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초학/목차

덤프버전 :

한의학
개론
한의학개론, 한문
주 분야
경혈학
본초학
한방내과
원전
한방생리학
한방병리학
한방진단학
의사학
세부/연관 분야
침구학
사암침법
동씨침법
평형침법
처방제형학
간계내과
심계내과
비계내과
폐계내과
신계내과
상한론
동의보감
의학입문



각가학설



1. 개요
2. 해표약
2.1. 발산풍한약
2.2. 발산풍열약
3. 청열약
3.1. 청열사화약
3.2. 청열조습약
3.3. 청열양혈약
3.4. 청열해독약
3.5. 청허열약
4. 사하약
4.1. 공하약
4.2. 윤하약
4.3. 준하축수약
5. 거풍습약
5.1. 거풍습지비통약
5.2. 서근활락약
5.3. 거풍습강근골약
6. 방향화습약
7. 이수삼습약
7.1. 이수퇴종약
7.2. 이뇨통림약
8. 온리약
9. 이기약
10. 소식약
12. 지혈약
12.1. 수렴지혈약
12.2. 양혈지혈약
12.3. 화어지혈약
12.4. 온경지혈약
13. 활혈거어약
14. 화담지해평천약
14.1. 온화한담약
14.2. 청화열담약
14.3. 지해평천약
15. 안신약
16. 평간약
16.1. 평간식풍약
16.2. 평간잠양약
17. 개규약
18. 보익약
18.1. 보기약
18.2. 보양약
18.3. 보혈약
18.4. 보음약
19. 수삽약
19.1. 지한약
19.2. 지사약
19.3. 삽정축뇨지대약
20. 용토약
21. 외용약
22. 같이보기


1. 개요[편집]


본초학에서 다뤄지는 약재를 한의학적 분류별로 나눈 것이다.
한의과대학에서 본초학을 배울 때 이 목차의 전체를 통째로 한자로 외우게 하기도 한다.


2. 해표약[편집]




2.1. 발산풍한약[편집]


마황, 계지, 방풍, 생강 등이 있다.

2.2. 발산풍열약[편집]


박하, 국화 등이 있다.


3. 청열약[편집]


열을 끈다. 대체로 맛이 역하다.

3.1. 청열사화약[편집]


석고, 죽엽, 치자 등이 있다.

3.2. 청열조습약[편집]


고삼, 용담초 등이 있다.

3.3. 청열양혈약[편집]


서각(코뿔소 뿔), 적작약 등이 있다.

3.4. 청열해독약[편집]


우황, 녹두 등이 있다.

3.5. 청허열약[편집]


지골피(구기자의 뿌리 껍질) 등이 있다.


4. 사하약[편집]


설사할 때 사, 아래 하() 자를 쓴다. 즉 설사약이다.

4.1. 공하약[편집]


망초(황산나트륨), 노회(알로에) 등이 있다.

4.2. 윤하약[편집]


화마인(대마씨)이 있다.

4.3. 준하축수약[편집]


약성이 너무 강하고 따라서 독성도 강하기 때문에 임상에서는 잘 쓰지 않는다. 대극 등이 있다.


5. 거풍습약[편집]



5.1. 거풍습지비통약[편집]


초오, 잠사(누에 똥) 등이 있다.

5.2. 서근활락약[편집]


상지(뽕나무 가지)와 몇몇 종류가 있다.

5.3. 거풍습강근골약[편집]


오가피(가시오가피와 다름)등이 있다.


6. 방향화습약[편집]


후박 등이 있다.


7. 이수삼습약[편집]


한의학에서 이수(利水)란 부종을 빼고 소변을 늘린다고 보면 이해가 쉽다.

7.1. 이수퇴종약[편집]


의이인(율무), 적소두() 등이 있다.

7.2. 이뇨통림약[편집]


차전자(질경이 씨,) 활석 등이 있다.


8. 온리약[편집]


따뜻할 온, 표리부동할 때 리()자를 쓴다.
부자, 건강, 정향 등이 있다.


9. 이기약[편집]


기각(한약재)(한의계에선 지각으로 발음한다.), 시체( 꼭지) 등이 있다.


10. 소식약[편집]


소화제.
산사(야생 사과), 맥아, 계내금(닭똥집 내막) 등이 있다.


11. 구충약[편집]


오늘날에는 기생충이 드물기 때문에 임상에서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 빈랑, 비자 등이 있다.


12. 지혈약[편집]


피를 멈추는 약이 지혈하는 원리에 따라 분류되어 있다.

12.1. 수렴지혈약[편집]


백급, 용아초 등이 있다.

12.2. 양혈지혈약[편집]


측백엽(측백나무 잎) 등이 있다.

12.3. 화어지혈약[편집]


포황(부들의 꽃가루) 등이 있다.

12.4. 온경지혈약[편집]


애엽(약의 잎)이 있다.


13. 활혈거어약[편집]


어혈을 고치는 등 혈행 개선을 위해 사용하는 본초들이다.
천궁, 몰약, 유향, 강황, 천산갑 등이 있다.


14. 화담지해평천약[편집]


담, 해, 천은 각각 가래, 기침, 천식을 의미한다고 보면 된다.

14.1. 온화한담약[편집]


천남성 등이 있다.

14.2. 청화열담약[편집]


해조(바닷말), 곤포(다시마) 등이 있다.

14.3. 지해평천약[편집]


행인(살구 씨), 백과(은행나무 열매) 등이 있다.


15. 안신약[편집]


정신병, 불면증 등에 쓴다.
중진안신약에는 주사(광물), 호박(보석) 등이, 양혈안신약에는 영지 등이 있다.


16. 평간약[편집]



16.1. 평간식풍약[편집]


풍은 중풍할 때 풍이다.
천마, 전갈 등이 있다.

16.2. 평간잠양약[편집]


모려( 껍데기), 진주 등이 있다.


17. 개규약[편집]


마라탕의 이미지를 떠올리면 이해가 쉬운데, 향이 강하고 땀구멍이 열린다.
대체로 향이 강력하다. 사향, 장뇌 등이 있다.


18. 보익약[편집]


이른바 보약. 가장 유명한 본초들이 이 분류에 속한다. 몸의 어떤 요소를 보할지에 따라 분류되어 있다.

18.1. 보기약[편집]


인삼, 감초], 대조, 봉밀 등이 있다.

18.2. 보양약[편집]


녹용, 해구신, 해마 등이 있다.

18.3. 보혈약[편집]


당귀, 하수오 등이 있다.

18.4. 보음약[편집]


맥문동, 백합 등이 있다.


19. 수삽약[편집]



19.1. 지한약[편집]


땀을 멈춘다.
나도근(찹쌀), 부소맥() 등이 있다.

19.2. 지사약[편집]


설사를 멈춘다.
육두구 등이 있다.

19.3. 삽정축뇨지대약[편집]


오미자, 산수유, 복분자 등이 있다.


20. 용토약[편집]


토가 나오게 한다.
담반(황산구리 함유 광물) 등이 있다.


21. 외용약[편집]


외용, 즉 피부 밖에 바르는 것이다보니 직접 먹었을 때는 유해한 것들이 즐비하다.
유황, 비석(비소 함유 광물), 노봉방 등이 있다.


22. 같이보기[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3 21:24:14에 나무위키 본초학/목차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