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30번 지방도

덤프버전 :



1. 개요
2. 통과 구간
3. 기타


1. 개요[편집]


경상남도 창원시 성산구 완암동과 부산광역시 강서구 생곡동을 잇는 지방도. 총길이는 22.48km로, 전구간이 민간투자사업으로 건설된 고속화도로이다. 운영회사는 경남하이웨이. 2012년 2월 29일에 창원 성산구 성주동~김해 장유동 구간이 최초로 임시개통되었다. 2단계 구간(완암IC - 율하IC)은 2013년 10월 12일에 개통되었다. # 이후 2015년 12월 5일 부산 강서구 생곡동 세산IC까지의 3단계 구간의 개통으로 전 구간이 개통되었다.

전 구간이 남해안대로에 포함되며, 남해안대로 동부구간 일대가 모두 1030번 지방도에 속한다.

현행 요금은 톨게이트를 한 개 지날 때 마다 소형 차량 기준 1,100원이고 톨게이트가 불모산터널 앞과(창원TG) 지사동 근처에(녹산TG) 총 두 곳 있으므로, 소형 차량으로 1030번 지방도의 전 구간을 주행하면 편도 2,200원이 된다. 마창대교까지 이용하면 4,700원.

이 도로를 운영하는 업체나 일부 이용자들은 창원-부산간 (민자)도로라고 부르기도 한다. 공사 당시 사업명이 이랬기 때문인데, 부산 원도심으로 들어가는 엄궁대교승학터널이 남아있으므로, 1030번 지방도의 실질적인 완전개통 전까지는 한참 기다려야 할 것이다. 이를 두고 일각에서는 실질적인 1030번 지방도의 종점을 중앙동4가로 보기도 한다.


2. 통과 구간[편집]


양곡IC(2번 국도)[1][2] - 완암IC - 상복IC - 남지IC - 성주사IC[3] - 불모산IC[4] - 창원TG - 불모산터널 - 상점IC[5] - 율하IC - 녹산TG - 미음IC[6][7] - 세산IC[8]


3. 기타[편집]


김해 장유, 부산 사상구, 사하구 일대에서 진주, 통영 등지로 접근함에 있어 최단 루트이기도 하다. 물론 그만큼 소모되는 통행료는 무시하자

성산구 구간은 성산구의 남부순환도로 역할을 하며, 성주동-장유 구간은 1020번 지방도의 교통량 분산이 목적이므로 1020번 지방도와 거의 나란히 달린다. 자유로-제2자유로와 비슷한 관계. 그러나 1020번 지방도의 최대 헬게이트인 창원터널의 수요 분산을 위해 개통된 이 지방도의 핵심 구간인 불모산터널이 유료도로인 탓에 1030번 지방도를 쭉 타야 하는 경우와 창원터널의 정체가 극심할 때를 제외하면 거의 분산이 안 되고 있다. 불모산터널 문서 참고.

노선버스의 경우 시내버스는 창원 버스 3004, 창원 버스 3005, 부산 버스 55-1, 부산 버스 122[9], 시외버스는 마산남부시외버스터미널발 모든 부산행 노선과 시외버스 창원-고현이 이용하며 창원종합버스터미널발 부산행 노선들도 창원터널의 정체로 인해 이용할 때가 있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15 09:55:17에 나무위키 1030번 지방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2번 국도와 직결되어 마창대교와 현동IC를 경유한다.[2] 1030번 지방도에서 양곡동, 장복터널 방향으로 진출하거나 그 반대로 진입은 불가능하다.[3] 25번 국도와 분기. 안민터널 방면은 바로 연결되지 않고 안민터널사거리에서 유턴해야 한다.[4] 부산 방향으로 창원터널이 막힐 때 우회하기 위한 진입로이자 창원 방향으로 우회 후 나가는 것이 주 목적이라 부산 방향에서의 진출이 불가능하다. 가능했다면 불모산터널의 통행료를 안 내기 위해 창원터널로 우회하는 경우까지 생길 테니...[5] 창원터널이 막힐 때 불모산터널로 우회를 하기 위한 것이 주 목적이라 부산 방향에서의 진출과 창원 방향에서의 진입만 가능하다.[6] 대충보면 평면교차로 같지만, 해당도로 구간이 교량으로 되어있기 때문에, 입체교차로이다.(한방면으로만 진출입이 가능하다.)[7] 세산IC 쪽에서 진출입은 양방향으로 가능하다. 양곡방면 이용시만 한쪽 방향으로만 이용가능.[8] 미음IC~세산IC 구간은 자동차전용도로가 아니고 인도가 있어서 보행자, 이륜차, 자전거의 통행이 가능하다.[9] 단, 부산 시내버스들은 자동차전용도로가 아닌 구간만 이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