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궁황

덤프버전 :




파일:화산귀환_로고.png
문서가 있는
등장인물

⠀[ 화산파 ]⠀

삼대제자

청명
윤종
조걸
당소소

이대제자

백천
유이설
백상


일대제자

운암
운검



장문인 & 장로

현종
현영
현상


과거

청문
청진


기타

혜연
백아


}}}
⠀[ 구파일방 ]⠀

⠀[ 오대세가 ]⠀
⠀[ 새외오궁 ]⠀

남만야수궁

맹소




북해빙궁





}}}
⠀[ 신주오패 ]⠀
만인방

장일소
호가명


녹림칠십이채







오대세가(五大世家)
사천당가
남궁세가
하북팽가
모용세가
제갈세가
독왕
당군악

제왕검
남궁황

섬전쾌도
팽엽

모용위경
신산자
제갈자안



南宮晃
남궁황

본명
남궁황()
소속 및 직위
남궁세가 가주
별호
제왕검(帝王劍)
가족
아들 남궁도위
동생 남궁명
성우
김현수(오디오 드라마)

1. 개요
2. 작중 행적
3. 성격
4. 명대사
5. 평가
6. 기타



1. 개요[편집]


무협소설 화산귀환의 등장인물. 남궁세가의 가주이자 남궁제일검.

남궁세가의 무력의 절반 이상을 담당하고 있는 천하일절의 강자이다. 묘사로 보면 압도적인 내력으로 칼질 한번에 십여 명의 적을 문자 그대로 폭발시키는 무력을 가지고 있다.


2. 작중 행적[편집]


흑룡채 토벌 때 선봉에 서서 수적들의 배 네 척을 검격 하나로 박살낸다. 상륙한 뒤에는 '제자들 두고 일단 올라와라'는 청명의 외침에 "오냐! 간다!"라면서 가장 먼저 청명의 말을 알아듣고[1] 기름 덩어리를 날려버리며 절벽 위로 올라온다. 절벽 위에서 흑룡왕과 맞붙지만 그를 압도하지는 못하고 호각을 다투다가 청명와 장일소의 충돌로 절벽에서 큰 바위가 떨어지자 제왕검형으로 반쯤 박살낸다.

허도의 평화 협상을 비난하지만 마음 속으로는 본인의 책임을 느낀다. 이후 화산이 봉문에 들어갔다는 소식에 내부의 힘을 키우기 위해 무당과 함께 봉문 아닌 봉문에 들어갔다.

봉문하고 3년 후, 수로채가 매화도를 장악했다는 소식에 남궁세가 전력의 8할을 이끌고 달려와 매화도를 탈취하는 최악의 수를 둔다. 역으로 강 한가운데 섬에서 수적들에게 포위당하고 만다.[2]

이후 남궁세가의 마지막 희망을 위해 아들 남궁도위를 육지로 보내고자 장로 다섯과 함께 포위를 뚫으며 작살과 화살 세례를 뒤집어쓰고 종국에는 흑룡왕의 도기까지 두 대나 얻어맞았지만, 마지막 남은 힘을 모아 남궁도위를 강가로 던져보내고 전사한다.[유언] 그의 사후 장일소만이 자신은 멍청한 자를 싫어하지만 증오하진 않는다며 이루고자 하는 것을 이뤘으니 후회는 없지 않겠냐고 말하고 남궁황의 시신이 가라앉은 강에 술을 뿌려 추모한다.[3]

남궁이 화산과 당가의 도움으로 매화도에서 구원받은 후, 장일소의 명을 받은 호가명이 가라앉았던 남궁황의 시신을 미리 회수해두었다가 육지로 돌아가는 배에서 화산과 접촉해 인계했다.


3. 성격[편집]


폭급하고 감정적인, 불 같은 성격의 소유자이다. 이런 성격으로 인해 가솔들을 이끄는데 있어 카리스마는 상당한 편. 호승심이 강해 뒷일을 생각하지 않고 무작정 돌격하는 모습이 자주 나온다.

935화에 밝혀진바에 의하면 본래 남궁세가의 성격은 오만하지만 감정적이지는 않았다고 한다. 오히려 오대세가에서 사고치는건 하북팽가였고 이를 남궁세가가 수습하는 식이였다. 근데 남궁황의 어머니가 하북팽가 출신이라고 한다.(...) 즉, 불 같은 성격은 외가인 하북팽가의 영향이라는 것.


4. 명대사[편집]


검을 쓰는 이가 사파를 무찌르는 데 대체 무슨 이유가 더 필요하단 말이냐!

그 당연한 일을 당연하다 여기지 못했기 때문에 우리가 그 고통을 겪은 것이다! 옳은 것을 옳다 말하지 못하고, 그른 것을 그르다 말하지 못했기 때문에!

다시는...... 다시는 누군가의 눈을 피하는 일 따위는 없을 것이다. 내 스스로 떳떳하지 못한 일을 벌이는 일 따위도 절대 없을 것이다! 나는 남궁황이다! 남궁세가의 가주, 제왕검 남궁황!

걱정할 시간이 있으면 검을 들어라. 남궁가의 검수는 주둥이가 아니라 검으로 말하는 법이니까!

— 917화. 있더라고. 미친놈이 하나. (2)


도위...... 좋은 아버지가 되어라.

— 956화. 고개 숙이지 마. (6)



5. 평가[편집]


법정과 정 반대의 방향으로 패착을 두다가 대가를 치른 인물이다. 법정이 지금 나서거나 당당하게 나가지 않으면 더 큰 피해를 볼 것이 자명한데도 당장 입을 전력 손실 및 그에 따른 강호 지배력 약화를 지나치게 두려워해 필요 이상으로 몸을 사리다가 문제를 더욱 키우는 타입이라면, 남궁황은 섣불리 나서지 말고 신중을 기해야 하는 상황에서도 자신의 역량을 과신하여 만용을 부리다가 큰코다치는 타입이다.절반씩 섞으면 완벽할 것 같다

장강참변 당시 다른 문파의 장문, 장로들처럼 문파의 안위를 위해 의기와 협의를 져버렸다. 이에 3년 후 남궁은 위기와 협의를 바로 세울 것임을 증명하는데 사로잡혀 실력있는 가솔들 대부분 잃어버리는 대참사를 일으킨 장본인으로 지휘자의 잘못된 판단이 어떤 결과를 일으키는지 직접 보여준 인물.[4] 또한 지나친 자신감으로 과거 마교와의 대전에서 살아남고 싸워온 시대에 태어났다면 자신의 실력을 더 잘보여줄수 있었을 것이라는 오만함을 가지고 있었으나 매화도에서 고립되며 정신적으로 점점 피폐해지며 자신의 오만함을 깨닫게 된다. 평화에 찌들어버린 중원인의 현실을 알수있는 부분.

그래도 아들의 부탁을 받아 자신은 물론 장로들의 목숨까지 걸어가면서 희망의 씨앗을 남겨 남은 가솔이라도 지키려고 한 모습과 아들에게 가문의 성명절기에 대한 자신의 깨달음을 마지막 순간까지 전달하는 모습은 그래도 한 가문의 가주다웠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자오개 능삼의 말마따나 의기롭다고 볼 수도 있는 매화도 진격과 더불어, 시원시원하고 야성적인 전투씬 묘사 등 호쾌한 이미지로 인해 법정과 달리 인기가 없지는 않은 편.

또한 상황을 통찰하는 능력 자체도 법정보다 낫다. 장강참변 직후 화산이 봉문하자 법정이 "지금을 놓치지 않는다면 구파를 이길 만한 명성과 재력을 손에 넣게 될 텐데, 왜 저 문파는 상식대로 움직여주는 법이 없느냐"라며 절규한 반면, 남궁황은 그 모든 것이 결국 강하지 않으면 의미가 없음을 알고 있는 것이라고 말한 것. 이에 그치지 않고 우리 또한 내실을 다져야 할 때라고 하며 외부 활동을 금지한다. 무인과 무림 문파의 본질조차 망각해버린 법정과 본질만큼은 잘 기억해 낸 남궁황의 차이가 두드러지는 부분이다.


6. 기타[편집]


  • 늦둥이다. 그래서 전대 가주인 팽화서가 건재해 장강 출정이 지연됐던 하북팽가의 팽엽이나, 원로원주인 당외의 간섭을 받았던 당군악과 달리 가주가 된 뒤 전대 가주의 간섭을 받지 않아 가문이 오히려 빠르게 안정됐었다고 한다.

[1] 절벽에서 공격을 계속 막기만 하면 그대로 밀려서 죽을 뿐이다. 피해를 감수하고서라도 절벽 위를 점거해야 더 피해를 줄일 수 있다.[2] 한밤 중에 수로채가 강물을 통한 야습으로 선착장과 배, 백뢰포를 모조리 파괴한 뒤 잠시도 쉬지 못하게 포격과 기습 등으로 괴롭히고 있다. 식량도 없는 상황.[유언] 도위......좋은 아버지가 되어라.[3] 흑룡왕은 그의 죽음을 비웃었고, 법정은 그가 장렬하게 전사하는 걸 보면서도 사패련의 함정일 수 있으니 움직이지 말라며 소림의 제자들을 움직이지 못하게 막았다.[4] 물론 잃어버린 의기와 협의를 찾으려는 모습은 다른 문파 수장들보다 나으나 수공에 능한 수적들을 상대로 자신의 세력을 너무 과신하여 적에게 유리한 전장을 선택하고 말았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104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104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8 18:18:48에 나무위키 남궁황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