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로부인

덤프버전 :



[ 펼치기 · 접기 ]
혁거세 후
남해 후
유리 후
알영부인
운제부인
이리생부인
사요왕의 딸 김씨
탈해 후
파사 비
지마 후
일성 후
아효부인
사성부인
애례부인
지소례왕의 딸 박씨
아달라 후
벌휴 후
내해 후
조분 후
내례부인
석골정의 모후
아루부인
아이혜부인
조분 후
미추 후
흘해 후
내물 후
운소부인
광명부인
석공한의 모후
보반부인
실성 후
눌지 후
자비 후
소지 후
아류부인
차로부인
1
복호의 딸 김씨
2
미사흔의 딸 김씨

1
습보의 딸 김씨
2
선혜부인
3
벽화부인
지증왕 후
법흥왕 후
진흥왕 후
진지왕 후
연제부인
보도부인
1
사도부인
2
소비 부여씨
지도부인
진평왕 후
무열왕 후
문무왕 후
신문왕 후
1
마야부인
2
승만부인
문명왕후
자의왕후
폐비 김씨
2
신목왕후
성덕왕 후
효성왕 후
경덕왕 후
성정왕후
2
소덕왕후
1
왕비 박씨
2
혜명부인
3
정종의 딸 김씨

사량부인
경수태후
혜공왕 후
선덕왕 후
원성왕 후
소성왕 후
1
신보왕후
2
창창부인
구족부인
숙정부인
계화부인
애장왕 후
헌덕왕 비
흥덕왕 후
희강왕 후
왕후 박씨
귀승부인
정목왕후
문목왕후
민애왕 후
신무왕 후
문성왕 후
헌안왕 후
윤용왕후
정계부인

1
소명왕후
2
장보고의 딸
문의왕후의 모후
경문왕 후
헌강왕 비
효공왕 후
신덕왕 후

1
문의왕후
2
차비 김씨
의명부인
왕비 박씨
의성왕후
경명왕 후
경애왕 후
경순왕 후
왕비 김씨
왕비
죽방부인





차로부인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신라 눌지 마립간의 왕비
차로부인 | 次老夫人


신라 실성왕의 왕녀


파일:황남대총 피장자.jpg

특수효과로 복원한 황남대총 피장자의 모습
출생
393년 이전[1]
사망
미상
능묘
황남대총(추정)
재임기간
(음력)
신라 왕비
417년 5월 ~ 458년 8월 (41년)

[ 펼치기 · 접기 ]
본관
경주 김씨
부왕
실성 마립간
모후
아류부인
부군
눌지 마립간
자녀
슬하 1남 2녀?
아들 - 김자비
딸 - 조생부인, 성국공주?[1]
신장
143cm(추정)[2]

차로부인(次老夫人)
이칭
아로부인(阿老夫人)

1. 개요
2. 관련 기록



1. 개요[편집]


신라의 공주이자 왕비. 본관은 경주 김씨. 실성 마립간아류부인의 딸, 눌지 마립간의 왕비, 자비 마립간의 어머니.

아버지와 남편 사이의 관계가 막장인데, 차로부인은 아버지 실성 마립간을 시해한 친척 눌지 마립간의 왕비가 된 것이다.

별칭은 아로부인(阿老夫人)[2]이지만, 아효부인의 별칭과 한자까지 똑같아서 혼동할 우려가 있다. 다만 둘의 성씨가 김씨와 박씨로 다르기 때문에 성씨를 병기하면 혼동을 피할 수 있다.

능묘는 비정된 곳이 없으나 대릉원에서 두 무덤이 합쳐진 모습의 황남대총 남분이 남편 눌지 마립간의 무덤이라는 설이 인정받고 있으니 차로부인도 황남대총 북분에 묻혔을 가능성이 있다. 그리고 북분의 주인이 그녀라면 황남대총 북분 금관의 주인이기도 할 것이다.


2. 관련 기록[편집]


  • 삼국사기 신라본기 눌지 마립간조: (눌지 마립간의) 왕비는 실성왕의 딸이다.
  • 삼국사기 신라본기 자비 마립간조: (자비 마립간의) 어머니 김씨는 실성왕의 딸이다.
  • 삼국유사 왕력편 자비 마립간조: (자비 마립간의) 어머니는 아로부인인데 차로부인이라고도 하며, 실성왕의 딸이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8 06:56:04에 나무위키 차로부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눌지 마립간이 393년 이전에 출생한 것으로 추정되는데 차로부인이 눌지 마립간과 결혼할때 당시 결혼 연령인 15세때 결혼했고 결혼 당시에 눌지 마립간과 같은 나이였다면 차로부인은 393년 이전에 태어났을 것으로 추정된다.[2] 次와 阿의 상고한어 발음은 각각 /*[s-n̥\]i[j\]-s/, /*qˤa[j\]/로 서로 상당히 다르다. 차로(次老)는 훈차표기인데 차로(次老)의 로(老)는 말음 첨기이다. 일본서기에 가야의 관직 하한기(下旱岐)와 차한기(次旱岐)가 보인다. 둘은 한자표기만 다른 같은 관직으로 下를 훈으로 아로시(アロシ)로 적고있다. アロ는 아래(下)를 シ는 사이시옷을 적어 놓은 것인데 次 또한 アロ로 볼 수 있으므로 아로(阿老)와 차로(次老)는 서로 같은 음을 적어낸 것으로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