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멸위험지수

덤프버전 :

1. 개요
2. 대한민국
2.1. 소멸 저위험 지역
2.2. 소멸 위험 보통 지역
2.3. 소멸 위험 주의 지역
2.4. 소멸 위험 지역
2.5. 소멸 고위험 지역
3. 독일
4. 기타



1. 개요[편집]


만 20~39세 여성 인구[1]를 만 65세 이상 인구[2]로 나누어 낸 지수로 일본사회학자 마스다 히로야가 처음 개념을 세웠다. 이 지수가 1.5 이상이면 이 지역은 소멸 위험이 매우 낮은 소멸 저위험 지역, 1.0~1.5인 경우 보통, 0.5~1.0인 경우 주의, 0.2~0.5는 소멸 위험, 0.2 미만은 소멸 고위험 지역으로 분류된다. 소멸위험지수가 0.5 미만이면 소멸위험지역이라고 정의한다.


2. 대한민국[편집]






파일:0003191420_002_20220429122601185-1.jpg

2023년 5월 기준 전국 226개 기초자치단체 중 소멸위험지역[3]은 118곳(51.8%)이다. 링크

파일:2023040315583189537_l.jpg
  • 초록색은 1.5 이상으로 소멸 저위험 지역.
  • 연두색은 1.0 이상 1.5 미만으로 소멸 위험 보통 지역.
  • 노란색은 0.5 이상 1.0 미만으로 소멸 위험 주의 지역.
  • 주황색은 0.2 이상 0.5 미만으로 소멸 위험 지역.
  • 붉은색은 0.2 미만으로 소멸 고위험 지역.

파일:소멸위험지도2023.jpg
[4]
파일:2023소멸위험색깔지도.jpg
파일:20220425212258965gqkj.jpg


2.1. 소멸 저위험 지역[편집]


2021년 화성시가 소멸 위험지수 1.49로 떨어진 이후 2023년 5월 기준 소멸위험지수 1.5 이상 지역(시군구)은 존재하지 않는다.(0곳) 일반구는 존재하긴 하다.

읍면동은 166곳.(4.6%)

2.2. 소멸 위험 보통 지역[편집]


2023년 6월 기준 소멸위험지수 1.0 이상 1.5 미만으로 소멸 위험 보통으로 분류된 기초자치단체는 총 16곳이다.

읍면동은 328곳.(9.2%)

광역자치단체
기초자치단체
서울특별시
관악구, 광진구, 마포구, 영등포구
인천광역시
연수구, 서구
광주광역시
광산구
대전광역시
유성구
울산광역시
북구
경기도
수원시, 시흥시, 오산시, 화성시[5]
경상북도
구미시
충청남도
천안시
세종특별자치시

부산광역시, 대구광역시, 강원특별자치도, 전라북도, 전라남도, 제주특별자치도, 충청북도, 경상남도
없음


2.3. 소멸 위험 주의 지역[편집]


2023년 6월 기준 소멸위험지수 0.5 이상 1.0 미만으로 소멸 위험 주의로 분류된 기초자치단체는 총 93곳이다.

읍면동은 1135곳.(31.7%)

2.4. 소멸 위험 지역[편집]


2023년 5월 기준 소멸위험지수 0.2 이상 0.5 미만으로 소멸 위험으로 분류된 기초자치단체는 총 68곳이다.

읍면동은 778곳.(21.7%)

2.5. 소멸 고위험 지역[편집]


2023년 5월 기준 소멸위험지수 0.2 미만으로 소멸 고위험으로 분류된 기초자치단체는 총 52곳이다.

읍면동은 1173곳.(32.8%)

광역자치단체
기초자치단체
강원특별자치도
횡성군, 평창군, 정선군, 영월군, 양양군
충청북도
보은군, 영동군, 옥천군, 괴산군, 단양군
충청남도
부여군, 서천군, 청양군, 태안군, 금산군
전라북도
고창군, 무주군, 장수군, 진안군, 임실군, 부안군, 순창군
전라남도
강진군, 고흥군, 곡성군, 구례군, 보성군, 장흥군, 신안군, 함평군, 진도군, 해남군, 완도군
경상북도
상주[6], 의성군[7], 청송군, 청도군, 봉화군, 영양군, 영덕군, 성주군, 고령군
경상남도
남해군, 산청군, 의령군, 하동군, 함양군, 합천군, 고성군, 창녕군
인천광역시
강화군
대구광역시
군위군[8]
서울특별시, 부산광역시, 광주광역시, 대전광역시, 울산광역시, 세종특별자치시, 경기도, 제주특별자치도
없음


3. 독일[편집]


  • 2023년 독일연방통계청 기준.

지역
소멸위험지수
베를린
1.68
함부르크
0.71
라이프치히
0.99

4. 기타[편집]


최근 소멸위험지수가 높은 지역은 청년층, 외국인 노동자안정적으로 지낼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한국 영토가 미국 하나의 주의 1/2~1/4 크기인데, 사실 미국도 수도에서 멀리 떨어진 하나의 주를 대상으로 보면 그 안에 여러 도시에만 사람들이 몰려있고 나머진 텅텅 비어있으며 집과 집 사이가 굉장히 멀다. 다만 미국은 워낙 영토가 넓고 자원도 많아서 크게 문제가 되지는 않는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4 02:33:26에 나무위키 소멸위험지수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결혼 및 출산 적령기 인구.[2] UN에서 분류하는 노인 기준.[3] 소멸위험지수 0.5 미만인 소멸위험지역, 소멸 고위험 지역, 기초자치단체 기준.[4] 이 지도에는 양양군이 소멸 고위험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데, 소멸 고위험 진입 이전에 만든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괴산군 부분을 보면 과거 괴산에 속했던 증평군 땅까지 포함해서 표시되어 있다.[5] 현재 전국 기초자치단체 중 소멸위험지수가 가장 높다.[6] 일반시 중 최초로 소멸 고위험으로 분류되었다. 2023년 9월 기준 약 0.182.[7] 현재 전국 기초자치단체 중 소멸위험지수가 두 번째로 낮다. 2023년 9월 기준 약 0.101. 덤으로, 전국에서 최초로 소멸 고위험 단계에 진입한 기초자치단체이다.[8] 현재 전국 기초자치단체 중 소멸위험지수가 가장 낮다. 2023년 9월 기준 약 0.094로, 기초자치단체 중 최초로 0.1 미만으로 떨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