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화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동음이의어에 대한 내용은 국화(동음이의어) 문서
국화(동음이의어)번 문단을
국화(동음이의어)# 부분을
, DJMAX RESPECT V의 수록곡에 대한 내용은 Chrysanthemum 문서
Chrysanthemum번 문단을
#s-번 문단을
Chrysanthemum#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한국갤럽 CI_White.svg
한국인이 좋아하는 꽃


[ 펼치기 · 접기 ]
※ 2004년 한국갤럽이 창립 30주년을 맞이하여, 다양한 분야에서 한국인이 좋아하는 것들에 대해 알아보는 한국인이 좋아하는 조사 시리즈를 기획해 2004년부터 5년 주기로 발표하고 있다.

2004년
※ 2004년 한국갤럽한국인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를 바탕으로 '한국인이 좋아하는 꽃'을 선정.
1위
2위
3위
4위
5위
장미
백합
국화
안개꽃
프리지아
6위
7위
8위
9위
10위
튤립
개나리
코스모스
벚꽃
진달래

2019년
※ 2019년 한국갤럽한국인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를 바탕으로 '한국인이 좋아하는 꽃'을 선정.
1위
2위
3위
4위
5위
장미
벚꽃
안개꽃
국화
튤립
6위
7위
8위
9위
10위
개나리
프리지아
코스모스
진달래
무궁화
11위
12위
13위
14위
15위
백합
라일락
수국
철쭉
해바라기
16위
17위
아카시아
목련

같이 보기: 한국인이 좋아하는 꽃, 한국인이 좋아하는 나무, 좋아하는 산, 좋아하는 음식



파일:/pds/200911/05/95/d0084795_4af2dda1424da.jpg
국화
Chrysanthemum
이명: 구화
Asteraceae
분류

식물계

속씨식물문(Angiospermae)

쌍떡잎식물강(Magnoliopsida)

국화목(Asterales)

국화과(Asteraceae)

산국속(Chrysanthemum)

국화(Chrysanthemum × morifolium)
1. 개요
2. 언어별 명칭
3. 상세
4. 매체
5.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국화는 국화과의 식물이다.


2. 언어별 명칭[편집]


언어별 명칭
영어
Chrysanthemum
한국어
국화
한자

중국어
菊花(júhuā
일본어
(きく
스페인어
Crisantemo
포르투갈어
Crisântemo


3. 상세[편집]


화석상으로 최초 기록은 아르헨티나 남부 파타고니아 지역 바위에서 신생대 제3기 에오세(5580~3390만 년 전)에 만들어진 지층에서 발견되었다. 신문기사

최근 연구에서는 고생대 후반에 등장한 것으로 추정되는 화석이 나오기 했다. 관련 사이트1

국화는 관상용으로 널리 재배되므로 원예품종이 많다. 높이 1 m 정도로 줄기 밑부분이 목질화하고, 잎은 어긋나고 깃꼴로 갈라진다. 꽃은 두상화로 줄기 끝에 피는데 가운데는 관상화, 주변부는 설상화이다. 설상화는 암술만 가진 단성화이고 관상화는 암·수술을 모두 달고 있는 양성화이다.

다른 꽃들과는 달리 기온이 낮은 가을 때 피는 특성 때문에 우리나라와 중국의 선인들은 은둔하면서 절개를 지키는 군자의 상징으로 여겨, 사군자의 하나로 귀하게 여겼다. 이 때문에 동아시아에선 전통적으로 음력 9월 9일은 중양절(重陽節)이라 하여 국화차나 국화전을 부쳐 먹으며 꽃놀이를 하는 명절로 삼았다.

노란색·흰색·빨간색·보라색 등 품종에 따라 다양하고 크기나 모양도 품종에 따라 다르다. 꽃의 지름에 따라 18 cm 이상인 것을 대륜, 9 cm 이상인 것을 중륜, 그 이하인 것을 소륜이라 구분한다. 꽃잎의 형태에 따라 품종을 분류하기도 한다.

국화는 동양에서 재배하는 관상식물 중 가장 역사가 오랜 꽃이다. 중국 원산이라고 하나 조상을 두고는 현재 한국에서도 자생하는 감국이라는 설, 산국과 뇌향국화가 교잡한 것이란 설, 감국과 산구절초가 교잡했다는 설 등 여러 가지가 있다. 최초로 재배를 시작한 시기는 중국 당나라(唐代) 이전이라고 추정한다. 관상용뿐 아니라 으로도 우려 마실 수 있다. 날이 추워 입이 텄을 때 국화차를 마시면 좋다고 한다. 화전을 만들어 먹을 수도 있다.

중국에서 재배된 국화는 일본으로까지 건너가 재배되어 벚꽃과 함께 일본 황실을 대표하는 꽃이기도 하다. 일본 황실의 문장인 십육엽팔중표국문이 국화를 도안하여 만든 것이고, 현 일본 경찰 및 구 일본군의 상징 역시 국화를 바탕으로 한다. 일본 제국 해군의 경우에는 함수상[1]으로도 십육엽팔중표국문을 사용했다. 루스 베네딕트가 일본 문화를 분석하여 쓴 유명한 책의 제목도 <국화와 칼>일 정도. 그렇지만 한국 역시 오래 전부터 국화를 선비의 절개를 상징하는 사군자의 하나로 여겨온 역사 때문에 특별히 거부감을 품지는 않는 듯하다.

조선시대에는 꽤 비싼 값에 팔렸던 모양인지, 정약용이 유배 중 자식에게 보내는 편지 중에는 국화 한 이랑만 팔아도 몇 달치 식량을 살 수 있다고 말하는 구절이 있다.#

세계 각국에서 장례식 때 백장미와 더불어 흰 국화를 바치는 풍습이 전한다. 이 풍습은 4만 년 전 구석기 시대 고인돌이나 5천 년 전 메소포타미아의 기록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한국에는 개화기 이후에 서구권 그리스도교 문화가 들어옴에 따라 복식 등이 간소화되고, 영전에 꽃을 바치는 일이 생겼는데 거기에 어울리는 흰 꽃[2]이 국화밖에 없어 국화를 바쳤다고 한다. 세계적으로는 흰 장미를 장례에 가장 으뜸 꽃으로 여기지만, 국내를 포함한 동양에서는 흰 장미를 구하기 힘들어서 흰 국화로 헌화를 하는 독특한 문화가 있다.

1년 365일 각각의 탄생화 중에도 국화가 여러 종류 있다. 그리고 그 중엔 장례식에 쓰이는 흰 국화도 포함된다.

개량종이 많아서 관상용으로도 쓰이고 식용으로도 쓰인다. 꽃은 꽃송이째로 말려서 차로 우려 마시는데, 크기가 큰 품종보단 작은 품종을 주로 쓴다. 한국 전라남도 함평군에서 해마다 국화 축제가 열리는데, 코로나 19가 도는 2020년도에는 무산되었으나, 2021년 다시 개최된다.

진딧물이 쉽게 꼬이는 화초중 하난데 화분에서 키울시 잠깐 방심한 사이에 잎하고 줄기 사이사이에 연병장 돌마냥 번식한 진딧물을 볼 수 있다. 진딧물 방제약을 하나 사두고 기르는 것이 좋다.


4. 매체[편집]


서정주의 시 '국화 옆에서'가 유명하다.

한 송이의 국화꽃을 피우기 위해

봄부터 소쩍새

그렇게 울었나 보다.

한 송이의 국화꽃을 피우기 위해

천둥은 먹구름 속에서

또 그렇게 울었나 보다.

그립고 아쉬움에 가슴 조이던

머언 먼 젊음의 뒤안길에서

인제는 돌아와 거울 앞에 선

내 누님같이 생긴 꽃이여.

노오란 네 꽃잎이 피려고

간밤엔 무서리가 저리 내리고

내게는 잠도 오지 않았나 보다.








* 정갈하고 담백하며 아름답고 고고한 이미지와는 달리 국화의 형태 때문에 에로물에서는 주로 항문(...)의 속어이자 은어로 종종 비유되기도 한다.

5. 관련 문서[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4 13:15:48에 나무위키 국화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선수상 문서이지만, 일본 해군의 경우 '함'으로 불리는 배들, 더 정확히는 순양함 이상 함급의 대형함과 일부 연안방위함(구식 전함이 해안 방어용으로 투입되었는데, 이 때문에 후일 해방함으로 불리는 초계정 역시 함 위의 함 법칙에 해당되었다.)만 함수상을 달 수 있었다.[2] 안식을 의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