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당동 고분군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신라의 고분문화에 대한 내용은 고분문화 문서
4번 문단을
고분문화#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경주 천마총 장니 천마도.png 5~6세기 신라의 고총 고분군

[ 펼치기 · 접기 ]




1. 개요
2. 출토
3. 기타


1. 개요[편집]


4세기 신라 장수의 것으로 추정되는 찰갑이 강원도 강릉시 초당동에서 출토되었다. 이 찰갑은 작은 미늘 조각을 이어 붙여 만든 갑옷으로, 토광목곽묘에서 나왔다. 발견된 토광목곽묘는 길이 약 3.05m, 폭 1.4m, 깊이 25cm 정도로, 지름 5~10cm의 작은 돌을 사용한 시상대가 마련되어 있다.

2. 출토[편집]


찰갑은 시상대의 서단벽 쪽에서 발견되었으며 몸통을 보호하는 부분 이외에 목의 뒷부분을 보호하는 목가리개(경갑), 어깨를 보호하는 어깨가리개(견갑)가 함께 확인된다. 찰갑 옆에는 긴목항아리, 짧은목항아리 등 신라 토기들과 금귀걸이 한 쌍이 함께 부장돼 있어, 신라 토기의 연대를 고려했을 때, 4세기 대 강릉지방에 주둔한 신라 장수의 것으로 보인다.

강릉지역에서는 여러 신라 고분이 조사되었으며, 초당동 고분군의 대형 석곽묘에서는 금동관, 관장식, 나비 모양 금동 관모장식 등 신라 상류층의 물건들이 출토되었다. 이는 4~5세기대 강릉지역이 고구려와 신라 간 국경 충돌사건이 빈번했음을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다.

3. 기타[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4-02-11 20:03:27에 나무위키 초당동 고분군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