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관북부정류장

덤프버전 :

파일:경상북도 휘장_White.svg

[ 펼치기 · 접기 ]
경산시
경주시
구미시
김천시
문경시
경산 · 대구대 · 진량 · 갈지리 ·남산 · 용성 · 곡란 · 중앙병원 · 남천 · 영남대 · 자인 · 하양
경주고속 · 경주시외 · 불국사·안강동부 · 안강 ·풍산금속 · 안강휴게소 · 입실
구미 · 공단 · 낙동강구미휴게소· 선산휴게소 · 장천 · 주공
김천 · 김천구미역(하차) · 부곡
문경 · 가은아자개 · 농암 · 점촌북부 · 점촌 · 마성 · 산양
상주시
안동시
영주시
영천시
포항시
상주 · 경북대상주 · 낙서 · 낙동 · 함창 · 화령 · 내서 · 평온 · 청리 · 옥선 · 은척 · 성주봉
안동 · 임동 · 일직 · 안기 · 안동대 · 경북도청 · 옹천 · 용상 · 태화오거리 · 안동병원 · 안동초교 · 과학대
영주 · 풍기IC · 꽃동산(하차) · 장수(하차)
영천 · 삼창 · 자천 · 창하 · 고경 · 임고 · 자양
포항고속 · 포항시청 · 포항 · 나루끝 · 송라 · 청하 · 효자(하차) · 흥해 · 죽장

고령군
봉화군
성주군
영덕군
고령 · 축협 · 귀원
봉화 ·법전 · 대현 · 현동 · 황평 · 춘양
성주
영덕 · 강구 · 장사 · 병원 ·도곡 · 병곡
영양군
예천군
울릉군
울진군
영양 · 입암
예천 · 풍양 · 지보 · 예천삼거리 · 가동 · 16부대(후문/정문) · 개포 · 용궁(터미널/)

울진· 구산 · 매화 · 사동 · 기성 · 평해 · 후포 · 죽변 · 부구 · 온정 · 금강송(쌍전교차로)
의성군
청도군
청송군
칠곡군
의성 · 도리원 · 단촌 · 다인 · 비안 · 안계 · 춘산 · 탑리 · 가음 · 양지 · 사미 · 빙계2리 · 춘산
청도 · 대천 · 동곡 · 동창 · 운문사 · 풍각 · 갈고개 · 김전 · 사전 · 방음 · 신원 · 통점 · 삼계 · 휴양림 · 도계 · 칠성리 · 화양 · 각남
청송 · 안덕 · 월정(불로) · 주왕산 · 진보 · 화목 · 도평
왜관남부 · 왜관북부
시외버스 · 고속버스가 정차하는 경우만 표기
시내버스 · 농어촌버스만 정차하는 곳은 표기하지 않음.
(하차)는 하차만 가능한 경우
서울 · 인천 · 경기 · 강원 · 대전 · 세종 · 충북 · 충남
광주 · 전북 · 전남 · 대구 · 부산 · 울산 · 경남 · 제주




1. 개요
2. 시외버스 노선
2.1. 농어촌버스 노선
2.2. 시내버스 노선
2.3. 과거에 운행했던 노선
3. 문제점
3.1. 노후된 시설


1. 개요[편집]


경상북도 칠곡군 왜관읍 중앙로에 위치한 버스 터미널이다. 대부분 경일교통에서 운행하는 농어촌버스다. 시외버스는 코로나19 이전에도 극히 부실했으며 서울로 가는 버스도 전국에서 유일하게 없었다. 이유는 왜관역이 있기 때문이며, 어찌 보면 김천시, 경산시, 청도군, 밀양시를 뛰어넘는 철도 강세 지역이라고 할 수 있겠다.

왜관남부정류장 문서도 같이 보자.


2. 시외버스 노선[편집]


이 문서는 현재 운행이 중단된 노선을 다룹니다.

이 문서에서 서술하는 도로, 철도, 버스, 항공, 선박 등의 노선은 현재 무기한 또는 특정 기간에 한하여 운행이 중단되었습니다.


고속버스 노선은 없으며, 시외버스 노선은 다음과 같다.
영남권:대구북부[1], 김천(구미)역, 김천

세 노선 현재는 모두 코로나19로 인해 운행이 중단되었다.[2]

대구북부는 250번을 이용해 가거나 왜관역에서 열차를 타고 대구역에서 내려서 1호선-3호선을 이용한 다음에 만평역에서 내려서 도보를 해야 한다.

김천(구미)역은 13-9번 또는 113-9번을 타거나 김천 또는 성주, 혹은 구미에서 갈아타야 한다.

김천은 13-9, 113-9번을 타거나 성주 또는 구미에서 갈아타는 방법이 있지만 환승을 하느니 차라리 왜관역에서 일반열차를 이용하는 것이 요금도 싸고 여러모로 환승할 필요가 없어 훨씬 낫다.

약목 까지의 발권은 불가능하다. 자동발매기를 이용해 표를 발권했다.

자세한 내용은 시외버스 대구북부-김천 참고.


2.1. 농어촌버스 노선[편집]


250번: 삼청리, 연화, 신동역, 뱃재, 태전동 경유. 북부정류장에서 종착하며 5분 대기 후 성주버스정류장으로 출발한다. 1일 4회 영진전문대로 들어가며 이 때는 250-1번으로 운행한다. 250-1번은 대구북부에서 종착한다.

400번: 원골, 기산, 용신공단, 영리, 유월, 월항, 삼산리를 거쳐 성주까지 간다. 250번도 있지만 대구를 거치기 때문에 너무 둘러서 간다.(2시간 20분 정도) 1일 2회는 왜관남부에서 출발한다.

33번: 왜관남부 출발, 망정, 도개, 다부, 천평[3]을 거쳐서 심곡까지 간다. 과거에는 왜관에서 안동시, 영주시로 가는 방법은 이 노선 또는 32번 타서 천평 하차 후 천평에서 경북고속 소속 안동터미널, 영주종합터미널행 버스 타는 방법도 있었다. 심지어 안동터미널행 타고 안동역, 안동대학교, 진보, 영양까지 갈 수 있었다. 완행 시간대는 구효령, 효령, 군위, 도리원, 의성, 단촌, 일직 까지 갈 수 있었다.[4] 이 외 시간대에 심곡리 주민들이 왜관으로 가려면 구미로 가야 한다.

42번: 기산, 경북과학대, 각산리를 거쳐 인촌까지 간다. 중간에 어떤 정류장에서 내려 봉정삼거리까지 도보한 다음에 봉정삼거리 정류장에서 14번을 타고 김천 가는 방법도 있다.

7번, 9번, 20번: 왜관공단, 금남, 낙산, 묘리, 동곡을 거쳐 문양역까지 간다. 상행은 7번은 숭오3리까지[5] 9번은 과거엔 석적을 거쳐 성곡에서 종착했으나 지금은 팥재주차장까지 간다.

50번, 50-1번, 51번, 51-1번: 50번은 기산, 도흥, 광영 등을 거쳐 문양역까지 가며 성주군으로 가는 노선 중 하나이며, 51번, 51-1번은 성주군 선남면 광영리에서 종착한다.

27번: 연화, 금호를 거쳐 기곡리까지 간다. 기곡리에서 성서2번과 연계된다.

이 외 농어촌버스는 칠곡군 농어촌버스를 참조.


2.2. 시내버스 노선[편집]


11, 111번: 무림, 약목, 율리, 북삼, 사곡동, 공단본부, 구미터미널을 거쳐 구미역까지 간다. 약목, 북삼, 사곡, 공단 쪽은 이 노선을 타는 것이 현명하나 구미는 60분이나 걸리므로 왜관역에서 무궁화호를 타고 구미로 가자. 이 노선 때문에 약목, 북삼 쪽으로 경일교통이 많이 들어가지 않는다.

10, 110번: 포남, 석적, 중리, 3공단, 인동, 구미터미널을 거쳐 구미역 까지 간다. 대부분 수요는 구간 수요다. 구미 까지 소요시간은 11, 111번 보다 더 많이 걸린다.

11-1, 11-2, 11-3, 11-4, 11-5, 11-6: 전부 아웃 구미 노선이다.

13-9, 113-9: 율리까지는 구미 버스랑 똑같이 가다가, 율리부터 어로, 숭오, 지경, 부상, 운양, 김천(구미)역을 거쳐 김천까지 간다. 김천까지는 왜관역에서 열차를 타자.


2.3. 과거에 운행했던 노선[편집]


북삼, 구미직행, 동대구, 대구공항, 경산: 2018년 1월 5일 개통했으며 코리아와이드 진안에서 운행했다. 전부 열차로 대체할 수 있었기 때문에 쓸모가 없었으며 상행은 김천까지 갔다. 결국 1일 4회로 개통한 이 노선은 1일 2회로 감회되었으며 2018년 11월 23일 폐선되었다.

수죽, 장산, 초전: 어른들 말씀에 따르면 있었다고 한다. 물론 지금은 폐선되었으며 일부 어른들 말씀에 따르면 과거에는 이 정류장들을 거쳐 대구북부로 가는 노선도 있었다고 한다.

상주, 점촌, 예천, 안동, 영주: 경북고속에서 운행한 천평 경유 노선과 달리 진안고속에서 운행했으며, 안동을 거쳐서 영주로 가는 것이 아닌 예천까지 공동 운행하다가 안동행/영주행으로 분리되었다.

창천, 수륜, 고령: 대구북부-성주직행이 고령까지 운행했을때 운행하던 노선이다.

추풍령, 황간, 화령: 김천버스의 전신 대한교통이 시외버스를 운행했을때 운행했다.

지례, 대덕, 무풍, 설천, 무주


3. 문제점[편집]


이곳은 터미널이 아닌 그냥 정류장으로 봐도 이상할 것이 없는 수준이다. 명색이 칠곡군의 최대 지역인 왜관의 버스 터미널인데 서비스가 매우 안좋으며, 실제로 대충 훑어봐도 터미널이 아닌 정류장 느낌이 날 것이다. 일반적인 터미널은 터미널 대합실로 나와서 승차장이 있는데 여기는 승차장이 나온 다음에 대합실이 있다. 심지어 매표소[6] 조차 없으며, 자동발매기로 전부 대체한다.[7]

그 외에는 조그만 가게와 커피자판기가 있다.


3.1. 노후된 시설[편집]


왜관북부정류장의 시설은 매우 노후되었다. 대합실은 90년대에나 보던 그런 스타일이며, 시간표 관리도 제대로 안 되어있는 데다가, 대합실도 일찍 문을 닫는다. 대합실 곳곳엔 거미줄이 쳐져 있으며, 구석에 방치된 상태의 전국 지하철 노선도가 있는데, 12~13년도에 있었던 그런 스타일의 지하철 노선망이다. 화장실도 붙어있는 것이 아니라 떨어져 있으며, 위생이 매우 안 좋으며 냄새가 곳곳에 난다.

참고로 대합실과 화장실은 2000년대 초중반 무렵에 한 차례 리모델링을 거친 상태인데 문제는 그 이후 전혀 관리를 안 했다는 게 문제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0 20:25:08에 나무위키 왜관북부정류장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과거엔 운행횟수가 엄청났다. 현재의 김천발 이외에도 안동발, 영주발, 점촌발, 충주발, 황간발, 대전(복합)발, 성주발, 초전발, 무주발, 상주발 등 어마어마한 계통이 있었다.[2] 코로나 이전에도 대구북부~왜관남부 구간을 제외하고는 수요가 매우 적었다.[3] 2018년 6월 11일 부로 폐쇄[4] 즉, 천평정류장은 왜관보다 시외버스 노선망이 넓었던 셈.[5] 구미 버스 360이 종착하는 곳이다.[6] 원래는 있었으나 칠곡군 버스에 교통카드 사용이 가능할 무렵 즈음에 자동발매기로 교체되었다. 지금도 자동발매기와 대기실 사이에 창문이 과거 매표소의 흔적.[7] 반면 왜관남부의 경우 자동발매기가 없고 매표소로 대체한다. 참고로 왜관남부의 경우 BUSTAGO 양식의 승차권이 나오지만, 왜관북부는 별도의 옛날 양식 승차권을 사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