일:투르크메니스탄 공군 라운델.svg.png

투르크메니스탄
]]
남아시아
파일:인도 해군 라운델.png
인도

파일:파키스탄 라운델.png
파키스탄

[[틀:현대전/방글라데시 항공병기|파일:방글라데시 라운델.png

방글라데시
]]
파일:스리랑카 공군 라운델.svg
스리랑카

파일:네팔 육군항공대 라운델.svg
네팔


아프가니스탄 (~'21)
서아시아
파일:조지아 공군 라운델.svg
조지아

[[틀:현대전/아르메니아 항공병기|파일:아르메니아 공군 라운델.svg

아르메니아
]]
[[틀:현대전/아제르바이잔 항공병기|파일:480px-Roundel_of_Azerbaijan.svg.png

아제르바이잔
]]
파일:이스라엘 공군 라운델.svg
이스라엘

파일:이란 라운델.svg
이란

파일:이라크 공군 라운델.svg
이라크

파일:쿠웨이트 공군 라운델.svg
쿠웨이트

파일:시리아 공군 라운델.svg
시리아

파일:레바논 공군 라운델.svg
레바논

파일:요르단 공군 라운델.svg
요르단

[[틀:현대전/사우디아라비아 항공병기|파일:사우디아라비아 공군 라운델.svg

사우디아라비아
]]
[[틀:현대전/아랍에미리트 항공병기|파일:아랍에미리트 공군 라운델.svg

아랍에미리트
]]
파일:카타르 공군 라운델.svg
카타르

파일:480px-Roundel_of_Bahrain.svg.png
바레인

파일:오만 공군 라운델.svg.png
오만
파일:예멘 라운델.svg
예멘

'''

오세아니아
'''
파일:호주 공군 라운델.svg
호주

파일:뉴질랜드 공군 라운델.svg
뉴질랜드

[[틀:현대전/파푸아뉴기니 항공병기|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Papua_New_Guinea_roundel.svg.png

파푸아뉴기니
]]

'''

북아프리카
'''
파일:이집트 공군 라운델.png
이집트

파일:리비아 공군 라운델.svg
리비아

파일:튀니지 공군 라운델.svg
튀니지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00px-Algeria_A-F_Roundel.svg.png
알제리

파일:모로코 공군 라운델.svg
모로코

파일:자유 리비아 공군 라운델.svg
자유 리비아 (~'11)

'''

동아프리카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Roundel_of_the_Sudanese_Air_Force.svg.png
수단

[[틀:현대전/에티오피아 항공병기|파일:에티오피아 공군 라운델.svg

에티오피아
]]
파일:지부티 공군 라운델.svg
지부티

파일:소말리아 공군 라운델.svg
소말리아

파일:케냐 공군 라운델.svg
케냐

파일:탄자니아 공군 라운델.svg.png
탄자니아
파일:모잠비크 공군 라운델.svg
모잠비크

파일:우간다 공군 라운델.svg
우간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Roundel_Rwanda.svg.png
르완다

[[틀:현대전/마다가스카르 항공병기|파일:마다가스카르 공군 라운델.svg

마다가스카르
]]
파일:코모로 공군 라운델.svg.png
코모로


'''

서아프리카
'''
[[틀:현대전/나이지리아 항공병기|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400px-Roundel_of_the_Nigerian_Air_Force.svg.png

나이지리아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280px-Roundel_of_the_Senegalese_Air_Force.svg.png
세네갈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Roundel_of_the_Niger_Air_Force.svg.png
니제르

파일:말리 공군 라운델.svg
말리

파일:기니 공군 라운델.svg
기니

파일:모리타니 공군 라운델.png
모리타니
파일:가나 공군 라운델.svg
가나


토고

'''

중아프리카
'''
파일:차드 공군 라운델.svg
차드

파일:카메룬 공군 라운델.svg.png
카메룬


가봉
[[틀:현대전/콩고 공화국 항공병기|파일:콩고 공화국 공군 라운델.svg

콩고 공화국
]]
파일:콩고민주공화국 공군 라운델.svg
콩고민주공화국

파일:앙골라 공군 라운델.svg
앙골라

'''

남아프리카
'''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공군 라운델.svg.svg
남아공

파일:보츠와나 공군 라운델.svg
보츠와나

파일:나미비아 공군 라운델.svg.png
나미비아
파일:레소토 공군 라운델.svg
레소토


잠비아
파일:짐바브웨 공군 라운델.svg
짐바브웨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 제트전투기의 계보 ]⠀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27 18:52:57에 나무위키 Hs 123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스페인 공군 한정.[2] 이 때문에 독일은 Ju 87의 개량형인 Ju 87G를 개발해 배치했다. 하지만 Ju 87G도 장탄수 문제로 결국 전차 이외의 타겟은 공격하기 어려웠고 장시간 근접지원도 어려웠다는 것이 함정. 사실 Ju 87G는 개발 목적부터가 전차 잡는 공격기였기에 Hs 123과 비교하기 좀 그렇긴 하다.[3] 퉁퉁퉁퉁퉁 하는 깡통때리는 소리 비스무리하다고 한다.[4] V-1 순항미사일, Fi 156 슈토리히 등을 제작한 항공기 회사이다.[5] 시기가 겨울이라 눈이 자주 내렸으며, 이 덕분에 추락 시 에너지를 눈이 흡수하였기에 추락 기체임에도 복원이 가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