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사오단국

덤프버전 :

분류




1. 개요



1. 개요[편집]


臼斯烏旦國

삼국지》 〈위서〉 동이전에 소개된 마한 54개국 중 하나이다. 《삼국사기》에 따르면 백제에 구사진혜현(丘斯珍兮縣)[1]이라는 곳이 있었으며, 660년 백제가 멸망하고 웅진도독부가 설치될 때는 귀단현(貴旦縣)으로 개칭되었다고 한다. 구사오(臼斯烏)와 구사(丘斯), 단(旦)과 진(珍)[2][3]의 대응 관계가 성립하므로 구사오단국의 위치는 백제 구사진혜현이 있었던 전라남도 장성군 진원면에 비정된다.

일각에서는 백제의 고사부리군(古沙夫里郡)과 연관지어 전라북도 정읍시 고부면에 비정하기도 하나, 《일본서기》와 교차 검증되는 마한 소국 목록의 나열 순서를 고려하여 구사오단국 대신 구소국을 정읍에 비정하는 것이 일반적인 견해이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4 06:53:07에 나무위키 구사오단국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웅진도독부 기사에서는 구사진혜(仇斯珍兮)로도 표기되었다.[2] 삼국시대에 쓰인 고대 한국어에서 한자 진(珍)은 'ᄃᆞᆯ'이라고 읽혔다. 《삼국사기》에 기록된 백제 지명에서 마돌현(馬突縣)과 마진(馬珍)이 대응되며, 《일본서기》에서도 신라의 관직명 파진간기(波珍干岐)를 '바도리간기(ハトリカンキ)'로 훈독했다는 점이 이를 뒷받침한다. 이 'ᄃᆞᆯ'은 한자 단(旦)으로 음차되기도 했다. 대표적으로 고구려의 지명 파단현(波旦縣)이 해곡현(海曲縣)으로 개칭되었다는 《삼국사기》의 기록을 통해 바다를 뜻하는 지명어 '파단'을 도출할 수 있는데, 앞서 언급한 파진간기 역시 해간(海干)이라는 이표기가 있으므로 '파단(波旦)'과 '파진(波珍)'이 서로 대응된다.[3] 무엇보다 구사진혜를 축약 표기한 것으로 보이는 귀단(貴旦)이라는 이표기에서부터 단(旦)이 나타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