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베 신조 피살 사건/반응/아시아

최근 편집일시 :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아베 신조 피살 사건/반응



이 문서는 나무위키의 이 토론에서 @합의사항1@(으)로 합의되었습니다.
타 위키에서의 합의내용이 더위키에서 강제되지는 않지만 문서를 편집하실때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토론 합의사항

[ 펼치기 · 접기 ]
* 대한민국 - 학계 문단에 다음 내용을 추가한다. * 호사카 유지는 2022년 7월 8일 오마이뉴스와 인터뷰를 통해 "아베파가 여전히 최대 파벌로 남아있지만 아베 전 총리만큼 카리스마 있는 차기 리더를 찾아보기 힘들다", "동생 기시 노부오는 건강이 좋지 않아서 이어받기 어렵고, 타카이치 사나에 같은 강성 극우파도 아베가 없으면 사실상 거의 힘을 잃을 것"이라며 아베 전 총리가 없는 일본 정치에서 극우세력의 힘이 급속히 약해질 것"이라 전망했다. 최초 기사에선 호사카 유지가 "한일관계의 큰 걸림돌이 사라졌다"고 말했다고 전했으나 이후 수정되었다. 현재기사 최초기사 아카이브




1. 파일:대한민국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대한민국[편집]



1.1. 대한민국 정부[편집]


  • 윤석열 대통령은 "아베 총리를 사망케 한 총격 사건은 용납할 수 없는 범죄행위"라며 잇따라 애도의 뜻을 밝혔다. # 또한 조전을 통해 "일본 헌정사상 최장수 총리이자 존경받는 정치가를 잃은 유가족과 일본 국민에게 애도와 위로의 뜻을 전한다"고 밝혔다. #

  • 또한 윤석열 대통령은 조만간 주한일본대사관에 마련된 분향소에 방문하여 조문할 예정이며, 일본 측 장례일정이 확정되면 한덕수 국무총리를 필두로한 정부 차원의 조문 사절단을 보낼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다. ##



  • 외교부는 대변인 성명을 통해 "유가족과 일본 국민에 깊은 애도와 위로의 뜻을 표한다"고 밝혔다. #


1.2. 정치권[편집]


  • 문재인 전 대통령은 트위터를 통해 “아베 전 총리는 최장수 총리로 일본 국민에게 많은 존경과 사랑을 받았다”고 언급하고, “본인과는 한일관계 발전과 동북아 평화·번영을 위해 20차례가 넘는 회담과 전화 통화를 통해 오랫동안 많은 대화를 나누며 함께 노력을 기울였다”라고 본인과의 인연을 덧붙이며, "급작스러운 비보에 안타깝고 비통한 마음이다"라고 애도했다. #
  • 김진표 국회의장은 서한에서 "대한민국 국회와 국민을 대표해 깊은 애도의 말씀을 드린다"며 "이번 사건은 절대로 용납할 수 없는 만행으로 폭력을 행사하는 행위는 어떠한 일이 있어도 절대로 발생해서는 안 될 일"이라고 밝혔다. #
  • 국민의힘 허은아 수석대변인은 구두논평을 통해 "테러는 그 어떠한 이유에도 정당화될 수 없다"라고 밝히면서 아베 신조 전 총리의 사망을 애도했다. #
  • 더불어민주당 신현영 비대위 대변인은 "모든 형태의 정치테러를 규탄한다"며 아베 신조 전 총리의 영면을 기원했다. #
  • 정의당은 "삼가 조의를 표하며, 큰 충격에 빠져 있을 유가족과 일본 국민들에게 깊은 위로를 전한다"고 밝혔다. #
  • 이낙연 전 국무총리는 "무거운 충격에 짓눌려 다른 생각을 하기가 어렵다"며 애도의 뜻을 전했다. #
  • 더불어민주당 우상호 비상대책위원장이 주한일본대사관 분향소에 찾아 조문했다.# 우상호 비대위원장은 "정치적 견해는 달리했지만 비극적인 일을 당한 것에 대해 위로의 뜻을 전하러 왔다"고 밝혔다.

1.3. 경제계[편집]






1.4. 학계[편집]


  • 호사카 유지는 2022년 7월 8일 오마이뉴스와 인터뷰를 통해 "아베파가 여전히 최대 파벌로 남아있지만 아베 전 총리만큼 카리스마 있는 차기 리더를 찾아보기 힘들다", "동생 기시 노부오는 건강이 좋지 않아서 이어받기 어렵고, 타카이치 사나에 같은 강성 극우파도 아베가 없으면 사실상 거의 힘을 잃을 것"이라며 아베 전 총리가 없는 일본 정치에서 극우세력의 힘이 급속히 약해질 것"이라 전망했다. 최초 기사에선 호사카 유지가 "한일관계의 큰 걸림돌이 사라졌다"고 말했다고 전했으나 이후 수정되었다. 현재기사 최초기사 아카이브

2.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편집]


  • 조선중앙통신,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 등 관영매체는 물론이고 우리민족끼리 등 대외선전매체에서도 10일 오후 5시 현재까지 지난 8일 발생한 아베 전 총리 피격 사망 사건을 다룬 기사나 논평 등은 나오지 않고 있다. 아베 전 총리를 실명으로 비난해 온 적이 많다는 점에서 당국 차원에서 긍정적으로 평가하거나 조의를 표하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는 의견이 많다. 김일성 사망 날짜와 겹쳐 신경쓰기 어려웠을 거라고 볼 수도 있다는 추측기사가 나왔다.#

3.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편집]


  • 시진핑 중화인민공화국 주석이 개인명의로 애도를 표하며 유가족을 위로했다. # 국가주석 신분 명의로 내용이 올라왔는지는 불명.
  • 자오리젠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이번 피격 사건에 대해 충격이라며, 하루빨리 회복되기를 바란다며 애도의 뜻을 밝혔다. ## 중국 국무원 외교부의 공식 입장이다.
  • 11일. 마자오쉬 부부장이 중국 주재 일본대사관에 조문가졌다.

3.1.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 홍콩[편집]


  • 존 리(John Lee) 홍콩 행정장관은 아베 총리와 홍콩간의 협력 사례를 상기하며, "홍콩특별행정구 시민과 정부를 대표에 아베 총리의 서거에 애도를 표한다" 라고 밝혔다. #

4. 파일:대만 국기.svg 대만[편집]


  • 차이잉원 대만 총통이 2022년 7월 8일, 인스타그램을 통해 아베 신조 전 총리의 안녕을 기원했다.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자신과 아베는 10년 넘게 알고 지낸 사이였다며 잊지 않을 것이라 말했다. 더불어 같이 찍은 사진도 올렸다.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11일에 주대만 일본대표부에 가서 추모가졌다.#
  • 중국국민당이 7월 8일, 페이스북을 통해 애도를 표했다.#
  • 주리룬 중국국민당 주석이 7월 8일 한국시간 오후 7시 24분 트위터를 통해 오늘 대만의 소중한 친구를 잃었다면서 테러 행위를 강력히 규탄하였다.파일:트위터 아이콘.svg
  • 사망 이후 타이페이 101에 아베 전 총리에 대한 추도 메세지가 조명되었다.#
  • 라이칭더 부총통이 방일을 가진다.#
  • 12일, 공식적인 애도 기간을 선포하고 공공 기관과 공립 학교에 조기 게양을 지시했다. 이에 대만 사회 일각에서는 조기 게양 대상자를 규정한 대만 조기게양법을 위반한 것이라고 비판하였고 중국 매체도 이를 인용하여 보도하였다.[1] #


5.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편집]


  • 아베의 총리 재임시절 상당히 가깝게 지냈던 정상 중 하나인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는 사건 직후 자신의 트위터를 통해 깊은 슬픔에 잠겼으며 일본 국민과 함께 기도할 것이라 밝혔다. 파일:트위터 아이콘.svg 이후 아베 전 총리가 사망하자 그를 형제라 부르며 추모하고 인도 전역에 조기를 게양할 것을 지시했다. #,# 

6.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 방글라데시[편집]


  • 셰이크 하시나 방글라데시 총리는 "아베 전 총리의 죽음은 일본의 큰 상실"이라는 뜻을 밝히며, 애도의 뜻을 밝혔다. #


7.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인도네시아[편집]


  • 이번 G20 외교장관 회의의 의장국인 인도네시아는 외무부 트위터를 통해 깊은 슬픔을 표명하고 아베 전 총리의 신속한 회복을 기원한다고 밝혔다. #


8. 파일:필리핀 국기.svg 필리핀[편집]




9. 파일:미얀마 국기.svg 미얀마[편집]


  • 미얀마 군부는 아베는 이전부터 좋은 친구였으며 빨리 회복하길 바란다고 하였다. #


10. 파일:네팔 국기.svg 네팔[편집]


  • 셰르 데우바 네팔 총리는 애도를 표했다. #


11. 파일:부탄 국기.svg 부탄[편집]




12.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키스탄[편집]




13. 파일:태국 국기.svg 태국[편집]


  • 태국 외무대신은 기자단에게 쁘라윳 짠오차 태국 총리가 이번 소식을 듣고 크게 충격을 받았다고 밝혔고 애도를 표했다.#


14.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싱가포르[편집]


  • 리셴룽 싱가포르 총리는 트위터에 자신과 아베가 만났던 사진을 올리며 아베가 쾌유하기를 기원했다. 파일:트위터 아이콘.svg


15.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아랍에미리트[편집]




16.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편집]





17. 파일:캄보디아 국기.svg 캄보디아[편집]


  • 훈 센 캄보디아 수상은 애도를 표했다. # 또한 11일 하룻동안 공식적인 애도 기간을 선포하여 모든 공공 기관에 조기를 게양하고, 애도 기간 동안 주류 판매와 유흥업소 영업을 중단하도록 했다. #

18. 파일:라오스 국기.svg 라오스[편집]




19.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말레이시아[편집]


  • 말레이시아 외무상은 애도를 표했다. #


20. 파일:베트남 국기.svg 베트남[편집]


  • 팜민찐 정부 수상은 애도의 뜻을 표했다. #
  • 베트남 외교부 차장은 애도를 표했다. #


21.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편집]


  • 빈 살만 사우디아라비아 왕태자는 개별적으로 조의를 보내며 애도했다. #
  • 사우디 아라비아 외무부는 애도를 표했다. #


22. 파일:이라크 국기.svg 이라크[편집]


  • 무스타파 알카드히미 이라크 총리는 애도를 표하며 배신적인 암살을 강력히 규탄한다고 하였다. 파일:트위터 아이콘.svg


23.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편집]




24. 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편집]




25. 파일:스리랑카 국기.svg 스리랑카[편집]




26.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카자흐스탄[편집]




27.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우즈베키스탄[편집]




28. 파일:키르기스스탄 국기.svg 키르기스스탄[편집]




29. 파일:투르크메니스탄 국기.svg 투르크메니스탄[편집]




30. 파일:타지키스탄 국기.svg 타지키스탄[편집]




31. 파일:몽골 국기.svg 몽골[편집]




32. 파일:오만 국기.svg 오만[편집]




33.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쿠웨이트[편집]


  • 쿠웨이트 정부는 애도를 표했다.#


34. 파일:요르단 국기.svg 요르단[편집]




35.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팔레스타인[편집]


  • 팔레스타인 정부는 애도를 표했다.#


36. 파일:바레인 국기.svg 바레인[편집]


  • 바레인 외무부는 애도를 표했다.#


37. 파일:몰디브 국기.svg 몰디브[편집]


  • 이브라힘 솔리흐 몰디브 대통령이 애도의 뜻을 표했다. 파일:트위터 아이콘.svg


38. 파일:ASEAN 문장.svg ASEAN[편집]


  • ASEAN은 애도의 뜻을 표했다. #
[1] 중공 매체는 '지역법 위반'이라고 표현하였으나 하나의 중국 주장을 유지하기 위해 대만 법률을 그렇게 지칭한 것이지 중화인민공화국이 제정한 지방 법률을 지칭한 것이 아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628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628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6 22:26:51에 나무위키 아베 신조 피살 사건/반응/아시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