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늘의 신병

덤프버전 :


파일:일본 황실.svg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 펼치기 · 접기 ]






1. 개요
2. 제목의 유래
3. 듣기/가사
4. 여담


空の神兵

작사: 우메키 사부로 (梅本三郎)
작곡: 타카기 토오로쿠 (高木東六)
발표: 1942년 (昭和17年)


1. 개요[편집]


하늘의 신병은 일본 제국공수부대에서 불렸던 군가이다.


2. 제목의 유래[편집]


태평양전쟁이 한창이던 1942년 1월 11일.

일본은 네덜란드령 동인도 제도를 침공하게 된다.

동인도제도에는 자바 섬이 포함되어 있었는데 연합군은 극동방어전략의 일환으로 이곳을 결사적으로 방어하고 있었다. 그 이유는 이곳이 빼앗기는 순간 곧장 남태평양 지역 전역이 일본의 군사적 사정거리 안으로 무방비하게 노출되게 되는, 0순위 군사적 요충지이기 때문이었다. 반대로 말하자면 일본의 입장에서는 남태평양으로의 확장을 위해서는 이곳을 반드시 먹어야만 한다는 의미가 되는데, 이러한 배경 하에 벌어진 전투가 바로 네덜란드령 동인도 제도 전투이다.

이 전투에서 동양 최초로 공수부대가 투입되게 되는데, 이들의 활약으로 동인도 제도 전투는 일본의 압도적인 승리로 마무리된다. 이러한 승전보에 대본영은 물론 일본 국민들도 환호하게 되고, 일본 공수부대에는 하늘의 신병(空の神兵)이라는 애칭이 붙게 된다.[1] 이 이름을 따서 그 해 4월 빅터 레코드 사(社)가 발매한 곡이 바로 이 문서에서 소개하려는 노래가 되겠다.

3. 듣기/가사[편집]




藍より蒼き大空に大空に
쪽빛보다 푸른 넓은 하늘에 넓은 하늘에
忽ち開く百千の
돌연 열리는 천백의
眞白き薔薇の花模様
새하얀 장미 꽃무늬
見よ落下傘空に降り
보아라 낙하산 하늘에 내리는
見よ落下傘空を征く X2
보아라 낙하산 하늘을 떠나는
世紀の華よ落下傘落下傘
세기의 꽃이여 낙하산 낙하산
その純白に赤き血を
그 순백에 물든 붉은 피를
捧げて悔いぬ奇襲隊
받들어 후회 없이 남기는[2] 기습대
この青空も敵の空
이 푸른 하늘도 적의 하늘
この山河も敵の陣 X2
이 산과 강도 적의 진
敵擊摧舞い降る舞い降る
적을 쳐부수고 떨어지는 떨어지는
眦高き兵の
눈을 치켜 뜬 병사의
何処か見ゆる幼顔
흔히 볼 수 있는 앳된 얼굴
嗚呼純白の花負ひて
아아 순백의 꽃이 진다.
嗚呼青雲に花負ひて X2
아아 푸른 구름에 꽃이 진다.
讃へよ空の神兵を神兵を
나타내라 하늘의 신병을 신병을
肉彈粉と碎くとも
육탄 가루로 부서지는 한이 있어도
擊ちてし止まぬ大和魂
공격을 멈추지 않는 야마토 정신
我が益荒男は天降る
우리 사나이들이 강림한다.
我が皇軍は天降る X2
우리 황군이 강림한다.

4. 여담[편집]


이 노래는 구 일본제국 제1정진연대의 후신인 육상자위대 제1공정단[3]에게 그대로 계승되었다. 때문에 후지 종합화력 연습 및 각 주둔지 축제 등에서 제1공정단이 강하 실연을 해보일때면 이 노래가 연주된다.

단, 공식적인 자리에서는 4절은 생략되는데, 그 이유는 4절에 포함되어 있는 신병(神兵)이나 황군(皇軍)이라는 단어가 '자위대는 군대가 아니다.'라고 명시한 일본 평화헌법에 저촉되기 때문이라고 한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4 23:46:32에 나무위키 하늘의 신병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좀 더 정확히 이야기하자면 당시 일본에는 공군이 없었던 관계로 육군과 해군에서 공수부대를 독자적으로 운용하고 있었는데 육군 소속의 공수부대는 정진연대(挺進联隊), 해군 소속은 공정부대(空挺部隊)라고 불렀다. 태평양 전쟁에서 맞붙었던 미군도 당시에 공군이 없었다.[2] 후회의 감정만을 낙하산에 남겨 물든 피와 함께 버린다는 의미로 해석하면 자연스럽다. ぬ를 "~ 없이" "~않고"로 해석하는 것이 더 자연스럽다. [3] 일본자위대 유일의 공수부대로서, 지바현 후나바시 시의 나라시노 주둔지에 본부를 두고 있어 나라시노 공정단이라고도 불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