칠골교회

덤프버전 : (♥ 0)



이 문서는 나무위키의 이 토론에서 문서명을 칠곡교회에서 칠골교회로 변경으(으)로 합의되었습니다.
타 위키에서의 합의내용이 더위키에서 강제되지는 않지만 문서를 편집하실때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 펼치기 · 접기 ]

중구역
교육김책공업종합대학 · 인민대학습당 · 평양의학대학 · 평양학생소년궁전
문화릉라인민유원지 · 목란관 · 백선행기념관 · 선경종합식당 · 옥류관 · 창광원 · 창전해맞이식당 · 청류관
상업평양아동백화점 · 평양역전백화점 · 평양제1백화점 · 평양제2백화점
호텔고려호텔 · 대동강호텔 · 양각도국제호텔 · 창광산호텔 · 평양호텔 · 해방산호텔
기타조선광업개발무역회사 · 평양역
대동강구역
교육김원균명칭 음악종합대학
상업대성백화점 · 류경관 · 류경원
문화대동강수산물식당 · 문수물놀이장 · 중앙로동자회관 · 평양보링관
대성구역
교육김일성종합대학 · 평양외국어대학
문화대성산유희장 · 평양민속공원(철거)
기타백화원영빈관 · 평양화초연구소
락랑구역
상업평양단고기집 · 통일거리시장
기타락랑호텔 · 정백사원 · 평양과학기술대학
만경대구역
교육강반석혁명학원 · 금성학원 · 김일성군사종합대학 · 만경대학생소년궁전 · 만경대혁명학원
문화만경대유희장 · 향만루대중식당
상업광복백화점
종교봉수교회 · 칠골교회
호텔량강호텔 · 서산호텔 · 청년호텔
모란봉구역
상업삼태성청량음료점 · 서평양백화점 · 보통강수산물상점
기타개선청년공원 · 모란봉 · 평양텔레비죤탑
보통강구역
문화류경미래관
상업미래상점 · 보통강백화점
기타류경호텔 · 보통강역
사동구역
전체미림승마구락부 · 미림역 · 미림항공구락부 · 송신역 · 청룡역
선교구역
전체대동강역 · 장충성당
기타 지역
전체동평양역 (력포구역) · 보통강려관 (평천구역) · 서평양역 (서성구역) · 평성리과대학 (은정구역)
상위 둘러보기 틀로 이동하기




파일:북한 국기.svg 평양시의 종교시설
파일:북한 국장.svg조선그리스도교련맹
칠골교회
칠골敎會
Chilgol Church
||
파일:칠골교회 현판_수정.png
파일:칠골교회.jpg
▲ 칠골교회의 모습
설립1899년
1989년[1], 2014년 (재건축)
종교ta-hash-start=w-2c0b63ee34715edf629f6c3e41c8a6b2[[파일:75px-Christian_cross.svg.png 개신교
소속조선그리스도교련맹
대표자백봉일 (담임목사)
주소



칠골교회
(평양시 만경대구역 칠골1동)
1. 개요
2. 특징
3. 연혁
4. 기타
5. 관련항목



1. 개요[편집]


북한의 종교시설. 평양시 만경대구역 칠골1동에 있다.

개신교 소속 교회로서, 한국전쟁 이후 두 번째로 북한 땅에 설립된 예배당을 가진 교회다. 1989년 착공되어 공사 진행 중 다시 처음부터 짓다시피 해서 1992년에 완공되었다. 1992년 11월 29일에 첫 예배를 드렸다. 북한 공인 개신교 단체인 조선그리스도교련맹 소속이다.

김일성의 어머니 강반석 집사가 출석하던 교회이고, 이를 기념하기 위해서 재건축이 이뤄졌다. 평안남도 대동군 용악면에 있던 하리교회[2][3] 터에 예배당이 건립된 것으로 유명하다.

근처에 중앙재판소, 칠골혁명사적관, 청년호텔, 향만루대중식당, 청년운동사적관, 평양교예극장 등이 있다.


2. 특징[편집]


파일:남북의 창 로고.png [[파일:남북의 썰 로고.png
북한의 종교
(2022년 10월 6일 공개분)

파일:철골교회 1.jpg
리모델링 전의 칠골교회당

평양시 만경대구역 칠골동에 있다. [4]

칠골교회 역시 봉수교회처럼 1989년 13차 평양 청년학생 축전을 앞두고 건설을 하려 했으나, 우선순위에 밀려 1993년에야 설립되었다.

2013년 4월부터 2014년 7월까지 다시 짓다시피 리모델링 공사를 했다. 리모델링 공사비는 전적으로 남한의 대한예수교장로회(통합)에서 지원했다.

칠골교회 예배당은 1층으로 되어있다. 예배당은 예배실과 화장실, 음향시설과 강대상을 갖추고 있다. 예배당 양옆에는 교육관과 창고 등이 있으며 뒤에는 목사관이 있다. 또한 예배당 건너편에는 최초[5]의 칠골교회 예배당이 남아있다.

칠골교회의 초대 담임목사는 유병철 목사였으며 그 후 박춘근 목사, 황민우 목사를 거쳐 현재 담임목사는 백봉일 목사다.

매주 일요일 오전 10시에 주일예배를 드린다. 주일예배에는 북한 교인들 뿐만 아니라 북한에 체류하고 있는 관광객, 사업가, 외교사절 및 외교관, 국제기구 직원 등 외국인들도 참석한다.

설사 북한의 주장대로 실제 개신교도들의 모임이라 치더라도, 인구 280만의 평양에 국가에서 허용하는 교회가 달랑 100여명의 신도이며, 평양 이외에는 아예 존재 하지도 않는다는 사실을 북한도 인정하는 판에, 100명 정도의 신도로 북한에 교회가 존재한다는 로동당의 주장에 대한 여부 판단은 알아서 하자.


3. 연혁[편집]




4. 기타[편집]



2013년 7월 칠골교회 재건축 현장 영상. 영상에 나오는 북측 목사는 조선그리스도교련맹 소속 백봉일 목사.

2014년 9월 14일 칠골교회 주일예배 영상[7]. 백봉일 목사 집례.


5. 관련항목[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9 09:48:40에 나무위키 칠골교회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더디게 진행되다가 1992년 11월 29일에 완료됐다.[2] 1899년 설립되었으나 한국전쟁 때 파괴되었다.[3] 김일성의 어머니가 하리교회에 출석했다.[4] 이 지역 이름은 룡악산에 뿌리를 둔 7개의 골짜기 중에 일곱 번째 골짜기라는 뜻으로 지어진 이름이다.[5] 1989년에 건축된 건물.[6] 전도사.[7] 개신교 신자가 아닌 사람을 위해 설명하자면 예배 순서나 절차 같은 큰 부분은 남한 개신교와 그리 차이가 없다. 시작시 찬송가 '만복의 근원 하나님'을 부르는 것, 대표 기도자가 중보기도와 참회기도를 하는 것, 설교 전까지는 일어서서 예배를 드리다가 중보 기도와 설교 때는 자리에 착석하고 마무리 경에 다시 일어나는 것, 중년 연령대 여성 성도의 비율이 압도적인 점까지 비슷하다. 차이라면 예배가 문화어라는 것, 양복보다는 한복을 입은 사람의 비율이 높다는 것, 그리고 북한 특유의 조국 언급이 조금 많이 보인다는 것 정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