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 177

덤프버전 :

파일:hik_2.png

[ 하인켈 항공기 목록 ]

||<-2><tablewidth=100%><bgcolor=#315288> 민항기 ||
||<colbgcolor=#eee8aa,#000000> 단발기 ||He 70 ‧ He 58 ||
|| 쌍발기 ||He 111 ||
|| 3발기 || ||
|| 4발기 || ||
||<-2><bgcolor=#000000> 군용기 ||
|| 전투기 ||He 100He 112He 51 ‧ He 49 ‧ He 219 ||
|| 폭격기 ||He 111He 177He 274He 277 ||
|| 급강하폭격기 ||He 50He 118 ||
|| 제트기 ||He 162He 178He 280 ||
|| 수송기 ||He 70 ‧ He 111 ||
|| 연락기 및 수상기 ||He 1 ‧ He 49 ‧ He 51 ‧ He HD 55 ||
|| 훈련기 ||He 172 ||
||<-2><bgcolor=#000000> 수직이착륙기 ||
|| VTOL ||레르헤 ||
||<-2><bgcolor=#dedede,#202020> 취소선: 프로토타입 및 페이퍼 플랜 기체들

※ 제조사별 항공기 둘러보기 ||





✈️ 항공병기 둘러보기
⠀[ 대전기 1914~1945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 냉전기 1945~1991 ]⠀
제1세계
파일:미합중국 공군 라운델.svg
미 공군 | 미 해군
파일:독일 공군 라운델.svg
서독

제2세계
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소련

파일:국가인민군 공군 라운델.svg
동독

파일:폴란드 공군 라운델(1921-1993).svg
폴란드

제3세계
[[틀:냉전/유고슬라비아 항공기|파일:유고슬라비아 항공 및 반항공군 라운델.svg

유고슬라비아
]]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 현대 1991~ ]⠀
북미
파일:미합중국 공군 라운델.svg
미 공군 | 미 해군
파일:캐나다 공군 라운델.png
캐나다

파일:멕시코라운델.png
멕시코

'''

중미/카리브
'''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공군 라운델.svg
도미니카 공화국

파일:쿠바 라운델.svg
쿠바

[[틀:현대전/엘살바도르 항공병기|파일:엘살바도르 공군 라운델.svg

엘살바도르
]]
파일:온두라스 공군 라운델.svg.png
온두라스

남미
파일:브라질라운델.png
브라질

파일:우루과이 공군 라운델.svg
우루과이

[[틀:현대전/아르헨티나 항공병기|파일:아르헨티나 공군 라운델.svg

아르헨티나
]]
파일:칠레라운델.png
칠레

파일:볼리비아 공군 라운델.svg
볼리비아

파일:파라과이 공군 라운델.svg
파라과이

파일:페루 공군 라운델.svg
페루

파일:에콰도르 공군 라운델.svg
에콰도르

파일:콜롬비아 공군 라운델.svg
콜롬비아

파일:베네수엘라 공군 라운델.svg
베네수엘라

서유럽
파일:영국 공군 라운델.svg
영국

파일:프랑스 항공우주군 라운델.svg
프랑스

파일:네덜란드 라운델.svg
네덜란드

파일:2000px-Roundel_of_Belgium_svg.png
벨기에

파일:아일랜드 라운델.svg
아일랜드

파일:룩셈라운델.svg.png
룩셈부르크
중부유럽
파일:독일 공군 라운델.svg
독일

파일:폴란드 공군 라운델.svg
폴란드

파일:체코 공군 라운델.svg
체코

[[틀:현대전/슬로바키아 항공병기|파일:슬로바키아 국장.svg

슬로바키아
]]
파일:스위스 공군 라운델.png
스위스

[[틀:현대전/오스트리아 항공병기|파일:오스트리아 라운델.svg

오스트리아
]]
파일:헝가리 공군 라운델.png
헝가리


남유럽
파일:이탈리아 공군 라운델.svg
이탈리아

파일:스페인 공군 라운델.png
스페인

파일:포르투갈라운델.png
포르투갈

파일:그리스 공군 라운델.svg
그리스

파일:루마니아 공군 라운델.svg
루마니아

파일:불가리아 공군 라운델.svg.png
불가리아
[[틀:현대전/슬로베니아 항공병기|파일:슬로베니아군 라운델.svg

슬로베니아
]]
[[틀:현대전/크로아티아 항공병기|파일:크로아티아군 라운델.svg

크로아티아
]]
파일:세르비아 라운델.svg
세르비아

[[틀:현대전/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항공병기|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공군 라운델.png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틀:현대전/몬테네그로 항공병기|파일:몬테네그로 공군 라운델.svg

몬테네그로
]]
[[틀:현대전/북마케도니아 항공병기|파일:북마케도니아군 라운델.svg

북마케도니아
]]
파일:알바니아 공군 라운델.svg
알바니아

파일:아르헨티나 공군 라운델.svg
키프로스

파일:튀르키예 공군 라운델.svg
튀르키예

--[[틀:현대전/유고슬라비아 항공병기|파일:세르비아 몬테네그로 공군 라운델.svg

신유고 연방
]]--
북유럽
파일:스웨덴 공군 라운델.svg
스웨덴

파일:노르웨이 공군 라운델.png
노르웨이

파일:덴마크 공군 라운델.svg
덴마크

파일:핀란드 공군 라운델.svg
핀란드

동유럽
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svg
러시아

[[틀:현대전/우크라이나 항공병기|파일:우크라이나 공군 라운델.svg

우크라이나
]]
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벨라루스

파일:몰도바 공군 라운델.svg
몰도바

[[틀:현대전/바그너 그룹 항공병기|파일:바그너 그룹 로고.svg

바그너 그룹
]]
동아시아
파일:대한민국 국군 라운델.svg
대한민국

파일:항공자위대 라운델.svg
일본

파일:중국 인민해방군 공군 라운델.svg
중국

파일:대만 국장.svg
대만

파일:북한 공군 라운델.png
북한

파일:몽골 공군 핀 플래시.svg
몽골

'''

동남아시아
'''
파일:태국 공군 라운델.svg
태국

파일:베트남 공군 라운델.png
베트남

[[틀:현대전/말레이시아 항공병기|파일:말레이시아 공군 라운델.svg

말레이시아
]]
파일:싱가포르 공군 라운델.svg
싱가포르

[[틀:현대전/인도네시아 항공병기|파일:인도네시아라운델.png

인도네시아
]]
파일:필리핀 공군 라운델.svg
필리핀

파일:브루나이 공군 라운델.svg.png
브루나이
파일:미얀마 라운델.svg
미얀마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50px-Royal_Cambodian_Air_Force_roundel.svg.png
캄보디아

파일:라오스 공군 라운델.svg
라오스

'''

중앙아시아
'''
[[틀:현대전/카자흐스탄 항공병기|파일:카자흐스탄 공군 라운델.svg

카자흐스탄
]]
[[틀:현대전/우즈베키스탄 항공병기|파일:우즈베키스탄 공군 라운델.svg

우즈베키스탄
]]
[[틀:현대전/타지키스탄 항공병기|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타지키스탄
]]
[[틀:현대전/키르기스스탄 항공병기|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Roundel_of_the_Air_Force_of_Kyrgyzstan.svg.png

키르기스스탄
]]
[[틀:현대전/투르크메니스탄 항공병기|파일:투르크메니스탄 공군 라운델.svg.png

투르크메니스탄
]]
남아시아
파일:인도 해군 라운델.png
인도

파일:파키스탄 라운델.png
파키스탄

[[틀:현대전/방글라데시 항공병기|파일:방글라데시 라운델.png

방글라데시
]]
파일:스리랑카 공군 라운델.svg
스리랑카

파일:네팔 육군항공대 라운델.svg
네팔


아프가니스탄 (~'21)
서아시아
파일:조지아 공군 라운델.svg
조지아

[[틀:현대전/아르메니아 항공병기|파일:아르메니아 공군 라운델.svg

아르메니아
]]
[[틀:현대전/아제르바이잔 항공병기|파일:480px-Roundel_of_Azerbaijan.svg.png

아제르바이잔
]]
파일:이스라엘 공군 라운델.svg
이스라엘

파일:이란 라운델.svg
이란

파일:이라크 공군 라운델.svg
이라크

파일:쿠웨이트 공군 라운델.svg
쿠웨이트

파일:시리아 공군 라운델.svg
시리아

파일:레바논 공군 라운델.svg
레바논

파일:요르단 공군 라운델.svg
요르단

[[틀:현대전/사우디아라비아 항공병기|파일:사우디아라비아 공군 라운델.svg

사우디아라비아
]]
[[틀:현대전/아랍에미리트 항공병기|파일:아랍에미리트 공군 라운델.svg

아랍에미리트
]]
파일:카타르 공군 라운델.svg
카타르

파일:480px-Roundel_of_Bahrain.svg.png
바레인

파일:오만 공군 라운델.svg.png
오만
파일:예멘 라운델.svg
예멘

'''

오세아니아
'''
파일:호주 공군 라운델.svg
호주

파일:뉴질랜드 공군 라운델.svg
뉴질랜드

[[틀:현대전/파푸아뉴기니 항공병기|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Papua_New_Guinea_roundel.svg.png

파푸아뉴기니
]]

'''

북아프리카
'''
파일:이집트 공군 라운델.png
이집트

파일:리비아 공군 라운델.svg
리비아

파일:튀니지 공군 라운델.svg
튀니지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00px-Algeria_A-F_Roundel.svg.png
알제리

파일:모로코 공군 라운델.svg
모로코

파일:자유 리비아 공군 라운델.svg
자유 리비아 (~'11)

'''

동아프리카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Roundel_of_the_Sudanese_Air_Force.svg.png
수단

[[틀:현대전/에티오피아 항공병기|파일:에티오피아 공군 라운델.svg

에티오피아
]]
파일:지부티 공군 라운델.svg
지부티

파일:소말리아 공군 라운델.svg
소말리아

파일:케냐 공군 라운델.svg
케냐

파일:탄자니아 공군 라운델.svg.png
탄자니아
파일:모잠비크 공군 라운델.svg
모잠비크

파일:우간다 공군 라운델.svg
우간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Roundel_Rwanda.svg.png
르완다

[[틀:현대전/마다가스카르 항공병기|파일:마다가스카르 공군 라운델.svg

마다가스카르
]]
파일:코모로 공군 라운델.svg.png
코모로


'''

서아프리카
'''
[[틀:현대전/나이지리아 항공병기|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400px-Roundel_of_the_Nigerian_Air_Force.svg.png

나이지리아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280px-Roundel_of_the_Senegalese_Air_Force.svg.png
세네갈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Roundel_of_the_Niger_Air_Force.svg.png
니제르

파일:말리 공군 라운델.svg
말리

파일:기니 공군 라운델.svg
기니

파일:모리타니 공군 라운델.png
모리타니
파일:가나 공군 라운델.svg
가나


토고

'''

중아프리카
'''
파일:차드 공군 라운델.svg
차드

파일:카메룬 공군 라운델.svg.png
카메룬


가봉
[[틀:현대전/콩고 공화국 항공병기|파일:콩고 공화국 공군 라운델.svg

콩고 공화국
]]
파일:콩고민주공화국 공군 라운델.svg
콩고민주공화국

파일:앙골라 공군 라운델.svg
앙골라

'''

남아프리카
'''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공군 라운델.svg.svg
남아공

파일:보츠와나 공군 라운델.svg
보츠와나

파일:나미비아 공군 라운델.svg.png
나미비아
파일:레소토 공군 라운델.svg
레소토


잠비아
파일:짐바브웨 공군 라운델.svg
짐바브웨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 제트전투기의 계보 ]⠀


파일:attachment/Heinkel-he177.jpg

Heinkel He 177 'Greif'[1]
1. 개요
2. 제원
3. 상세
4. 문제점
5. 운용
6. 기타


1. 개요[편집]


나치 독일제2차 세계 대전 중후반 사용한 중(重)폭격기. Fw 200과 함께 제2차 세계 대전 중 루프트바페가 실전 투입시킨 유이한 중폭격기였다.


2. 제원[편집]


He 177 A-5/R2 'Greif'
분류 : 6인승 쌍발 중(重)폭격기
엔진 : 다임러-벤츠 DB 610[2] 수랭식 24기통 엔진 2기 (2,900마력)
전장 : 22m
전폭 : 31.44m
전고 : 6.40m
익면적 : 101.99㎡
자체중량 : 16,800Kg
전비중량 : 27,200kg
최대이륙중량 : 31,000kg
최대속도 : 565Km/h (고도 6,000m)
행동반경 : 1,540km
항속거리 : 5,600Km
실용상승한도 : 8,000m
무장 :
MG81 7.92mm 기관총 3정, 1정 기수/2정 배면 곤돌라 후방
MG 151/20 20mm 기관포 2문, 1문 배면 곤돌라 전방/1문 후방 포탑
MG 131 13mm 기관총 3정, 1정 후방 상부 포탑/2정 전방 상부 원격조정 포탑
폭장 :
내부 무장창에 최대 6,000kg/외부 파일런까지 최대 7,200kg의 각종 폭탄
혹은 헨쉘 Hs 293/294 공대함 무선유도 비행폭탄 3발(동체하부 1발, 주익하단 1발)
혹은 FX 1400 프리츠 X 공대함 무선유도 미사일 3발(동체하부 1발, 주익하단 2발)
혹은 주익하단에 2개의 LT 50 항공어뢰


3. 상세[편집]


커다란 덩치와 넉넉한 탑재량을 가진 제대로 된 전략 폭격기를 목표로 개발되었다. 당시 루프트바페의 폭격기들이었던 Do 17, He 111, Do 217, Ju 88등은 죄다 경폭격기이거나 중형폭격기였기 때문이다. 허나 정작 거창하게 개발 선언을 한 루프트바페는 전략 폭격기라는 물건을 받아들일 자세가 되어 있지 못했고[3], 때문에 이 폭격기를 개발하는 중에도 중폭격기에게 급강하 폭격 능력을 요구하여 시험기 몇 대를 날려먹는 사고를 저지른다. 그리고서야 겨우 정신을 차리고 정상적인 중폭격기로 개발하게 되었다.[4]

독일의 기술력 덕분에 카탈로그상으로는 준수한 성능의 물건이 나왔으나 초기형은 엔진에 문제가 많았고 불타는 관짝(flaming coffin) 이니 죽음의 침대[5] 라는 굴욕적인 별명이 붙기도 했다. 이후 개량된 엔진을 도입하여 이런 문제를 해결하였으며 성능상의 향상까지도 이루지게 된다. 그러나 엔진실의 부적절한 설계로 인한 냉각 및 통풍의 문제는 완전히 해결하지 못했다.

결론적으로 He 177은 카탈로그상의 성능은 나쁘지 않았으나 이런저런 결함과 전황의 악화로 큰 활약은 하지 못하였다.

4. 문제점[편집]


초기형의 He 177은 엔진의 문제로 유명하다.[6] 겉으로 보기에는 일반 쌍발 폭격기임에도 불구하고 사실은 엔진이 4개인, "프로펠러는 2개, 엔진은 4개" 구조였는데 이는 엔진 두개를 하나의 파워팩으로 구성하여 프로펠러 하나를 돌리는 방법을 채택하였기 때문이다. 그렇기에 엔진출력은 4발 폭격기와 동급의 힘을 가지고 있다.[7] 흔히 제국의 라이터 등등으로 불리는 사실은 초기 He177에 장착된 엔진은 DB605A 2기를 합쳐 만든 DB610이 아니고 Bf109F-4에 사용되던 DB601E/F 2기를 합쳐 만든 DB606이기 때문이다. 화재 역시 과열 그 자체만이 원인은 아니고 설계 미스로 윤활유가 뜨거운 배기관 위로 지나가는 게 문제가 되는 부분이였다. 이 상태에서 출력을 높이면 가열된 윤활유가 배기구로 떨어져서 그대로 불이 붙었던 것.[8] 이 문제는 1942년부터 DB605A 2기를 붙여 만든 DB610을 장착하는 것으로 해결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화재 문제등을 상당 부분 해결하였으나 엔진실의 부적절한 설계로 인한 엔진 냉각등의 문제는 완전히 해결되지 않았다. 그러나 일단 납득할만한 신뢰성은 확보되었으며 이러한 버전은 1942년 11월 이후부터 생산에 들어갔으며 1944년까지 전 버전을 합쳐서 1169기가 생산되었는데 그중 DB606을 장착한 He177A-1과 초도 생산기, 실험기는 도합 173기 뿐이다. 그러나 여전히 과하중 문제가 있었던 등 성공작이라고 보기는 어려운 물건.

속력은 당시 개발된 중폭격기 중 빠른 편이고 폭장량도 준수하지만 문제는 상승 한도가 낮았다.[9] 낮은 상승 한도는 대공포탄 자석이라는 별명이 붙었다는 B-24 보다도 낮은 수준으로 제대로 방공망을 갖춘 곳에 주간 폭격에 동원하기에는 위험이 컸다. 하지만 후술하다시피 소련 전투기들이 하나같이 죄다 저고도용이었던 동부전선에서는 크게 문제가 되지 않았다고 한다.


5. 운용[편집]


결함이 많은 기종임에도 불구하고 의외로 많이 생산되었으며, 특별히 대단한 활약을 하지는 못했지만 스탈린그라드 전투에서 포위된 6야전군에게 보급품을 수송하기도 했으나 이런 임무에는 Ju 290이나 Fw 200이 더 낫다고 판단되어 퇴출당했으며 대신 스탈린그라드 인근의 방공망 제압에 투입되었다고 한다. 그러나 총 출격횟수는 13회에 그쳤으며 이 과정에서 7기를 손실했는데 7기 모두가 비전투손실이었다. 그후 슈타인복스 작전[10]에도 소수가 투입되었으며 이 작전중 46기를 손실했다. 작전 자체는 실패했고 피해도 컸지만 He 177은 평균적으로 60%의 손실이 발생하였던 다른 폭격기들에 비해서는 훨씬 피해가 적었는데 (평균 10% 손실) 조종사들이 고도를 낮춰서 속력을 올렸고 이를 통해서 700km/h(!)[11]까지 찍으면서 탈출했기에 요격에 어려움이 컸다고 한다.

하지만 기본적인 성능 자체는 매우 우수했기에 적긴 했지만 활약상도 있었다. 1944년에는 B-17 폭격기들이 소련으로 향하는걸 He 177이 직접 목격, 동년 6월 22일에 다른 폭격기들과 함께 폴타바 비행장을 공습해 B-17 43대, P-51 15대, 소련 공군기 26대를 파괴하고 각종 군수물자를 파괴하는 대전과를 올렸던 것이다.

또한 동년 7월 19일에는 모스크바에서 서쪽으로 약 450km 떨어진 벨리키예루키의 철도 시설을 성공적으로 폭격하기도 하였다. 참고로 이 공습은 대낮에 이루어졌는데도 불구하고 피해가 적었는데 그 이유는 즉슨 He 177들이 우수한 엔진을 이용하여 약 6,000m 정도의 고도에서 비행하였기 때문이었다. 6,000m는 평균적으로 약 1만 미터 상공에서 폭격기가 날아다니고 전투가 벌어졌던 서부전선의 항공전과 비교하면 별로 높은 고도는 아니었으나, 소련 전투기들의 엔진들이 모두 중저고도용이었던 탓에 이 정도로도 충분했다. 실제로 공습 당시 소련 공군은 거의 저항하지 못했다.
사실, 고고도용 과급기가 장착된 La 7 같은 물건이 소련측에도 있긴 했으나 너무 늦게 배치되었기에 사실상 대항이 불가능한 상황이었다. 게다가 그 La 7 조차도 무장이 빈약하여 폭격기를 격추하기엔 역부족.

이때 동부전선에서는 차가운 시베리아 공기가 He 177의 엔진을 식혀줘서 과열문제가 그나마 덜했다는 이야기가 있었다.

6. 기타[편집]


파생형으로 DB603 계열 엔진을 사용한 He 274, He 277이 있다. 전자는 엔진 4개를 사용한 버전이고 후자는 2개를 하나로 결합한 버전이지만 둘 다 양산되지는 않았다.

주 착륙장치의 구동방식이 특이한데, 일반 폭격기처럼 위로 접히는게 아닌 스핏파이어나 Bf109같은 전투기처럼 옆으로 접힌다. 양쪽 나란히 배치된 한쌍의 바퀴가 옆으로 접히며 엔진 뒤가 아닌 주익 구조물 사이 수납부에 들어간다.

히어로즈 인 더 스카이에 56레벨짜리와 68레벨짜리로 독일 중폭격기 정규트리에 각각 A형과 B형이 구현되어 있다.

성능은 그동안 출시되었던 그 어떤 독일 중폭격기들보다 우월한 방어기총 성능과 우수한 폭장량 덕분에 미션방 유저들은 물론 레이드를 도는 고인물들에게 한때 매우 사랑받았던 기체이지만, 2012년에 이것을 상회하는 84레벨의 Me 264와 102레벨의 Me 264 V2 해상초계기 버전이 출시하면서 Me 264에게 중폭격기 자리를 물려주고 지금은 명예로운 죽음을 맞이하신 상태다.

워 썬더에서 독일 프롭폭격기 트리로 만날 수 있는데 약 3.5톤이라는 경이로운 폭장과 꽤 빠른 속도를 가지고 있다. 다만, 최근에 1.91패치로 독일의 4발엔진 중폭격기 Me 264가 출시되었기에 He 177의 사용자가 많이 줄어들었다.

그러나 He 177의 무지막지한 폭장량, 중폭격기 치고 굉장히 빠른 가속도와 최대속도, MG 151/20을 포함한 강력한 방어무장이라는 장점은 여전하며 무엇보다 Me 264와 랭크 차이가 나서 5랭크 연구에는 Me 264를 사용할 수 없다는 점이 있기에 여전히 많이 애용되는 녀석이다. 똑같이 리얼리스틱 BR 5.7인 Ju 288과 함께 해당 BR대에서 알고도 못 막는 기지폭격을 선사하는 공포의 고속폭격기 포지션. 다만 이놈을 운용하려면 일단 지갑이 넉넉한지 확인하자. 이 녀석의 플레이법은 우회폭격이다.

콜 오브 듀티: 워존에 추가된 콜 오브 듀티: 뱅가드 홍보용 모드인 베르단스크의 전투에서 장갑열차를 파괴하면 어마어마한 숫자로 몰려와 폭격한다. 실제 역사에서도 이런 물량은 없었던거 같은데...

내 독일에 나치는 필요없다에서는 독일이 연합국에 들어가게 되면서 그놈의 쌍발 엔진문제를 보잉제 고출력 엔진 도입으로 해결하고 이름이 HeB 177로 바뀌고 독일제 B-29가 되어 적국인 소련과 일본의 영토에 불을 지르게 된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27 07:53:31에 나무위키 He 177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영어로 그리폰, 독일어로는 그라이프[2] 1475마력짜리 DB 605를 2개 붙여 '파워 시스템'으로 만든 형태.[3] 애초에 전략공군이 될 기회를 잃어버렸다. He 177을 개발하기 한참 전에도 Do 19Ju 89 같은 전략폭격기를 개발하였으나 묻혀버렸다.[4] 독일은 이 폭격기 이외에도 중형 폭격기에 급강하 옵션을 요구하기도 했다. 대표적인 것이 Ju 88. 다행히 Ju 88은 정상적인 중형 폭격기로 운용하기에 문제가 없는 물건이 나왔지만.[5] 이것 말고도 루프트바페의 라이터나 제국의 라이터라는 별명도 있었다.[6] 이외에도 기체 강도에도 문제가 있었다고 한다.[7] 연합군 주력 중폭격기의 엔진이 하나당 1200마력 선을 가지고 있었으니 엔진 출력만 놓고 본다면 오히려 더 우세하다. 물론 이 부분의 최강자인 B-29 앞에서는 한수 접어줘야 하지만. 이놈은 엔진 하나가 2,200마력을 뽑아내는 놈이다.[8] 종전 이후 롤스로이스의 기술진이 이 디자인을 보고 경악하고 이건 다임러 벤츠에서 만든 엔진이 아닐 거라고 했다는 일화가 있다.[9] 최고 속력이 565km/h로 이는 B-29보다는 느리지만 다른 연합군의 중폭격기와 비교해서 100km정도 빨랐다.[10] 독일의 영국 남동부 야간 공습작전으로 독일은 총 524기의 폭격기중 329기를 손실했고 영국의 피해는 민간인 4,500여명 사상, 야간 전투기 6기 손실이다.[11] 왜 놀라운 일이냐면 물론 지속적 하강을 통해서 얻은 속도이지만, 그 당시 수평비행으로 700km/h라는 속도에 도달할 수 있는 항공기는 전투기를 포함해 손에 꼽힐 정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