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 사회주의

덤프버전 : (♥ 0)

파일:빨간색 깃발.svg
사회주의 사상의 분파
[ 펼치기 · 접기 ]
공상적 사회주의
공상적 사회주의기독교 사회주의이슬람 사회주의불교 사회주의유교 사회주의
생시몽주의오언주의푸리에주의블랑키즘유대교 사회주의
아나키즘
아나코 생디칼리즘개인주의적 아나키즘사회적 아나키즘상호주의 아나키즘아고리즘
아나코 페미니즘녹색 아나키즘사회생태주의정강주의후기 아나키즘
반란적 아나키즘크리스천 아나키즘아나코 원시주의아나코 자연주의포스트 레프트 아나키즘
공산주의
틀:공산주의 참고.
개혁적 사회주의
자유사회주의사회민주주의민주사회주의유럽공산주의신좌파
국가사회주의21세기 사회주의아랍 사회주의아프리카 사회주의제3세계 사회주의
윤리적 사회주의시장사회주의제3의 길멜라네시아 사회주의
지역별 사회주의
블레어주의 파일:영국 국기.svg노동 시오니즘 파일:이스라엘 국기.svg룰라주의 파일:브라질 국기.svg볼리바르주의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차베스주의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나세르주의 파일:이집트 국기.svg카다피주의 파일:리비아 아랍 자마히리야 국기.svg간디 사회주의 파일:인도 국기.svg마르하엔주의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산디노주의 파일:니카라과 국기.svg
마곤주의 파일:멕시코 국기.svg장제스주의 파일:대만 국기.svg왕징웨이주의 파일:대만 국기.svg인민주의 파일:러시아 국기.svg혁명 페론주의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나라별 현황
대한민국의 사회주의미국의 사회주의영국의 사회주의이탈리아의 사회주의프랑스의 사회주의
호주의 사회주의
문화, 지역별 현황
한반도의 사회주의
연관 이념
급진적 자유주의프롤레타리아 국제주의혁명적 사회주의사회주의적 내셔널리즘보수적 사회주의
생태 사회주의마르크스주의좌익 보수주의자유지상주의적 사회주의권위주의적 사회주의
자코뱅주의좌익대중주의인디헤니스모성소수자 사회주의기독교 좌파
사회적 평등주의사회주의적 애국주의집산주의
기타
좌익 정치반자본주의계급투쟁사회주의 페미니즘민족해방
안티파시스트 액션탈자본주의진보주의(일부)해방신학민족자결주의
밀레니얼 사회주의프롤레타리아 정당샴페인 사회주의자아일랜드 공화주의제3세계주의
핑크 타이드
관련 단체
인터내셔널공산당-노동자당 국제회의진보주의 인터내셔널상파울로 포럼사회주의 인터내셔널
에베르트 재단룩셈부르크 재단진보동맹
주요 3대 이념의 분파 (사회주의 · 자유주의 · 보수주의)


1. 개요
2. 상세



1. 개요[편집]


불교 사회주의는 불교사회주의의 결합, 혹은 불교 교리와 사회주의 이론의 만남을 추구하는 사상이다. 실제로 불교계에서 불교 교리를 기반으로 하여 사회주의 사상을 펼쳐 나가거나 실천적 행보에 나서는 경우는 상당히 많이 존재하며, 대한민국 독립운동가들 중에도 그런 경우들이 있다.[1] 물론 보수적인 불교인들이나 극단적인 반종교 성향의 사회주의자들은 불교 사회주의를 부정한다.

유사한 사례로 유교 사회주의, 기독교 사회주의, 이슬람 사회주의, 신비주의나 토속신앙에 근거한 사회주의 등이 있다.

2. 상세[편집]


이 항목은 불교 사회주의 자체보다는 일부 국가에서 독재자들이 표방하는 프로파간다로서의 '불교 사회주의'를 위주로 서술되어 있으니 독해에 주의를 요한다. 일부 국가에서 프로파간다로 쓰인다 해서 불교 사회주의라는 이념적, 학술적 존재가 없는 것으로 여긴다면 그것은 무지의 소산일 뿐이다. 실제로도 불교 모더니즘의 영향을 받은 불교 사회주의와 불교 아나키즘은 분명히 존재한다.

프로파간다의 사례로 미얀마캄보디아에서 사회주의를 표방하면서 정권을 잡았던 네 윈노로돔 시아누크 등이 있다. 그러나 이들은 사회주의를 표방하면서도 버마 공산당이나 크메르 루주와는 대립각을 세운 바 있다. 크메르 루주도 이미 사회주의에서 멀-리 안드로메다로 날아가기는 했지만... 즉, 제대로 사회주의를 추구하려 한 것이 아니라, 사회주의적인 정책 몇 가지 추진하면서 불교의 양념을 쳐 놓은 것에 지나지 않는다는 얘기다.

예를 들면 '자산에 대한 집착을 극복하는 노동자와 농민을 위해 생활필수품을 공적으로 공급한다' 같은 것이 있다. 생활필수품을 공적으로 공급하는 것은 사회주의적인 정책을 도입하는 것인데 거기에다가 '자산에 대한 집착을 극복한다'는 불교적인 양념을 살짝 입혀 놓은 것이다.

사회주의를 제대로 추구하던 사람으로는 가장 유명한 호치민이 있고, 실제로 베트남 민중의 종교인 불교에 대해선 우호 정책을, 베트남 지배자들의 종교인 가톨릭에 대해선 적대 정책을 취하는 것이 베트남 공산당의 입장이었다. 그렇지만 베트남 공산당은 불교 사회주의를 내세운 적도 없고, 불교 사회주의를 추구하지도 않았다. 그냥 대중들이 불교를 많이 믿으니까 불교를 갖다가 자유롭게 믿도록 보장해 주고, 대신 그걸 이용해서 가톨릭 믿는 지배층을 압박하려는 전략이었던 것이다. 베트남 공산당은 불교 국가에서 활동했지만, 결코 불교 사회주의를 추구한 적이 없다.

아무튼 현실정치에서 '불교 사회주의'라는 이름은 사회주의가 무엇인지 하나도 모르면서 비정상적이고 정통성 없는 방법으로 정권을 잡은 독재자들이, 열렬하게 사회주의를 원하는 대중들의 지지를 얻기 위하여 사용하는 하나의 정치적 프로파간다 수준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이 외에도 사회주의를 추구하는 인물로는 달라이 라마 14세가 있다. 단 마르크스주의자지만 레닌주의자는 아니라고 한다.[2] 박노자는 현대의 국가 권력에 예속된 한국 불교가 지닌 여러 모순점과 비불교성을 지적하면서, 초기불교의 민중해방적 해석을 여러 차례 시도한 바 있다.

현재까지 남아있는 대표적인 불교 사회주의 국가로는 라오스가 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1 07:57:30에 나무위키 불교 사회주의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