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79년 경주 지진

덤프버전 :

주의. 사건·사고 관련 내용을 설명합니다.
이 문서는 실제로 일어난 사건·사고의 자세한 내용과 설명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지진

[ 펼치기 · 접기 ]

최근 발생한 주요 지진
국외지진 (파일:미크로네시아 연방 국기.svg 미크로네시아 연방)
발생 시각 (UTC+10:00)
규모
진원
최대 진도
2024년 02월 14일
21시 40분 21초
M 6.0
미크로네시아 콜로니아 북북동쪽 172km 해역


쓰나미 여부
쓰나미 미발령
예상 최고높이: m
실측 최고높이: m




[ 역사지진 ]
역사지진
(1904년 이전)

발생순서
명칭
규모
(추정)
(M)

최대 진도
(추정)
(MMI)

1
89년 서울 지진
6.7~7.0


2
100년 경주 지진
6.7


3
304년 경주 지진
6.1


4
6.7


5
779년 경주 지진
6.3~7.0


6
1036년 경주 지진
6.4


7
1455년 순천 지진
6.4


8
1518년 한성 지진
6.7


9
1597년 백두산 지진
7.7~8.0


10


11


12
1643년 합천 지진
6.4~6.7


13
1643년 울산 대지진
6.7~7.4


14
1681년 양양 대지진
6.5


15
7.5


16
1810년 부령 지진
6.7


17
1899년 대한제국 지진
-[X]


[X] 자료없음

}}}

[ 비공식 계기지진 ]
비공식 계기지진
(1905년 ~ 1977년)

발생순서
명칭
규모
(M)

최대 진도
(MMI)

1
1921년 경주 지진
4.2

[1]
2
1925년 홍성 지진
4.4

[2]
3
1936년 지리산 쌍계사 지진
5.3

[A]
4
1944년 조선-중국 국경 지진
6.6

[U]
5
1952년 강서 지진
6.4

[U]
6
1952년 은천 지진
5.6

[U]
7
1960년 길주 해역 지진
6.8

[J]
8
1963년 영덕-포항 해역 지진
5.8~6.3

[K]
9
5.8~6.6
10
1973년 나진 해역 지진
7.7

[J]
11
1975년 속초 해역 지진
7.1

[J]
[1] 피해정도를 통한 추정[2] 감진정도를 통한 추정[A] 우리나라 계기지진의 진도와 규모 관계 분석 논문을 참고함.[U] A B C USGS[J] A B C 일본 기상청 발표이며, 일본 기상청 진도를 수정 메르칼리 진도로 변환[K] 한국 기상청, 일본 기상청 진도일 경우 수정 메르칼리 진도로 단순 변환, 진도문서 참조

}}}

[ 계기지진 ]
기상청 계기지진
(1978년 이후)

발생순서
명칭
규모
(M)

최대 진도
(MMI)

1
1978년 속리산 지진
5.2

[A]
2
1978년 홍성 지진
5.0

[A]
3
1980년 의주 지진
5.3

[U]
4
1982년 사리원 지진
4.5

[K]
5
1994년 울산 해역 지진
4.6

[K]
6
4.5
7
1994년 홍도 해역 지진
4.9

[K]
8
1996년 영월 지진
4.5

[1]
9
1997년 경주 지진
4.2

[2]
10
2004년 울진 해역 지진
5.2


11
2007년 평창 지진
4.8


12
2013년 백령도 해역 지진
4.9


13
2016년 울산 지진
5.0


14
2016년 경주 지진
(9.12 지진)
5.1


15
5.8

[3]
16
2017년 포항 지진
5.4

[4]
17
2018년 포항 지진
4.6


18
2019년 동해 해역 지진
4.3


19
2021년 서귀포 해역 지진
4.9


20
2022년 괴산 지진
4.1


21
2023년 강화 지진
3.7


22
2023년 동해 해역 지진
4.5


23
2023년 장수 지진
3.5


-
2023년 어랑 해역 지진[5]
(심발지진)
4.9


24
2023년 경주 지진
4.0


[A] A B [U] [K] A B C [1] USGS 기록#과 논문 1996년 12월 13일 영월 지진의 진도 및 에너지감쇠에 관한 연구, 1996년 12월 13일 영월지진의 피해 및 진도 분석, 20C 한반도 지진활동 특성과 영월지진(1996년12월13일)의 피해 및 진도 분석를 참고함.[2] USGS 기록#과 논문 1997년 6월 26일 경주지진의 진도 및 파형분석, 1997년 6월 26일 경주지진의 진도분석 및 지진 지질학적 의의를 참고함.[3] 기상청 발표 최대진도는 Ⅵ이었으나, USGS의 기록#, 이후 발표된 기상청 보고서, 기상청에서 제공하는 사용자 맞춤형 지진정보서비스의 모의 영상의 표기 등을 참조하여 Ⅶ로 정함.[4] 기상청 발표 최대진도는 Ⅵ이었으나, 규모 4.3의 여진#에서 최대진도 Ⅶ을 관측한점, USGS의 기록# 지진 이후 발표한 기상청 포항지진 분석 보고서, 기상청에서 제공하는 사용자 맞춤형 지진정보서비스의 모의 영상의 표기 등을 참조하여 Ⅶ로 정함.[5] 해당 지진은 국내지진 영역 내부에서 발생했으나, 기상청에서 공식 발표하지 않았음.





779년 경주 지진
파일:2016-12-01 16.10.05.png
발생일시
(UTC)


779년 3월경 (혜공왕 15년)
진앙
북위 35.8도, 동경 129.2도
경상북도 경주시 율동 선두1길[1]
진원의 깊이
불명
규모
(추정)

Mw 6.3 / ML 6.7~7.3
최대 진도
(메르칼리, 추정)

[NOAA]
[KMA]
피해상황
(추정)

사망자
100명 이상
부상자
불명
재산피해
많은 가옥이 무너짐
1. 개요
2. 기록
3. 여담
4.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779년 신라의 수도였던 경주에서 일어난 수도직하지진으로 한국의 역사지진(서기 2~1904년) 중에서, 세번째로 강력했던 지진이자 내륙에서 발생한 지진 중 가장 큰 규모의 지진, 추정규모는 Mw 6.3~ML 6.7~7.0 급이다.

진앙지로 추정되는 위치는 북위 35.8도, 동경 129.2도인데, 2016년 경주 지진의 진앙지와 매우 가깝다. 전진이 북위 35.76도, 동경 129.19도였고 본진 북위 35.77, 동경 129.18도였다.

2. 기록[편집]


때는 신라 중기로 《삼국사기》 신라본기 혜공왕 당시에 발생했다. 8세라는 어린 나이에 왕위에 올라, 귀족들과 왕족들에게 휘둘려 다니던 혜공왕은 덩달아 터지던 각종 반란과 자연재해로 골머리를 앓고 있었다. 그 중 가장 빈번하게 언급되는 재해가 바로 지진이었다.

혜공왕 3년(767) 여름 6월, 지진이 났다.

4년(768) 여름 6월, 지진이 났는데 그 소리가 벼락 소리 같았고 우물과 샘이 모두 말랐다.

6년(770) 겨울 11월, 서울에 지진이 났다.

13년(777) 봄 3월, 서울에 지진이 났다.

여름 4월, 지진이 다시 발생하였다.

《삼국사기》제9 권 신라본기 제9 혜공왕

혜공왕의 선대인 경덕왕이 사망하던 765년 4월에도 지진이 발생했으므로, 765년부터 약 12년간 지진이 6번 발생하였다. 그 밖에 호랑이가 궁에 들어온다든지, 황룡사로 큰 별이 떨어졌다든지 하는 각종 기이한 일들과 함께 지진이 굉장히 자주 일어났다. 정치적으로도 무척 혼란스러운 시기였는데, 777년 3월과 4월에 연이어 지진이 발생하자 상대등이었던 양상(良相)이 왕에게 "정치를 올바로 하십시오!"라는 내용으로 상소를 올렸다는 기록으로 알 수 있다.

그러다 혜공왕 15년(779)에 수도 경주에 큰 지진이 일어났다.

十五年 春三月 京都地震 壞民屋 死者百餘人

15년 봄 3월, 경도(京都)[2]

에 지진이 있어 민옥(民屋)이 무너지고 죽은 자가 100여 명이었다.

《삼국사기》 제9권 신라본기 제9 혜공왕

100여 명이 죽었다는 피해자 수까지 명시될 정도로 큰 지진이 일어난 것이다. 참고로 이는 삼국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의 지진기록 중, 몇 안되는 지진 피해 사상자 기록이다.[3] 이 정도면 경주시에서만 진도 6강에 해당하는 진동이었음을 대략 짐작할 수 있다.

한편 혜공왕은 지진이 벌어진 달에 백좌법회[4]를 열었다는 기록이 있는데, 혼란에 빠진 시민들을 위해서였는지는 모른다.

3. 여담[편집]


이 지진이 수도직하지진임을 고려하면 피해가 꽤 적은 편에 속한다.

규모가 동일한 다른 수도직하지진들과 비교해보면 근대 오스만 제국 수도에서 발생한 1897년 이스탄불 지진은 사상자만 1,349명에 달했고 2010년 아이티 지진한 나라폐허로 만들고 30만 명에 달하는 인명까지 앗아갔다. 779년 경주 지진은 중세 신라시대에 발생한 수도직하지진임에도 불구하고 사망자를 100여 명 정도로 억제한 건 명백한 혜공왕의 업적이고, 당대 신라는 이러한 재해에 대처하는 능력이 상당했음을 알 수 있다.

4. 관련 문서[편집]


별도의 문서가 존재하는 한반도 지진
304년 경주 지진

779년 경주 지진

1036년 경주 지진

문서가 존재하는 기원 후 ~ 18세기 지진
[[틀:지진/기원전|

기원전
]]
>
~ 18세기
[[틀:지진/19세기|
>
19세기
]]
발생일
규모
지진명

62. 2. 5.

M6.1
62년 폼페이 지진

89. 6.

M7.0
89년 서울 지진

100. 10.

M6.7
100년 경주 지진

304. 8.

M6.1
304년 경주 지진

304. 9.

M6.7

779. 3.

M7.3
779년 경주 지진

1036. 7. 17.

M7.0
1036년 경주 지진

1455. 1. 15.

M6.7
1455년 순천 지진

1518. 6. 22.

M7.5
1518년 한성 지진

1556. 1. 23.

M8.0
산시 대지진

1597. 10. 6.

M8.0
1597년 백두산 지진

1643. 6. 9.

M6.4
1643년 합천 지진

1643. 7. 25.

M7.4
1643년 울산 대지진

1681. 6. 12.

M6.7
1681년 양양 대지진

1681. 6. 26.

M7.5

1703. 12. 31.

M8.5
겐로쿠 대지진

1707. 10. 28.

M9.3
호에이 대지진

1755. 11. 1.

M9.0
리스본 대지진

1797.

M8.7
1797년 남아시아 대지진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19 02:34:48에 나무위키 779년 경주 지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舊. 경상북도 경주시 율동 1931-173 부근[NOAA] 미국 지질조사국 추정진도[KMA] 대한민국 기상청 추정진도[2] 수도 경주시를 말한다.[3]삼국사기》, 《고려사》 등을 뒤져봐도 몇 개 되지 않으며, 이 지진 말고도 사상자 기록이 있는 지진으로는 1643년 6월 9일 터진 진주 지진을 들 수 있는데 확실히 파악할 수 있는 것으로 따지면, 사망자 2명이 발생했다.[4] 고승이 앉는 자리인 사자좌 100개를 준비하고, 이에 맞추어 고승 100명을 초대해 설법하는 대규모 법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