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 동해 해역 지진

덤프버전 :


주의. 사건·사고 관련 내용을 설명합니다.
이 문서는 실제로 일어난 사건·사고의 자세한 내용과 설명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지진

[ 펼치기 · 접기 ]

최근 발생한 주요 지진
국외지진 (파일:미크로네시아 연방 국기.svg 미크로네시아 연방)
발생 시각 (UTC+10:00)
규모
진원
최대 진도
2024년 02월 14일
21시 40분 21초
M 6.0
미크로네시아 콜로니아 북북동쪽 172km 해역


쓰나미 여부
쓰나미 미발령
예상 최고높이: m
실측 최고높이: m




[ 역사지진 ]
역사지진
(1904년 이전)

발생순서
명칭
규모
(추정)
(M)

최대 진도
(추정)
(MMI)

1
89년 서울 지진
6.7~7.0


2
100년 경주 지진
6.7


3
304년 경주 지진
6.1


4
6.7


5
779년 경주 지진
6.3~7.0


6
1036년 경주 지진
6.4


7
1455년 순천 지진
6.4


8
1518년 한성 지진
6.7


9
1597년 백두산 지진
7.7~8.0


10


11


12
1643년 합천 지진
6.4~6.7


13
1643년 울산 대지진
6.7~7.4


14
1681년 양양 대지진
6.5


15
7.5


16
1810년 부령 지진
6.7


17
1899년 대한제국 지진
-[X]


[X] 자료없음

}}}

[ 비공식 계기지진 ]
비공식 계기지진
(1905년 ~ 1977년)

발생순서
명칭
규모
(M)

최대 진도
(MMI)

1
1921년 경주 지진
4.2

[1]
2
1925년 홍성 지진
4.4

[2]
3
1936년 지리산 쌍계사 지진
5.3

[A]
4
1944년 조선-중국 국경 지진
6.6

[U]
5
1952년 강서 지진
6.4

[U]
6
1952년 은천 지진
5.6

[U]
7
1960년 길주 해역 지진
6.8

[J]
8
1963년 영덕-포항 해역 지진
5.8~6.3

[K]
9
5.8~6.6
10
1973년 나진 해역 지진
7.7

[J]
11
1975년 속초 해역 지진
7.1

[J]
[1] 피해정도를 통한 추정[2] 감진정도를 통한 추정[A] 우리나라 계기지진의 진도와 규모 관계 분석 논문을 참고함.[U] A B C USGS[J] A B C 일본 기상청 발표이며, 일본 기상청 진도를 수정 메르칼리 진도로 변환[K] 한국 기상청, 일본 기상청 진도일 경우 수정 메르칼리 진도로 단순 변환, 진도문서 참조

}}}

[ 계기지진 ]
기상청 계기지진
(1978년 이후)

발생순서
명칭
규모
(M)

최대 진도
(MMI)

1
1978년 속리산 지진
5.2

[A]
2
1978년 홍성 지진
5.0

[A]
3
1980년 의주 지진
5.3

[U]
4
1982년 사리원 지진
4.5

[K]
5
1994년 울산 해역 지진
4.6

[K]
6
4.5
7
1994년 홍도 해역 지진
4.9

[K]
8
1996년 영월 지진
4.5

[1]
9
1997년 경주 지진
4.2

[2]
10
2004년 울진 해역 지진
5.2


11
2007년 평창 지진
4.8


12
2013년 백령도 해역 지진
4.9


13
2016년 울산 지진
5.0


14
2016년 경주 지진
(9.12 지진)
5.1


15
5.8

[3]
16
2017년 포항 지진
5.4

[4]
17
2018년 포항 지진
4.6


18
2019년 동해 해역 지진
4.3


19
2021년 서귀포 해역 지진
4.9


20
2022년 괴산 지진
4.1


21
2023년 강화 지진
3.7


22
2023년 동해 해역 지진
4.5


23
2023년 장수 지진
3.5


-
2023년 어랑 해역 지진[5]
(심발지진)
4.9


24
2023년 경주 지진
4.0


[A] A B [U] [K] A B C [1] USGS 기록#과 논문 1996년 12월 13일 영월 지진의 진도 및 에너지감쇠에 관한 연구, 1996년 12월 13일 영월지진의 피해 및 진도 분석, 20C 한반도 지진활동 특성과 영월지진(1996년12월13일)의 피해 및 진도 분석를 참고함.[2] USGS 기록#과 논문 1997년 6월 26일 경주지진의 진도 및 파형분석, 1997년 6월 26일 경주지진의 진도분석 및 지진 지질학적 의의를 참고함.[3] 기상청 발표 최대진도는 Ⅵ이었으나, USGS의 기록#, 이후 발표된 기상청 보고서, 기상청에서 제공하는 사용자 맞춤형 지진정보서비스의 모의 영상의 표기 등을 참조하여 Ⅶ로 정함.[4] 기상청 발표 최대진도는 Ⅵ이었으나, 규모 4.3의 여진#에서 최대진도 Ⅶ을 관측한점, USGS의 기록# 지진 이후 발표한 기상청 포항지진 분석 보고서, 기상청에서 제공하는 사용자 맞춤형 지진정보서비스의 모의 영상의 표기 등을 참조하여 Ⅶ로 정함.[5] 해당 지진은 국내지진 영역 내부에서 발생했으나, 기상청에서 공식 발표하지 않았음.






2019년 동해 해역 지진
파일:2019년 동해 해역 지진.png
발생
(UTC+9)

2019년 04월 19일 11시 16분 43초
진앙
강원 동해시 북동쪽 54km 해역



KMA: 37.88°N 129.54°E
진원의 깊이
32km
규모
ML 4.3 / Mw 4.0[1]
진도
한국 기상청 공식 발표 기준

강원

경북

충북, 경기
기상청
상세정보

지진 상세정보
지진
신속정보

지진속보}}}발령시간: 2019년 04월 19일 11시 17분
추정규모: 4.2
최대예상진도 :



KBS 뉴스특보
}}}
지진발생 당시 영상을 다룬 sbs 뉴스

1. 개요
2. 재난문자
3. 둘러보기



1. 개요[편집]


2019년 동해 해역 지진은 2019년 04월 19일 11시 16분 43초, 강원 동해시 북동쪽 54km 해역에서 발생한 규모 4.3의 지진이다. 규모에 비해 광범위한 지역에서 진동을 감지했다.

지진이 발생한 깊이가 32km로, 한반도에서 일반적으로 지진이 발생하는 깊이인 10~20km 보다 깊은 곳에서 발생한 지진이다. 일반적으로 한반도에서는 30km 이하는 멘틀이기 때문에 이 정도 깊이에서 지진이 일어날 수 없는데, 이 지진은 동해가 한반도 밑으로 섭입하면서 발생하는 메커니즘을 가지고 있다고 분석하기도 한다. 또한 남한에서 발생한 규모 2.0 이상의 지진 중에서는 기상청이 진원의 깊이를 발표하기 시작한 2015년 이후 2023년 까지 가장 깊은 곳에서 발생한 지진이었다.[2] 다만, 규모 4.0 이상의 지진 중에서는 여전히 진원의 깊이가 가장 깊은 지진이다.

여진으로 발생한 규모 2.0 이하의 대부분의 미소지진 역시 깊이 30km 이하에서 발생했다.

4년 후 같은 지역에서 조금 더 큰 규모의 지진이 발생했다.

2. 재난문자[편집]


⚠️ 안전안내문자
파일:행정안전부 MI_가로.svg
[삼척시]금일 11시 17분 동해시 북동쪽 54km지역 규모 4.3지진발생, 여진 등 안전에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570-3119(11시 29분 발송)
[강릉시청]동해북동쪽54km 진도[3] 4.3 지진, 공터등으로 이동하여 안전에유의하시기 바라며, 해안가 접근을 자제하시기 바랍니다.(11시 37분 발송)
[동해시청]동해 북동쪽54km 규모4.3 지진, 여진 등 안전에 주의바라며, 해안 접근 금지 등 안전에 주의 바랍니다. (11시 54분 발송)

2019년 당시 해역에서 발생한 규모 4.0 ~ 4.5의 해역지진의 경우 진앙지 반경 50km 긴급재난문자를 송출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지진속보가 발표되었음에도 기상청 재난문자가 발송되지 않았다. 당시 해역에서 발생한 규모 4.0 ~ 4.5의 긴급재난문자 송출 지역을 진앙지 반경 50km로 제한한 것은 해당 규모의 해역 지진의 경우 이론적인 감쇠 정도로 봤을 때 진도Ⅳ 영역의 두 배로 예상되는 지역이 반경 50km 정도였기 때문이다. 하지만 해당 지진은 반경 50km 보다 훨씬 떨어진 지역까지 진도Ⅳ의 흔들림을 감지했다. 따라서 큰 흔들림을 느꼈던 동해안 주민들은 긴급재난문자가 제대로 송출되지 않은 점에 큰 불만을 표시했다.

결국 이 지진 이후 규모 4.0 ~ 4.5의 해역지진 발생시 반경 80km까지 긴급재난문자가 송출될 수 있도록 변경되었다.


3. 둘러보기[편집]


별도의 문서가 존재하는 한반도 지진
2018년 포항 지진

2019년 동해 해역 지진

2021년 서귀포 해역 지진
문서가 존재하는 2019년 지진
[[틀:지진/2018년|

2018
]]
>
2019
[[틀:지진/2020년|
>
2020
]]
발생일
규모
지진명
최대진도
01. 03.
M5.1
구마모토 지진

6-

01. 26.
M4.3

5-

02. 21.
M5.8
홋카이도 지진

6-

04. 18.
M6.3
대만 화롄 지진


04. 19.
M4.3
동해 지진


04. 22.
M6.1
필리핀 루손 지진


04. 23.
M6.4


05. 26.
M8.0
페루 지진


06. 18.
M6.7
야마가타 지진

6+

07. 05.
M6.4
캘리포니아 지진


07. 06.
M7.1


08. 04.
M6.4
후쿠시마 지진

5-

10. 16.
M6.7
10월 1차 필리핀 민다나오 지진


10. 29.
M6.8
10월 2차 필리핀 민다나오 지진
10. 31.
M6.8
10월 3차 필리핀 민다나오 지진
12. 15.
M6.9
12월 필리핀 민다나오 지진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9 12:00:44에 나무위키 2019년 동해 해역 지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의 2023년 동해 해역 군발지진 조사에서 기존 Mw 3.9에서 상향되었다.[2] 2023년 4월 25일 같은 지역에서 깊이 33km 규모 3.5 지진이 발생하여 기록이 깨지게 되었다.#[3] 규모가 맞는 표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