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비드 핀레이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본 선수의 아버지이자 전 WWE 소속 레슬러 데이비드 핀레이에 대한 내용은 핀레이 문서
핀레이번 문단을
핀레이#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finlay.jpg
<The Rebel(ザ・レベル>
David Finlay


1. 프로필
2. 개요
3. 경력
3.1. The Rebel
3.2. 불릿 클럽의 5대 리더
4. 여담
5. 둘러보기



1. 프로필[편집]


파일:rebelclub.jpg
"The Rebel" David Finlay


파일:데이비드핀레이프로필4.png

NJPW
링네임
David Finlay Jr.
데이비드 핀레이
(デビッド・フィンレー;David Finlay)
본명
David Stephen Finlay III
(데이비드 스테판 핀레이 3세)
생년월일
1993년 5월 16일 (30세)
신장
182cm
체중
105kg
출생지
[[독일|

독일
display: none; display: 독일"
행정구
]]
니더작센주 하노버
성장지
[[미국|
미국
display: none; display: 미국"
행정구
]]
조지아주 애틀랜타[1]
가족 관계
아버지 핀레이(1958년생)
동생 브로건 핀레이(2002년생)[2]
경기 스타일
올라운더 + 테크니션
시그니쳐 무브
롤링 유러피안 어퍼컷[3]
아이리쉬 커스 백브레이커[4]
블루 썬더 밤
러닝 백 커터
스파이럴 백드롭[5]
캐내디언 해머[6]
ACID DROP
Prima Nocta
실레일리 공격[7]
태그팀 피니쉬 무브
FINJUICE (w/쥬스 로빈슨)
둠스데이 디바이스[8]

피니쉬 무브
에어레이드 크래시[9]
Prima Nocta[10]
ACID DROP[11]
INTO OBLIVION[12]
별명
명문 서러브레드(名門(めいもんサラブレッド)
켈틱 프린스(ケルティック・プリンス)
The Rebel(ザ・レベル[13]
태그팀 테마곡
FINJUICE (w/쥬스 로빈슨)
FinJuice - [Q]Brick (2020 - 2022.5)[14]

싱글 테마곡
Samurai Rock (2015 - 2019.10)
ROCK'N ROLL (2019.11 - 2022.7)[15]
Final Warning - [Q]Brick (2022.7 - 2023.2)[16]
Generations - " (2023.3 - )
데뷔
2012년 12월 22일 (19세)
독일 하노버 한가 no.5
EWP[17] Christmas Wrestling 2012
vs 빅 밴 월터[18]
SNS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주요 커리어
임팩트 월드 태그팀 챔피언 1회
IWGP 헤비웨이트 태그팀 챔피언 1회
NEVER 오픈웨이트 6인 태그팀 챔피언 1회
POW 주니어 챔피언 1회
NEVER 오픈웨이트 챔피언 1회


2. 개요[편집]




신일본 프로레슬링 소속 프로레슬러.

북아일랜드 출신의 WCWWWE에서 활동한 핀레이의 아들로 핀레이 가문의 4세대 프로레슬러다.


3. 경력[편집]


2012년 독일에서 프로레슬러로 데뷔하였고, 이후 여러 단체들을 활동하다 2015년베스트 오브 더 슈퍼 주니어에 참가함으로써 신일본 프로레슬링에서 데뷔하였다. 대회 이후엔 영 라이온으로 활동하며 신일본 도장에서 수련을 시작하였다. 이후 2016년 NEVER 오픈웨이트 6인 태그팀 챔피언십리코셰, 코지마 사토시와 함께 따냄으로써 영 라이온에서 졸업하고 본격적인 신일본 정규군으로 활동하기 사작했다.

2018년을 기준으로 동기들에 비하여 그리 인상적인 커리어를 거두고 있지 못하며[19] 주로 언더카드 태그전의 일원으로 활동하는 중, 미국에서 열린 스트롱 스타일 이볼브드에서 행맨 페이지를 상대로 IWGP US 헤비웨이트 챔피언십을 방어한 제이 화이트를 급습하며 타이틀 도전을 선언하며 4월 24일 고라쿠엔 홀에서 열리는 로드 투 레슬링 돈타쿠에서 타이틀 매치를 가지지만 타이틀 획득에는 실패한다. 이후로는 다시 다인 태그 매치에 주로 투입이 되는 중. 이렇게 한동안 잠잠한 활약을 이어가다 월드 태그 리그 2018쥬스 로빈슨과 팀을 이뤄 참전하지만 승점 16점으로 결승 진출에는 실패한다. 이후 참가 선수가 32명으로 대폭 늘어난 뉴 재팬 컵 2019에 참전하여 1회전에서 텐잔 히로요시와의 대결이 예정되어 있었으나 왼쪽 어깨 부상으로 결장을 하게 된다.

킹 오브 프로레슬링 2019에서 치러진 IWGP US 챔피언십 경기 후 챔피언이 된 랜스 아처가 쥬스 로빈슨을 공격하자 쥬스를 구하며 복귀를 알렸다. 뉴재팬 쇼다운에서 US 챔피언십을 치렀지만 획득에 실패했다. 그러나 월드 태그 리그 2019에 쥬스 로빈슨과 함께 참여해 승점 26점을 따내며[20] 우승해 레슬킹덤 14에서 게릴라즈 오브 데스티니를 상대로 IWGP 태그팀 챔피언십에 도전할 권리를 얻었다.

1월 4일 레슬킹덤 14 1일차 제 4경기에서 G.O.D와 대결하여, 쥬스가 탕가를 레프트 핸드 오브 갓 - 펄프 프릭션 콤보로 링아웃시킨 틈을 타 링 위에서 그로기 상태로 혼자 남은 타마에게 핀레이가 애시드 드롭을 작렬시키며 그대로 쓰리 카운트를 따냈고, 쥬스 로빈슨과 함께 첫 IWGP 태그팀 챔피언에 등극했고, 핀레이 개인적으로도 2016년 9월 NEVER 오픈웨이트 6인 태그팀 챔피언 벨트 이후로 장장 4년만에 두 번째 타이틀 획득, 그리고 단체의 헤비급 태그 타이틀이라는 주요 타이틀을 처음으로 차지하는 감격을 맛봤다.

하지만 달콤함도 잠시, 타이틀을 빼앗긴 G.O.D가 다시 도전을 신청하여 열린 2월 1일 신일본 미국 대회에서의 첫 방어전에서 핀레이 본인이 18분 44초만에 함락당하며 채 한달을 못 채우고 IWGP 태그팀 타이틀을 다시 빼앗기고 말았다.

이후 뉴 재팬 컵 2020에 엔트리 인 예정이었으나 코로나 19의 영향으로 빠지게 되었고, 코로나가 장기화되자 신일본 미국지부에서 8월에 개최한 뉴 재팬 컵 2020 USA에 대신 엔트리 인했다. 1라운드에서 체이스 오웬스를 잡아내고 올라가 2라운드에서 우승 후보로 꼽히던 강적 타마 통가를 만났으나, 프리마 녹타 이후 애시드 드롭을 성공시키며 타마 통가를 클린 핀폴로 잡아내는 대이변을 연출하고 결승전에 진출했다. 결승전에서 KENTA를 만나서 첫 싱글 타이틀 도전을 위해 혼신의 힘을 다했으나 GTS에 무너지며 준우승에 만족해야 했다.

9월에는 14년만에 부활한 ROH 퓨어 챔피언을 선정하기 위한 토너먼트전인 ROH 퓨어 토너먼트에 엔트리 인하며 ROH에 참전하게 되었으며 1라운드에서 같은 신일본 소속의 록키 로메로에게 트래쉬 팬더로 핀을 따냈지만, 2라운드에서 ROH의 상징 제이 리썰을 만나 탈락했다. 신일본 미국지부로 돌아와서 활동하던 핀레이는 월드 태그 리그 2020에 절친 쥬스 로빈슨과 다시 한 번 핀쥬스로 엔트리 인 하면서 9개월 만에 신일본 일본지부로 돌아오게 되었다.

2021년 2월 16일에 방영된 임팩트 레슬링에서 핀쥬스로 같이 활동하는 쥬스 로빈슨와 팀을 이뤄 리노 스컴을 상대로 승리를 거둔다. 새크리파이스 2021에서 쥬스 로빈슨과 같이 굿 브라더스를 상대로 임팩트 월드 태그팀 챔피언십 매치에서 승리를 거두며 새로운 태그팀 챔피언에 등극한다.

뉴 재팬 컵 2021에 엔트리해서 체이스 오웬스, YOSHI-HASHI를 상대로 승리를 거둔뒤 준준결승전에서 무려 불릿 클럽의 리더인 제이 화이트를 상대로 승리를 거두는 대이변을 연출한다. 이후 준결승전에서 윌 오스프레이를 상대했지만 패한다.

이후, 파트너인 쥬스가 턴힐과 동시에 불릿 클럽에 이적하게 됨으로써 성공적인 선역 전문 태그 팀 요원에서 다시 싱글 레슬러로서의 역량을 시험받게 되었다.

이후 6월 8일 다이너마이트에서 전 AEW 월드 챔피언 애덤 페이지와 매치가 잡혀 분전했으나 벅샷 래리어트에 패배하였다.


3.1. The Rebel[편집]


파일:데이비드핀레이프로필2.png

2022년 7월, 신일본 데뷔 7년만에 첫 G1인 G1 클라이맥스 32 출전이 확정되었으며, D블록에 배정되었다. 그리고 유지로에게 개막전 패배후 타카기 신고, 전 동료 쥬스 로빈슨, 윌 오스프레이까지 좋은 경기력으로 잡아내고 블록 선두에 올랐다. US 챔피언쉽에 도전장을 내민 건 덤. 허나 이후 패배를 쌓으며 결승 토너먼트 진출엔 실패한다. 결승전에서 오카다 카즈치카에게 패한 뒤 백스테이지에서 절망한 오스프레이의 앞에 나타나 IWGP 유나이티드 스테이츠 헤비웨이트 챔피언십매치를 원한다고 말한다.

그 이후부턴 주로 신일본 STRONG에서 활동하는데 AEW와 계약 이 만료된 바비 피쉬가 신일본 STRONG에 등장하여 팀 FILTHY와 함께 선역 선수들을 린치하자 등장하여 피쉬를 공격하고 그와 대립을 맺는다.

그 이후의 태그팀 경기에서 바비 피쉬를 포함한 FILTHY 선수들과 승패를 주고 받는다.

그리고 2월 18일 신일본 STRONG PPV인 배틀 인 더 벨리에서 바비 피쉬와의 싱글 매치에서 승리를 거두었고 이후 에디 킹스턴에게 패배하여 신일본을 떠나게 된 제이 화이트를 실레일리 곤봉으로 쓰러뜨리며 악역 전환의 떡밥을 날린다.


3.2. 불릿 클럽의 5대 리더[편집]


3월 6일 신일본 창단 기념일 2023에서 머리와 수염을 흑발로 염색, 검정색 경기복에 새로운 등장 음악으로 게도와 함께 불릿 클럽의 새 멤버로 등장하였고 이시이 토모히로를 상대로 승리하였다. 그 후 게도의 발표를 통해 불릿 클럽의 5대 리더로 부임하였다.

3월 8일에는 불릿클럽의 다른 선수들과 태그팀을 맺어 자신이 직접 승리를 따냈으나 경기 중 불릿클럽 일원 중 한명인 엘 판타즈모가 리더가 된 것을 인정하지 않아 그와 갈등을 빚었다.

3월 17일 뉴 재팬 컵 2023에서 스즈키 미노루, 엘 데스페라도, 나리타 렌, 우미노 쇼타를 상대하여 패배하는데 엘 판타즈모와 다시 한번 갈등을 빚었다.

우미노 쇼타와의 경기에서는 승리하지만 결승전에서 본인과 마찬가지로 새 스테이블로 이동한 SANADA를 상대하여 패배하면서 우승이 좌절되었다.

그 이후 정규군이랑 대립하면서 다음 목표가 타마 통가가 가진 NEVER 무차별 벨트가 되었고 정규군과의 경기가 끝난 이후 KENTA와 함께 기습하였다.

이 과정에서 엘 판타즈모와 대립의 골이 극도로 커지며 결국 4월 8일 사쿠라 제네시스 2023에서 판타즈모가 마스터 와토를 제압하여 승리한 이후 퍼포먼스를 하고 있는 뒤에서 켄타와 함께 통가 형제를 기습하여 공격하였고 이를 말리던 판타즈모까지 공격, 판타즈모가 이를 반격하며 싸움으로 번지는 사태가 발생하였다. 이 후 항상 판타즈모가 믿어왔고 당일 그를 말리던 켄타가 먼저 판타즈모를 배신한데 이어 이시모리 타이지마저도 본인을 선택하면서 쉴레일리 곤봉으로 판타즈모를 제압하고 불릿클럽에서 축출시켜 버렸다.

이후 타마 및 정규군과 대립을 이어나가고 캐피탈 콜리전 2023에서 판타즈모의 빈 자리를 클락 코너스로 대신하여 그를 불릿클럽으로 데려왔다. 마침내 5월 1일에 타마를 박살내는데 성공하였으며 5월 3일 레슬링 돈타쿠 2023에서는 타마 통가를 제압하여 NEVER 무차별 타이틀을 빼앗고 들 것에 실려가게 만들었는데 이후 퍼포먼스에서 발언중에 갑자기 판타즈모의 기습을 받고 그와 다시 대면하게 되었다. 경기 후 인터뷰에서 판타즈모의 변화를 자신이 이뤄주었다며 본인에게 감사하라는 말을 전했다.

6월 4일 도미니온 2023에서 엘 판타즈모를 상대하는데 위기의 순간이 있었으나 경기는 승리하였다. 경기 후 클락 코너스와 함께 나타난 알렉스 코글린, 드릴라 몰로니, 게이브 키드와 함께 축하를 나누었다.

멀티버스 유나이티드 2에서 데이비드 핀레이 & 에이스 오스틴 & 크리스 베이 & KENTA & 알렉스 코글린 & 클락 코너스가 팀을 이뤄 조쉬 알렉산더 & PCO & 엘 판타즈모 & 타마 통가 & 탕가 로아 & THE DKC를 상대로 승리를 거둔다.

디스트럭션 in 료고쿠 2023에서 타마 통가와의 타이틀전에서 패배해 타이틀을 잃었지만, 파워 스트러글 2023에서 경기 후 윌 오스프레이존 목슬리의 대면 중 갑자기 나타나 둘을 공격하고 오스프레이가 가진 두 벨트를 망치로 부숴버리며 대립을 예고했다.

4. 여담[편집]


  • 혼인을 정말 빠르게 한 편. 23세에 불과했던 2017년 이미 소꿉친구와 약혼했으며, 2018년 5월에 정식으로 결혼식을 올렸다. 사석에서 가장 친한 동료인 쥬스 로빈슨이 들러리로 참여했다.

  • 아버지 핀레이도 근육미와 거리가 멀었던 것과 같이, 집안 내력상 근육이 잘 안 붙는 체질이라고 한다. 2017년 ~ 2018년 경에는 그 정도가 심해서 뱃살이 항상 눈에 띌 정도였는데 피트니스 트레이너인 아내 아나와 함께 몸관리에 힘쓴 결과 2019년 말부터 군살을 대폭 걷어낸 몸을 유지하고 있다.


  • 아버지와 마찬가지로 실레일리 곤봉을 애용 중이다.* 특히 애매하고 몰개성하다는 평가가 실레일리 곤봉을 사용하기 시작하면서 많이 희석되었다.


5. 둘러보기[편집]



[1] 유년기 때는 하노버에서 자란 것으로 보인다. 아버지 핀레이가 1996년 WCW에 참전하면서 이사갔으며, 현 거주지는 조지아주 페이엣카운티의 피치트리시티.[2] 데이비드와 9살 차이 동생으로 핏 핀레이의 차남. 아버지와 형의 뒤를 이어 2021년 미국 인디씬에서 데뷔하였다.[3] 미들 로프식과 러닝식을 사용하며, 임팩트 순간을 잘 맞추는 좋은 유러피안 어퍼컷을 사용한다.[4] Irishi Curse Backbreaker. 원핸드 사이드 슬램 백브레이커로 상대를 사이드 슬램 자세로 들어올려 옆으로 크게 펼친 무릎에 떨구는 기술. 셰이머스가 자주 써먹던 걸로 유명하다. 상대를 무릎에 강하게 찍고, 그 반동으로 상대가 살짝 위로 튕기면 무릎을 확실히 빼서 2차적으로 상대를 링 매트에 떨군다.[5] 상대를 들어올려 왼편으로 돌리다 마지막 순간에 회전을 주면서 상대를 땅에 강하게 메쳐서 주로 허리에 타격을 주는 기술. 배런 코빈의 딥 식스와 동형기이나, 코빈의 경우 회전수가 더 많으며 땅에 메치는 순간까지 회전을 주지만 핀레이의 경우 회전수가 적고 떨굴 때 최대높이에서 몸을 빠르게 비틀어 상대가 더 빨리 땅에 꽂힌다는 차이점이 있다.[6] 상대를 캐내디언 백브레이커 자세로 들어올린 후 그대로 회전시키며 떨군다. 데이비드 핀레이가 불릿 클럽 가입 이후 사용하는 기술이며, 대형 상대에게도 사용하는 의외의 파워를 보여준다.[7] 두 말이 필요 없는 아버지 핀레이의 상징 무기. 2022년 2월 경부터 아버지에게 물려 받아서 가지고 등장하기 시작하였다. 선역 시절에는 자신에게 어그로를 끄는 악역들을 응징하는 용도로 사용하였지만, 턴힐 이후에는 경기 전후 상대를 린치하는데 주로 사용하고 있다.[8] 로드 워리어즈의 피니셔로 유명한 기술. 키가 큰 쥬스가 상대를 무동태우고 핀레이가 플라잉 클로스라인을 날린다.[9] 신일본 입단 전에 사용하던 피니셔. 아버지의 켈틱 크로스와 동형기. 신일본에서는 이미 타이치가 '블랙 메피스토'라는 이름으로 쓰고 있기 때문에 봉인한 것으로 추정된다.[10] 점핑 스터너. 스터너와의 차이점은 RKO마냥 점프해서 스터너로 들어간다는 것. 쉽게 말하면 RKO 시작 자세에서 뒤로 누우면서 떨어지는 게 아니라 앉으면서 찍는다는 소리다. 임팩트 자체는 피니셔로 사용하기에 별로 인상적이지 못 했다. 본인도 인지하고 있었는지 ACID DROP의 개발 이후로는 ACID DROP의 셋업기로 사용했다가 트래쉬 팬더의 주 피니셔화 이후로는 경기 중후반부에 상대의 허를 찌르는 기습기로 주로 사용하는데, 서드 로프를 밟고 순간적으로 사용하거나 윌 오스프레이의 오스커터 타이밍을 맞춰 격추시키는 데 사용하는 등 피니셔를 벗어난 후 오히려 온갖 창의적인 활용법들을 보여주고 있다. 기술명의 뜻은 초야권.[11] 코너 스프링보드 스터너. 상대를 헤드락 상태에서 코너로 몰아넣고 점프한 뒤 스프링보드를 밟고 스터너 형식으로 상대를 떨구는 기술. 원래는 스터너가 아니라 커터로 떨어지는 코너 스프링보드 커터였으며, 2019년 10월 14일 US 챔피언전 이후 쥬스 로빈슨을 급습한 랜스 아처에게 처음으로 사용하며 공개했고 이후 주력 피니셔로 썼다. 임팩트는 전에 쓰던 프리마 녹타보다야 낫다만 피니셔로는 모자라 보인다는게 중론이였는데, 트래쉬 팬더의 진피니셔화 이후 커터 형식이였던 기술을 스터너 형식으로 변경하여 업그레이드 버전의 프리마 녹타같은 느낌으로 사용 중.[12] 수플렉스 인투 넥브레이커. 수플렉스 자세로 들어올린 상태에서 상대를 반바퀴 돌리며 수직으로 떨구며 한쪽 무릎에 후두부를 들이박는 고각도의 넥브레이커로 연결하는 기술. 사실상 데이비드 핀레이의 모든 기술 중에 가장 임팩트가 좋은 기술로 꼽히며, 이 때문인지 원래는 주력기로 쓰다가 2022년부터 ACID DROP 대신 피니셔로 활용하는 빈도가 대폭 늘었다. 원 기술명은 트래시 팬더였으나 악역전환 이후 지금의 이름으로 바꿨다.[13] 2022년 7월, 7년만의 첫 G1 클라이맥스인 G1 클라이맥스 32 참전 시기에 변경한 별명.[14] 임팩트 레슬링에 핀쥬스로 참전하면서 임팩트 레슬링에서 사용하고 있는 태그팀 테마곡. 쥬스 로빈슨이 불릿 클럽에 들어가며 자동 해산되면서 테마곡 사용도 중단되었다.[15] 어깨 부상에서 복귀 이후 2019년 11월 9일 뉴 재팬 쇼다운 인 산 호세에서부터 쓰기 시작한 테마곡.[16] The Rebel로 홀로서기에 성공한 핀레이의 테마곡. 곡 자체는 꽤 괜찮은데 가사가 좀 구린 편이라 가사가 잘 안들리는 현장에서 오히려 더 좋은 곡으로 평가받고 있으며 핀레이의 불릿 클럽 가입 이후론 사용하지 않고 있다.[17] European Wrestling Promotion[18] 스맥다운의 건터가 맞다. 월터가 반칙을 저지르면서 DQ패 처리당하며 데뷔전에서 반칙승을 거뒀으며, 동일한 날의 마지막 경기이자 그 흥행의 메인이벤트에 아버지 핀레이와 태그팀으로 출전, 로비 브룩사이드와 대니 콜린즈 팀을 상대로 경기를 가졌다.[19] 제이 화이트는 초장부터 타나하시 히로시, 케니 오메가와 대결을 해보고 타이틀까지 땄고, 쥬스 로빈슨은 WWE에서의 실패를 딛고 성공적으로 미드카더로 안착했으며, 코마츠 요헤이와 다나카 쇼는 롯폰기 3K라는 태그팀으로 IWGP 주니어 태그팀 챔피언십 전선에서 활동중이다.[20] 승점 26점으로 EVIL & SANADA와 동점이었지만 직접 맞대결에서 승리해 승자승 원칙에 의해 우승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281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1.2;"
, 1.2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281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1.2;"
, 1.2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3 04:23:58에 나무위키 데이비드 핀레이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