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7번 지방도

덤프버전 :

이 교통 시설 또는 노선은 개통되지 않았습니다.

이 문서에는 현재 설계, 계획이나 공사 등의 이유로 개통되지 않은 교통 시설 또는 노선에 대한 정보가 서술되어 있습니다.


파일:Korea_Local_Highway_logo.png 국가지원지방도
횡축
20 · 22 · 28 · 30 · 32 · 56 · 58 · 60 · 68 · 70 · 78 · 82 · 84 · 86 · 88 · 96
종축
13 · 15 · 23 · 37 · 39 · 49 · 55 · 57 · 67 · 69 · 79 · 97 · 99
순환
90 · 98
고속도로 | 국도 | 국도(북한) | 국가지원지방도 | 지방도 | 특별시도 | 광역시도 | 시도 | 군도








1. 개요[편집]


경상남도 통영시경상북도 칠곡군 왜관읍을 잇는 국가지원지방도이다. 칠곡군 왜관읍에서 67번 국도와 만난다.

1994년에 창원 ~ 선산 구간을 노선으로 한 67번 국도를 신설하고자 하였으나, 북쪽 끝에 해당하는 칠곡 ~ 구미 노선만 1996년에 67번 국도가 되고 나머지 구간은 국가지원지방도로 남았다.

선형이 배배 꼬여있다.


2. 노선[편집]



2.1. 경상남도[편집]



2.1.1. 통영시[편집]


통영시 도남동 발개삼거리에서 1021번 지방도와 분기하며 시작한다. 해당 도로는 1021번 지방도 정체시 우회도로로 이용이 가능하다.
이름없는 삼거리가 나오며 여기서 우회전하자. 참고로 도로 이용시 주의해야 하는데 우회전하자마자 교량이 나오며 그리고 1021번 지방도와 교차한다. 1021번 지방도는 미수해안로->급우회전->이후 좌회전으로 합류한다. 그리고 직진시 그대로 미수해안로와 직결한다.
이후 교량을 하나 더 건넌다.
통영대교교차로에서 1021번 지방도와 다시 분기한다. 우회전하자. 참고로 좌회전하면 해안도로가 나오며 남해안 드라이브가 가능하다.
'통영터널'을 통과한다. 해당 터널은 2017년에 개통하였으며 해당 도로 개통이전에 통영시청과 도천동을 오가려면 여황로나 차가 꽉 막히는 중앙로를 이용해야 했다.
명정교차로에서 다시 1021번 지방도와 합류하며 우회전하자.
이름없는 사거리가 나오며 여기서 좌회전하자.
이름없는 사거리가 나오며 여기서 14번 국도에 합류한다. 참고로 카카오맵에서는 터널이 있는 것처럼 나오지만 실제로는 터널이 없다.
광도면까지는 14번 국도와 중첩된다. 통영대전고속도로와 평행하게 간다.
통영종합버스터미널 통과
통영대전고속도로 북통영IC가 나온다. 고속도로 이용시 노산삼거리 직전 어떤 교차로에서 우측으로 빠저셔 77번 국도와 교차하자마자 좌회전해야 고속도로 이용이 가능하며 '노산삼거리' 이용시 고속도로 이용이 불가능하므로 주의하자.
노산삼거리에서 14번 국도와 분기한다.
통영대전고속도로 북통영IC 진입로 밑을 통과한다.
광도면부터 창원시 마산합포구 진전면까지는 77번 국도와 중첩된다.
통영대전고속도로 밑을 통과한다.


2.1.2. 고성군[편집]


남해안을 따라가며 절경 경치 구경이 가능하다.
당동삼거리에서 1009번 지방도에 합류한다. 우회전하자. 참고로 좌회전하면 통영대전고속도로 동고성IC 이용이 가능하다.
봉곡삼거리가 나오며 여기서 우회전하자.
남해안을 따라가는 도로이며 이로 인해 경치가 절경이고 드라이브 코스로 유명하나 급커브와 헤어핀이 매우 많아 조심해서 운전해야 한다.
이름없는 삼거리에서 1010번 지방도와 교차하며 1010번은 여기서 끝난다. 이후 우회전하자.
동진교를 건넌다. 고성군 동해면과 창원시 진전면의 경계다.


2.1.3. 창원시[편집]


남해안을 계속 따라간다.
암아교차로가 나오며 좌회전하자. 우회전시 2번 국도 구도로를 이용하게 된다.
진목교차로에서 좌회전하여 2번 국도, 14번 국도로 들어가자.
마산합포구 진전면부터 진동면까지는 2번 국도와 중첩된다.
지산JC에서 2번 국도로 부터 분기한다. 참고로 진동면소재지 방면 출구는 없으며 이목IC를 이용해야 한다. 지산JC 분기 직후 이목IC가 나오므로 헷갈리지 않게 조심하자.
진동면부터 함안군 여항면까지는 79번 국도와 중첩된다.
함안군 여항면부터 내서읍까지는 길이 없다. 해당 구간은 왔던 길을 되돌아가 '이목IC'에서 구도로로 진출한후 '진북교차로'에서 2번 국도, 14번 국도, 77번 국도, 79번 국도에 재합류한후[1] 동전터널을 지나고 5번 국도가 추가합류한 후 '현동JC'라는 곳에서 2번 국도, 14번 국도, 77번 국도, 79번 국도와 분기한 후 5번 국도와 함께 내서읍 방면으로 올라가야 한다.
내서읍에서 5번 국도와 중첩한다.
그냥 그대로 경남대로로 직진하면 30번 지방도와 교차하지 않아 그대로 남지, 창녕, 대구 방면으로 가므로 주의해야 한다.
이름 없는 사거리에서 좌회전
중부내륙고속도로 내서IC가 나오며 곧바로 나오는 내서JC를 통해 남해고속도로제1지선 이용이 가능하다.
여기서부터 함안읍까지는 30번 지방도와 중첩된다.

2.1.4. 함안군[편집]


산인면 문암삼거리에서 1021번 지방도가 합류한다.
참고로 산인면~가야읍 구간은 도로가 굉장히 이상하게 되어있는데, 그냥 그대로 30번 지방도를 계속 이용해 어떤 사거리에서 30번 지방도 및 79번 국도와 분기해도 되지만 산인면내와 함안읍내를 통과하라고 되어 있다.
함안교를 건너며 79번 국도와 만나나 교차로는 없다.
함안버스터미널 통과.
가야사거리에서 우회전하자.
가야읍에서 79번 국도와 교차한다.
의령군 정곡면까지는 1011번 지방도와 중첩된다.
남해고속도로 함안IC가 나온다.
악양삼거리에서 좌회전
법수면소재지를 통과하며 이름없는 삼거리에서 우회전
백곡교를 건넌다. 낙동강의 교량이며 함안군 법수면과 의령군 정곡면의 경계다.

2.1.5. 의령군[편집]


중교사거리에서 1011번 지방도가 분기하며 20번 국도와 합류한다.
청도군 풍각면까지는 20번 국도와 중첩된다.
부림면 세간리 야산삼거리에서 잠시 1041번 지방도와 중첩된다.
이후 이름없는 삼거리에서 1041번 지방도와 분기하며 좌회전하자. 우회전하면 지정면과 칠원읍을 지나 마산으로 가게 된다.
세간교삼거리에서 60번 지방도와 만나 중첩되며 1008번 지방도기 부닉한다. 좌회전하자.
세간교를 건넌다.
부림면소재지 우회구간은 잠시 왕복 4차로 구간이며 이름없는 교차로에서 60번 지방도가 분기한다.
이후 교량을 건넌다.

2.1.6. 합천군[편집]


의령군 청덕면 '적교'라는 지역의 적포삼거리에서 24번 국도가 합류하며 창녕읍까지 중첩된다.
적포교를 건너며 이 교량은 합천군창녕군의 경계이다.


2.1.7. 창녕군[편집]


과거에는 79번 지방도와 중첩되어 좌회전해 이방면소재지를 지나 1080번 지방도1034번 지방도와 만나 대구광역시 달성군 대암리에 진입한 후 우곡교를 건너 우곡면을 통과해 성산면에서 광주대구고속도로와 교차 후 26번 국도와 합류하는 식이었다.
이남삼거리에서 79번 지방도가 합류한다.
유어삼거리에서 79번 지방도가 끝나며 79번 국도가 분기하고 79번 국도의 기점이다.
우포늪을 지난다.
직신마을회관을 지나면 다시 왕복 4차로며 중부내륙고속도로 창녕IC와 교차한다.
오리정사거리에서 1080번 지방도와 교차하며 창녕읍내를 통과한다.
창녕시외버스터미널 통과
창녕읍내를 통과한다.
송현사거리에서 좌회전하며 여기서 부터 왕복 2차로.
고암사거리가 아닌 어떤 한 다른 사거리에서 24번 국도로 부터 분기한다. 좌회전하자. 직진하면 천왕재를 넘어 밀양으로 간다.
작은 고개를 넘는데 고갯길이 꽤 꼬불꼬불해 주의해야 한다.
고갯길을 넘으면 방리에서 1034번 지방도가 합류하며 1034번 지방도의 종점이다.
비티재를 넘는다. 비티재 역시 꼬불꼬불해 주의해서 가야한다. 비티재는 창녕군 고암면과 청도군 풍각면의 경계다.


2.2. 경상북도[편집]



2.2.1. 청도군[편집]


대구광역시 달성군 유가읍까지는 길이 없다. 현재는 다시 왔던 길을 되돌아가 비티재를 넘어 1034번 지방도를 이용해 우회해야한다. 2028년까지 마령재터널을 뚫어 연결예정이다.


2.3. 대구광역시[편집]



2.3.1. 달성군[편집]



2.3.1.1. 공식경로[편집]

  • 곽천대산로
달창저수지를 지난다.
본말리의 이름 없는 삼거리에서 우회전.
경모재를 넘는다.
  • 달창로
달창저수지를 지난다. 이후 달창로28길과 만나는 이름없는 사거리에서 우회전
창헌로와 만나는 이름없는 삼거리에서 우회전하자.
한정3리에서 5번 국도(비슬로)에 합류한다. 직진하자.

2.3.1.2. 우회경로[편집]

방리삼거리에서 1034번 지방도가 분기되며 중첩된다. 좌회전하자.
이천길과 만나는 성산면 삼거리에서 우회전
  • 이천길
  • 곽천대산로
달창로와 만나는 삼거리에서 달창로 방면으로 좌회전하자. 이후 구간은 공통구간이다.

2.3.1.3. 공통구간[편집]

포산고사거리에서 현풍중앙로, 테크노대로와 만나는데 비슬로 방면으로 좌회전하자. 직진하면 현풍읍내, 우회전하면 테크노폴리스로 들어간다.
달성군민체육관네거리에서 좌회전으로
중부내륙고속도로지선 북현풍IC와 교차하며 해당하는 나들목은 대구 방면 진입, 창원 방면 진출만 가능하다.
위천교차로에서 5번 국도와 분기하며 26번 국도와 중첩한다. 우측으로 빠져서 이후 좌회전하자.
성산대교. 이 교량은 대구광역시 달성군 논공읍경상북도 고령군 성산면의 경계다.

2.4. 경상북도[편집]



2.4.1. 고령군[편집]


중부내륙고속도로와 교차하나 연결이 되지 않는다.[2]
사부교차로에서 79번 지방도가 합류하며 79번 지방도는 종점까지 같이 간다.
사부터널

대가야읍 고령교차로에서 26번 국도와 분기한다. 우측 성주, 왜관 방면으로 빠지자.
대가야읍에서 운수면 월산사거리까지 33번 국도와 중첩된다.
월산사거리에서 33번 국도로 부터 분기하며 67번 지방도와는 계속 중첩된다. 네이버 지도에서는 해당 구간이 67번 지방도로 나와있다. 헷갈리지 않고 우회전하자.
봉평교를 건너며 운수면소재지를 지난다.
이름 없는 작은고개를 넘으며 이 고개는 고령군 운수면과 성주군 용암면과의 경계이다.

2.4.2. 성주군[편집]


중부내륙고속도로 밑을 지나나 나들목은 없다.[3] 밑을 지나자마자 왕복 4차로로 넓어진다.
용정교차로에서 905번 지방도와 교차한다.[4]
용암면소재지를 우회한다.
해당 구간 이후부터는 용암에서 선남, 성주, 대구 방면으로 가기 위해 이용하는 용암면의 대동맥이다.
도성교를 건넌다. 백천의 교량이며 용암면선남면의 경계이다.
도성교차로에서 30번 국도에 합류한다. 우측 대구 방면으로 가자.
내려오자마자 923번 지방도가 분기한다. 기산이나 도흥리, 왜관 방면으로 가는 차는 반드시 조심하자.[5]
선남면에서 대구광역시 달성군 하빈면까지 30번 국도와 중첩된다.
성주대교. 낙동강의 교량이며 성주군과 대구광역시의 경계이다.


2.5. 대구광역시[편집]


동곡교차로에서 30번 국도와 분기한다. 한눈팔지말고 반드시 우측으로 빠지자.
달성군 하빈면에서 경상북도 칠곡군 왜관읍까지 67번 지방도와 중첩된다.


2.6. 경상북도[편집]



2.6.1. 칠곡군[편집]


낙동강을 따라간다.
달오교차로에서 67번 국도와 직결된다.


3. 여담[편집]


2018년 초에 고령군 구간인 우곡로와 개경포로 선형개량 공시가 완료되었다. 아쉽게도 왕복 2차로이긴 하지만 완전 새로 건설한 거라 선형이 매우 좋으며 제한속도가 무려 70km/h이다.[6] 왕복 2차로 도로고 자동차전용도로도 아닌데 드문 제한속도. 실제로 직선화되고 선형이 엄청 좋다. 대가야읍에서 대구 구지나 창녕 이방으로 갈때 교통이 엄청 편해졌다.

과학남로와 우곡로는 원래 낙동강을 두고 끊겨 있었는데 2007년 우곡교가 개통되면서 서로 연결되었다.

과거에는 창녕 구간이 적교 ~ 이방 ~ 대구로 이어져있었다. 하지만 2017년에 청도 쪽으로 우회하게 바뀌었다. 쓸데없이 왜 바꾸냐

4. 고속도로, 국도 교차[편집]


고속도로와는 광도면 노산삼거리에서 통영대전고속도로 북통영IC와 처음으로 교차하고, 이후 거류까지 통영대전고속도로와 나란히 간다. 이후 중리에서 남해고속도로제1지선, 중부내륙고속도로 내서IC와 간접교차하고, 이후 남해고속도로제1지선, 남해고속도로본선과 같이 간다.이후 남해고속도로 함안IC와 간접교차한다. 이후 창녕읍에서 중부내륙고속도로 창녕IC와 교차한다. 이후 현풍읍까지 가서 중부내륙고속도로지선 북현풍IC와 교차한다. 이후 중부내륙고속도로, 광주대구고속도로와 교차하나 직접접속은 안되고 광주대구고속도로는 성산면 방면으로 돌아가서 동고령IC와 교차, 중부내륙고속도로고령JC에서 분기하면 나온다. 이후 용암에선 중부내륙고속도로 남성주IC와 간접교차한다.

국도는 광도면에서 14번 국도와 중첩되어 통영대전고속도로와 나란히 가다 노산삼거리에서 14번 국도와 분기되어 77번 국도와 중첩된다. 이후 창원 진북교차로에서 2번 국도, 14번 국도와 교차하고 79번 국도와 여항까지 중첩된다. 이후에는 끊겨있는 구간을 가면 내서에서 5번 국도와 잠시중첩되고, 함안에선 다시 잠시 79번 국도와 중첩된다. 이후 의령군 정곡에서 청도군 풍각(...)까지 20번 국도와 중첩되며, 적교에서 고암까지는 24번 국도와도 중첩된다. 창녕 유어에서 79번 국도와 만나며 79번 지방도는 끝난다. 이후 5번 국도와 교차하나 직접연결은 되지 않고 1080번 지방도를 이용해 간접교차한다. 고암면에서 24번 국도, 풍각면에서 20번 국도와 분기하면 한정에서 위천까지 5번 국도와 중첩되고, 위천에서 고령까지는 26번 국도와 중첩되고, 고령에서 운수까지 33번 국도와 중첩된다. 이후 성주군 선남면에서 대구 하빈까지는 30번 국도와 중첩되고, 칠곡군 왜관읍에서 67번 국도와 직결된다.

4.1. 요악[편집]


통영대전고속도로, 남해고속도로제1지선, 남해고속도로, 중부내륙고속도로, 중부내륙고속도로지선과 직접교차, 광주대구고속도로와는 간접교차한다.

국도는 14번 국도, 2번 국도, 79번 국도, 5번 국도, 20번 국도, 24번 국도, 26번 국도, 33번 국도, 30번 국도, 67번 국도와 교차하거나 중첩된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19 06:20:01에 나무위키 67번 지방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그냥 그대로 지산JC로 직진하면 왔던 길을 되돌아가므로 주의하자.[2] 기족교차로에서 진출후 우회전-우회전 한 후 성산면소재지를 통과해 동고령IC 이용[3] 남성주IC 이용.[4] 해당 지방도를 이용해 중부내륙고속도로 이용이 가능하다.[5] 923번 지방도의 기점. 2021년 12월 부로 연장되었다.[6] 법적으로 왕복2차로 도로의 최고속도는 60km/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