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FC 역대 챔피언 (r1판)

편집일시 :

1. 개요
2. 상세
3. 체급 타이틀
3.1. 헤비급
3.2. 라이트 헤비급
3.3. 미들급
3.4. 웰터급
3.5. 라이트급
3.6. 페더급
3.7. 밴텀급
3.8. 플라이급
3.9. 여성 페더급
3.10. 여성 밴텀급
3.11. 여성 플라이급
3.12. 여성 스트로급
4. 잠정 타이틀
4.1. 헤비급
4.2. 라이트 헤비급
4.3. 미들급
4.4. 웰터급
4.5. 라이트급
4.6. 페더급
4.7. 밴텀급
4.8. 플라이급
5. 슈퍼파이트 타이틀
6. 토너먼트 타이틀
7. 관련 문서


파일:ufc_champion_belt_2019.jpg


1. 개요[편집]


종합격투기 단체 UFC의 역대 타이틀 목록. 상단의 이미지는 2019년부터 사용되고 있는 UFC 챔피언 벨트.


2. 상세[편집]


1993년 무차별 토너먼트로 시작했다가 1996년 체급이 도입되었고, 1997년부터 체급별 타이틀전도 진행되었다. 원데이 토너먼트는 1999년을 마지막으로 폐지되었으나, 몇개의 대회에 걸쳐 펼쳐지는 토너먼트는 이후에도 가끔씩 열린다. (주로 공석이거나 신설된 체급의 챔피언을 새로이 결정하기 위해 개최.)

타이틀 매치의 경우 한 체급당 연 평균 2~3번을 주기로 상당히 빠르게 진행된다. 따라서 벨트를 얻는 것보다 지키는 것이 더 어렵다고 할 수 있다. 물론 팬들 입장에서도 끊임없이 빅매치를 볼 수 있어 즐겁다. 다만 최근에는 부상이나 슈퍼파이트 등의 이유로 장기간 타이틀전을 하지 않는 챔피언이 나타나 비난을 받기도 한다.

최초의 타이틀 획득자는 UFC 1 토너먼트 우승자 호이스 그레이시이다. 벨트를 가장 오래 수성한 인물은 미들급 5대 챔피언 앤더슨 실바로 2006년 10월 타이틀을 획득한 후 2013년 7월 11차 방어전에서 타이틀을 상실하기까지 무려 6년 10개월간 타이틀을 보유하였다. 타이틀샷을 가장 많이 받은 인물은 랜디 커투어로 총 16번의 타이틀매치를 경험했다. 타이틀 획득도 커투어가 6회로 가장 많다. 최연소 챔피언은 1997년 UFC 12에서 19세에 헤비급 토너먼트 타이틀을 차지한 비토 벨포트이며 토너먼트를 제외하고 타이틀 방어전 매치로 벨트를 얻은 최연소 챔피언은 존 존스다. 최고령 챔피언은 2008년 UFC 91에서 45세까지 13대 헤비급 타이틀을 보유하고 있던 랜디 커투어다. 2개의 체급에서 타이틀을 획득한 선수는 랜디 커투어, BJ 펜, 코너 맥그리거, 조르주 생 피에르, 다니엘 코미어,헨리 세후도,아만다 누네즈이며, 특히 코너 맥그리거다니엘 코미어,헨리 세후도 그리고 아만다 누네즈는 동시에 2체급의 타이틀을 보유한 선수들이다. 다만 두 체급의 방어전을 모든 치른 선수는 랜디 커투어, 다니엘 코미어, 아만다 누네즈이고, 특히 코미어는 처음으로 두 타이틀 모두 방어에 성공했다.[1] 나머지 선수들은 한 체급에서만 방어전을 치르거나 둘 다 치르지 않았다.

UFC와 PRIDE 양쪽에서 타이틀을 획득한 선수로는 마크 콜먼, 댄 핸더슨, 마우리시오 쇼군, 안토니오 호드리고 노게이라가 있으며 이들 중 핸더슨과 노게이라는 Rings 타이틀까지 따내는 그랜드슬램을 달성했다.

2007년 Pride의 몰락을 계기로 선수층이 급격히 두터워지는데, 이 때부터의 챔피언들은 실질적으로 세계 랭킹 1위라고 보면 된다.


3. 체급 타이틀[편집]


UFC 챔피언
체급이름날짜방어 횟수
헤비급존 존스2021년 3월 27일1회
라이트헤비급공석
미들급알렉스 페레이라2022년 11월 13일0회
웰터급리온 에드워즈2022년 8월 21일0회
라이트급이슬람 마카체프2022년 10월 22일0회
페더급알렉산더 볼카노프스키2019년 12월 14일4회
밴텀급알저메인 스털링2021년 3월 07일2회
플라이급데이비슨 피게레도2022년 1월 22일0회
여성 페더급아만다 누네스2018년 12월 29일2회
여성 밴텀급아만다 누네즈2022년 7월 30일0회
여성 플라이급발렌티나 셰브첸코2018년 12월 8일7회
여성 스트로급장웨이리2022년 11월 13일0회


3.1. 헤비급[편집]


  • 체중 상한선은 265파운드(120.2kg). 당초에는 상한선이 없었으나 2001년 상한선이 생겼고, 그 이상의 체중은 규정상 슈퍼헤비급으로 분류되어 있으나 슈퍼헤비급은 운용되고 있지 않다.[2]

  • 가장 역사가 오래 되었지만 그만큼 사건사고가 많았고 계약문제로 인한 트러블도 유난히 많았다. 더불어 역대 챔프들이 Rings, PRIDE, Affliction 등의 무대에서 유난히 관광을 당했기 때문에 미국팬들에게는 트라우마로 남아있다. 2007년 PRIDE가 도산하면서 메이저 MMA 시장을 독과점하게 되었지만, 이후에도 3년 동안이나 셔독 랭킹 1위를 에밀리아넨코 효도르에게서 빠앗아오지 못하는 등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었다. 결국 2010년 6월 효도르가 Strikeforce에서 파브리시오 베우둠에게 패하자 14대 챔피언인 브록 레스너가 랭킹 1위를 차지하게 되었다. 이후 레스너를 무너뜨린 케인 벨라스케즈와 곧바로 그를 챔피언 자리에서 끌어내린 주니오르 도스 산토스가 헤비급 최정상에서 압도적인 2강체제를 형성하였으며, 서로 1승 1패를 나눠가진 후 펼쳐진 3차전에서 벨라스케즈가 TKO승을 따내며 새로운 시대의 1인자로 등극하였다. 그러나 '황제 암살자' 파브리시오 베우둠에게 패하며 1인자 자리에서 내려오고 말았고, 베우둠도 1차 방어전에서 곧바로 스티페 미오치치에게 타이틀을 빼앗긴다.

  • 3차 방어에 성공한 파이터가 스티페 미오치치 단 한 명일 정도로 장기 집권이 어려운 체급이었으나,[3] 전체적인 선수폭이 얇아지면서 라헤급 다음으로 초라해진 체급이 되었고 전체적인 컨텐더들의 기량이 하락했다고 볼 수도 있다.[4] 또 인기도 최근들어 경량급의 득세로 상당히 떨어졌다.

UFC 헤비급 챔피언
이름대회명날짜기간상대
초대마크 콜먼UFC 121997년 2월 7일170일댄 세번
2대모리스 스미스UFC 141997년 7월 27일147일마크 콜먼
UFC 151997년 10월 17일탱크 애봇 (1차 방어)
3대랜디 커투어UFC 15.51997년 12월 21일1개월 가량모리스 스미스
4대바스 루텐UFC 201999년 5월 7일1개월 가량케빈 랜들맨
5대케빈 랜들맨UFC 231999년 11월 19일364일피트 윌리엄스
UFC 262000년 6월 9일페드로 히조 (1차 방어)
6대랜디 커투어UFC 282000년 11월 17일490일케빈 랜들맨
UFC 312001년 5월 4일페드로 히조 (1차 방어)
UFC 342001년 11월 2일페드로 히조 (2차 방어)
7대조쉬 바넷UFC 362002년 3월 22일126일랜디 커투어
8대리코 로드리게즈UFC 392002년 9월 27일154일랜디 커투어
9대팀 실비아UFC 412003년 2월 28일229일리코 로드리게즈
UFC 442003년 9월 26일간 맥기 (1차 방어)
10대프랭크 미어UFC 482004년 6월 19일419일팀 실비아
11대안드레이 알롭스키-2005년 8월 12일246일-
UFC 552005년 10월 7일폴 부엔텔로 (1차 방어)
12대팀 실비아UFC 592006년 4월 15일322일안드레이 알롭스키
UFC 612006년 7월 8일안드레이 알롭스키 (1차 방어)
UFC 652006년 11월 18일제프 몬슨 (2차 방어)
13대랜디 커투어UFC 682007년 3월 3일623일팀 실비아
UFC 742007년 8월 25일가브리엘 곤자가 (1차 방어)
14대브록 레스너UFC 912008년 11월 15일707일랜디 커투어
UFC 1002009년 7월 11일IC 프랭크 미어 (1차 방어)
UFC 1162010년 7월 3일IC 쉐인 카윈 (2차 방어)
15대케인 벨라스케즈UFC 1212010년 10월 23일385일브록 레스너
16대주니오르 도스 산토스UFC on Fox 12011년 11월 12일413일케인 벨라스케즈
UFC 1462012년 5월 26일프랭크 미어 (1차 방어)
17대케인 벨라스케즈UFC 1552012년 12월 29일896일주니오르 도스 산토스
UFC 1602013년 5월 25일안토니오 실바 (1차 방어)
UFC 1662013년 10월 19일주니오르 도스 산토스 (2차 방어)
18대파브리시오 베우둠UFC 1882015년 6월 13일336일케인 벨라스케즈
19대스티페 미오치치UFC 1982016년 5월 14일785일파브리시오 베우둠
UFC 2032016년 9월 10일알리스타 오브레임 (1차 방어)
UFC 2112017년 5월 13일주니오르 도스 산토스 (2차 방어)
UFC 2202018년 1월 20일프란시스 은가누 (3차 방어)
20대다니엘 코미어UFC 2262018년 7월 7일407일스티페 미오치치
UFC 2302018년 11월 3일데릭 루이스 (1차 방어)
21대스티페 미오치치UFC 2412019년 8월 17일590일다니엘 코미어
UFC 2522020년 8월 16일다니엘 코미어 (1차 방어)
22대프란시스 은가누UFC 2602021년 3월 27일현재스티페 미오치치
UFC 2702022년 1월 22일IC 시릴 가네 (1차 방어)

  • 초대 챔피언 마크 콜먼은 슈퍼파이트 타이틀전이자 헤비급 통합 타이틀전인 UFC 12 경기에서 댄 세번을 꺾고 헤비급 챔피언에 등극하였다.

  • 3대 챔피언 랜디 커투어는 계약 만료로 1998년 1월 타이틀 상실.

  • 4대 챔피언 바스 루텐은 라이트헤비급으로의 체급 변경을 이유로 타이틀 반납. 이후 훈련 중 얻은 부상으로 인해 은퇴.

  • 7대 챔피언 조쉬 바넷은 경기 후 금지약물 양성 반응으로 2002년 7월 타이틀 박탈. 한동안 UFC에서는 챔피언으로 인정하지 않았으나, 바넷이 UFC에 복귀하여 UFC 164에서 프랭크 미어와의 경기가 잡히자 UFC 측에서 "헤비급 전 챔피언들의 대결"로 홍보하며 챔피언으로 은근슬쩍 인정. 역시 돈이 최고지[5]

  • 9대 챔피언 팀 실비아는 금지약물 양성 반응으로 2003년 10월 타이틀 박탈.

  • 10대 챔피언 프랭크 미어는 오토바이 사고로 2005년 8월 타이틀 반납.



3.2. 라이트 헤비급[편집]


  • 체중 상한선은 205파운드(92.9kg). 처음 체급이 생겼을 당시의 명칭은 라이트급이었고 상한선은 200파운드(90.7kg)였는데 곧 170파운드(77.1kg) 이하를 라이트급으로 분리하며 명칭이 미들급으로 바뀌었고, 2001년 185파운드(83.9kg) 이하를 미들급으로 분리하며 체중상한선도 현재와 같이 상향조정되어 라이트 헤비급이 되었다.

  • 최초의 완성형 파이터로 꼽히는 프랭크 샴락을 배출한 체급. 샴락 이후로 티토 오티즈가 절대왕정을 이어갔고 티토의 몰락 이후 한 차례 혼란기를 거쳐 척 리델의 천하가 이어졌다. 리델이 무너진 후 또 다시 혼돈의 카오스가 펼쳐졌으나 이를 존 존스가 평정했다. 이후 존스가 여러 트러블로 챔피언을 두 차례나 박탈당하고 차기 최강자였던 다니엘 코미어까지 헤비급 전향 뒤 은퇴하면서 재차 춘추전국시대가 열렸다.

UFC 라이트 헤비급 챔피언
이름대회명날짜기간상대
초대프랭크 샴락UFC 15.51997년 12월 21일703일케빈 잭슨
UFC 161998년 3월 13일이고르 지노예프 (1차 방어)
UFC 171998년 5월 15일제레미 혼 (2차 방어)
UFC 17.51998년 10월 16일존 로버 (3차 방어)
UFC 221998년 9월 24일티토 오티즈 (4차 방어)
2대티토 오티즈UFC 252000년 4월 14일1260일반달레이 실바
UFC 292000년 12월 16일콘도 유키 (1차 방어)
UFC 302001년 2월 23일에반 태너 (2차 방어)
UFC 322001년 6월 29일엘비스 시노식 (3차 방어)
UFC 332002년 9월 28일블라디미르 마츄셴코 (4차 방어)
UFC 402002년 11월 22일켄 샴락 (5차 방어)
3대랜디 커투어UFC 442003년 9월 26일127일티토 오티즈
4대비토 벨포트UFC 452004년 1월 31일203일랜디 커투어
5대랜디 커투어UFC 492004년 8월 21일238일비토 벨포트
6대척 리델UFC 522005년 4월 16일770일랜디 커투어
UFC 542005년 8월 20일제레미 혼 (1차 방어)
UFC 572006년 2월 4일랜디 커투어 (2차 방어)
UFC 622006년 8월 26일헤나토 소브랄 (3차 방어)
UFC 662006년 12월 30일티토 오티즈 (4차 방어)
7대퀸튼 잭슨UFC 712007년 5월 26일406일척 리델
UFC 752007년 9월 8일댄 핸더슨 (1차 방어)
8대포레스트 그리핀UFC 862008년 7월 5일175일퀸튼 잭슨
9대라샤드 에반스UFC 922008년 12월 27일147일포레스트 그리핀
10대료토 마치다UFC 982009년 5월 23일350일라샤드 에반스
UFC 1042009년 10월 24일마우리시오 쇼군 (1차 방어)
11대마우리시오 쇼군UFC 1132010년 5월 8일315일료토 마치다
12대존 존스UFC 1282011년 3월 19일1501일마우리시오 쇼군
UFC 1352011년 9월 24일퀸튼 잭슨 (1차 방어)
UFC 1402011년 12월 10일료토 마치다 (2차 방어)
UFC 1462012년 4월 21일라샤드 에반스 (3차 방어)
UFC 1522012년 9월 22일비토 벨포트 (4차 방어)
UFC 1592013년 4월 27일차엘 소넨 (5차 방어)
UFC 1652013년 9월 21일알렉산더 구스타프손 (6차 방어)
UFC 1722014년 4월 26일글로버 테세이라 (7차 방어)
UFC 1822015년 1월 3일다니엘 코미어 (8차 방어)
13대다니엘 코미어UFC 1872015년 5월 23일1315일앤소니 존슨
UFC 1922015년 10월 3일알렉산더 구스타프손 (1차 방어)
UFC 2102017년 4월 8일앤소니 존슨 (2차 방어)
UFC 2202018년 1월 20일볼칸 우즈데미르 (3차 방어)
14대존 존스UFC 2322018년 12월 29일598일알렉산더 구스타프손
UFC 2352019년 3월 2일앤소니 스미스 (1차 방어)
UFC 2392019년 7월 6일티아고 산토스 (2차 방어)
UFC 2472020년 2월 8일도미닉 레예스 (3차 방어)
15대얀 블라코비치UFC 2532020년 9월 27일399일도미닉 레예스
UFC 2602021년 3월 7일이스라엘 아데산야 (1차 방어)
16대글로버 테세이라UFC 2672021년 10월 31일223일얀 블라코비치
17대이리 프로하츠카UFC 2752022년 6월 11일165일글로버 테세이라
  • 초대 챔피언 프랭크 샴락은 은퇴를 선언하며 1999년 11월 타이틀 반납. 그러나 바로 다음해 K-1에서 복귀하였다.

  • 12대 챔피언 존 존스는 뺑소니 사고를 일으켜 2015년 4월 타이틀 박탈.

  • UFC 214 에서 존 존스다니엘 코미어 에게 3R TKO 승리하면서 14대 챔피언이 되었으나, 금지 약물[6]에 대한 양성반응으로 인해 챔피언 자격이 박탈되었고, 해당 경기가 No Contest(무효)처리됨에 따라 다니엘 코미어가 다시 챔피언으로 등극하였다. 이후 헤비급 챔피언에도 등극한 코미어가 은퇴를 앞두고는 헤비급에 전념하기로 하고, UFC 232에서 존 존스알렉산더 구스타프손간의 라이트 헤비급 챔피언전이 확정되면서 코미어는 2018년 12월 UFC 232가 열리기 하루 전에 타이틀을 반납했다.

  • 14대 챔피언 존 존스는 헤비급 월장을 선언하며 타이틀을 반납했다.

  • 17대 챔피언 유리 프로하스카는 1차 방어전을 준비하던 중 심각한 어깨 부상을 당해 긴 공백이 예상되자 스스로 타이틀을 반납했다.

3.3. 미들급[편집]


  • 체중 상한선은 185파운드(83.9kg).

  • 앤더슨 실바가 UFC 최초 10차 방어 기록을 남긴 체급. 너무나 압도적인 챔프의 존재로 인해 오히려 2인자들끼리의 사투가 더 돋보이곤 했으며, 상당수의 선수들이 라이트헤비급으로 체급을 올리는 것을 선택했을 정도. 2013년 7월 신성 크리스 와이드먼이 앤더슨 실바의 약 7년 간의 독재를 끝내고 6대 챔프로 등극. 와이드먼 역시 많은 사람들이 실바 못지 않은 장기집권을 예상했으나, 4차 방어전에서 루크 락홀드에게 어처구니 없는 뒤후리기를 시전하며 무너지고 그 루크 락홀드 또한 뜬금없이 마이클 비스핑에게 무너지며, 이후에는 댄 헨더슨의 은퇴전과 GSP의 복귀전을 타이틀전으로 잡아주는 촌극, 심지어 그 복귀전을 GSP가 이긴 뒤 곧바로 타이틀 반납, 로메로의 타이틀전 계체 실패 등 혼란스러운 상황이 이어졌다. 그뒤 휘태커와 로메로의 두번의 싸움이 있었으며 휘태커가 미들급의 1인자로 군림하던중 신성 이스라엘 아데산야가 나타났고 이후 이스라엘 아데산야가 전성기 실바를 연상케 하는 스타일조르주 생 피에르를 능가하는 수면제 경기을 선보이며 체급을 평정하고 있다. 2022년 11월 13일 과거 킥복싱 단체에서 아데산야에게 두 차례 승리한 알렉스 페레이라가 아데산야를 상대로 3번째 승리를 거두며 새롭게 챔피언으로 등극하였다.

UFC 미들급 챔피언
초대대회명날짜기간상대
초대데이브 메네UFC 332001년 9월 28일105일길 카스티요
2대무릴로 부스타만테UFC 352002년 1월 11일267일데이브 메네
UFC 372002년 5월 10일맷 린들랜드 (1차 방어)
3대에반 태너UFC 512005년 2월 5일119일데이비드 테럴
4대리치 프랭클린UFC 532005년 6월 4일497일에반 태너
UFC 562005년 11월 19일네이트 쿼리 (1차 방어)
UFC 582006년 3월 4일데이비드 르와조 (2차 방어)
5대앤더슨 실바UFC 642006년 10월 14일2457일리치 프랭클린
UFC 732007년 7월 7일네이트 마쿼트 (1차 방어)
UFC 772007년 10월 20일리치 프랭클린 (2차 방어)
UFC 822008년 3월 1일댄 핸더슨 (3차 방어)
UFC 902008년 10월 25일패트릭 코테 (4차 방어)
UFC 972009년 4월 18일탈레스 레이테스 (5차 방어)
UFC 1122010년 4월 10일데미안 마이아 (6차 방어)
UFC 1172010년 8월 7일차엘 소넨 (7차 방어)
UFC 1262011년 2월 5일비토 벨포트 (8차 방어)
UFC 1342011년 8월 27일오카미 유신 (9차 방어)
UFC 1482012년 7월 7일차엘 소넨 (10차 방어)
6대크리스 와이드먼UFC 1622013년 7월 6일888일앤더슨 실바
UFC 1682013년 12월 28일앤더슨 실바 (1차 방어)
UFC 1752014년 7월 5일료토 마치다 (2차 방어)
UFC 1872015년 5월 23일비토 벨포트 (3차 방어)
7대루크 락홀드UFC 1942015년 12월 12일175일크리스 와이드먼
8대마이클 비스핑UFC 1992016년 6월 4일517일루크 락홀드
UFC 2042016년 10월 8일댄 헨더슨 (1차 방어)
9대조르주 생 피에르UFC 2172017년 11월 4일34일마이클 비스핑
10대로버트 휘태커-2017년 12월 7일660일-
UFC 2252018년 6월 10일요엘 로메로 (1차 방어)
11대이스라엘 아데산야UFC 2432019년 10월 6일1134일로버트 휘태커
UFC 2482020년 3월 7일요엘 로메로 (1차 방어)
UFC 2532020년 9월 27일파울로 코스타 (2차 방어)
UFC 2632021년 6월 13일마빈 베토리 (3차 방어)
UFC 2712022년 2월 13일로버트 휘태커 (4차 방어)
UFC 2762022년 7월 2일제라드 캐노니어 (5차 방어)
12대알렉스 페레이라UFC 2812022년 11월 12일현재이스라엘 아데산야



  • 10대 챔피언 로버트 휘태커는 UFC 225에서 도전자 요엘 로메로를 상대로 1차 방어전을 치를 예정이었으나, 로메로가 185.2lbs로 계체를 실패하여 휘태커가 승리하면 1차 방어 기재, 로메로가 이기면 논타이틀로 하기로 결정했고 휘태커가 승리하며 1차 방어전에 성공했다.


3.4. 웰터급[편집]


  • 체중 상한선은 170파운드(77.1kg). 처음 명칭은 라이트급이었으나 2001년 웰터급으로 바뀌었다.


  • UFC 내에서 라이트급과 더불어 경쟁이 가장 빡센 UFC 전통의 지옥 체급이다.[7][8] 사실 웰터급 파이터가 워낙 많다 보니 웬만한 MMA 단체는 다 웰터급이 지옥 체급이긴 하다.

UFC 웰터급 챔피언
이름대회명날짜기간상대
초대팻 밀레티치UFC 17.51998년 10월 16일931일마이키 버넷
UFC 181999년 1월 8일호르헤 파티노 (1차 방어)
UFC 211999년 7월 16일안드레이 페데네이라스 (2차 방어)
UFC 282000년 6월 9일존 알레시오 (3차 방어)
UFC 292000년 12월 16일야마모토 켄이치 (4차 방어)
2대카를로스 뉴턴UFC 312001년 5월 4일183일팻 밀레티치
3대맷 휴즈UFC 342001년 11월 2일820일카를로스 뉴턴
UFC 362002년 3월 22일사쿠라이 하야토 (1차 방어)
UFC 382002년 7월 13일카를로스 뉴턴 (2차 방어)
UFC 402002년 11월 22일길 카스티요 (3차 방어)
UFC 432003년 4월 25일션 셔크 (4차 방어)
UFC 452003년 11월 21일프랭크 트리그 (5차 방어)
4대BJ 펜UFC 462004년 1월 31일107일맷 휴즈
5대맷 휴즈UFC 502004년 10월 22일757일조르주 생 피에르
UFC 522005년 4월 16일프랭크 트리그 (1차 방어)
UFC 622006년 9월 23일BJ 펜 (2차 방어)
6대조르주 생 피에르UFC 652006년 11월 18일140일맷 휴즈
7대맷 세라UFC 692007년 4월 7일378일조르주 생 피에르
8대조르주 생 피에르UFC 832008년 4월 19일2064일맷 세라
UFC 872008년 8월 9일존 피치 (1차 방어)
UFC 942009년 1월 31일BJ 펜 (2차 방어)
UFC 1002009년 7월 11일티아고 알베스 (3차 방어)
UFC 1112010년 3월 27일댄 하디 (4차 방어)
UFC 1242010년 12월 11일조쉬 코스첵 (5차 방어)
UFC 1292011년 4월 30일제이크 쉴즈 (6차 방어)
UFC 1542012년 11월 17일IC 카를로스 콘딧 (7차 방어)
UFC 1582013년 3월 16일닉 디아즈 (8차 방어)
UFC 1672013년 11월 16일조니 헨드릭스 (9차 방어)
9대조니 헨드릭스UFC 1712014년 3월 15일266일로비 라울러
10대로비 라울러UFC 1812014년 12월 6일602일조니 헨드릭스
UFC 1892015년 7월 11일로리 맥도널드 (1차 방어)
UFC 1952016년 1월 2일카를로스 콘딧 (2차 방어)
11대타이론 우들리UFC 2012016년 7월 30일945일로비 라울러
UFC 2052016년 11월 12일스티븐 톰슨 (1차 방어·무승부)
UFC 2092017년 3월 4일스티븐 톰슨 (2차 방어)
UFC 2142017년 7월 29일데미안 마이아 (3차 방어)
UFC 2282018년 9월 8일대런 틸 (4차 방어)
12대카마루 우스만UFC 2352019년 3월 2일1267일타이론 우들리
UFC 2452019년 12월 14일콜비 코빙턴 (1차 방어)
UFC 2512020년 7월 12일호르헤 마스비달 (2차 방어)
UFC 2582021년 2월 14일길버트 번즈 (3차 방어)
UFC 2612021년 4월 25일호르헤 마스비달 (4차 방어)
UFC 2682021년 11월 7일콜비 코빙턴 (5차 방어)
13대리온 에드워즈UFC 2782022년 8월 20일현재카마루 우스만

  • 4대 챔피언 BJ 펜은 K-1 HERO'S로 이적하여 2004년 5월 타이틀 박탈.


  • 11대 챔피언 타이론 우들리는 도전자 스티븐 톰슨과의 방어전을 가졌고 47-47, 47-47, 48-47 과반 무승부(majority draw)를 기록하며 타이틀 방어에 성공했으나 톰슨과의 재대결이 확정되었다.


3.5. 라이트급[편집]


  • 체중 상한선은 155파운드(70.3kg). 처음 명칭은 밴텀급이었으나 2001년 라이트급으로 바뀌었다.

  • UFC 35 이후에 공백이 있는데, UFC 41 토너먼트를 기점으로 라이트급이 한동안 폐지되었기 때문이다.

  • UFC 41에서 공석이 된 라이트급 챔피언 자리를 차지하기 위한 토너먼트에서 BJ펜과 카올 우노는 무승부를 기록하였다.

  • 현재까지 4차 방어에 성공한 선수가 없을 정도로 경쟁이 치열한 지옥 체급으로[9] 현재 웰터급과 더불어 가장 지옥의 체급으로 불린다. 남성들의 평균적인 체급인 만큼 선수층도 매우 두텁고 경쟁이 치열하다. 또한 UFC 최고의 스타 코너 맥그리거가 페더급에서 올라오면서 UFC 내에서 가장 인기가 많은 체급이다.

UFC 라이트급 챔피언
이름대회명날짜기간상대
초대젠스 펄버UFC 302001년 2월 23일393일우노 카오루
UFC 332001년 9월 28일데니스 홀먼 (1차 방어)
UFC 352002년 1월 11일BJ 펜 (2차 방어)
2대션 셔크UFC 642006년 10월 14일420일케니 플로리안
UFC 732007년 7월 7일에르메스 프랑카 (1차 방어)
3대BJ 펜UFC 802008년 1월 19일812일조 스티븐슨
UFC 842008년 5월 24일션 셔크 (1차 방어)
UFC 1012009년 8월 8일케니 플로리안 (2차 방어)
UFC 1072009년 12월 12일디에고 산체스 (3차 방어)
4대프랭키 에드가UFC 1122010년 4월 10일687일BJ 펜
UFC 1172010년 8월 28일BJ 펜 (1차 방어)
UFC 1252011년 1월 1일그레이 메이나드 (2차 방어·무승부)
UFC 1362011년 10월 8일그레이 메이나드 (3차 방어)
5대벤 헨더슨UFC 1442012년 2월 26일552일프랭키 에드가
UFC 1502012년 8월 11일프랭키 에드가 (1차 방어)
UFC on Fox 52012년 12월 8일네이트 디아즈 (2차 방어)
UFC on Fox 72013년 4월 20일길버트 멜렌데즈 (3차 방어)
6대앤소니 페티스UFC 1642013년 8월 31일560일벤 헨더슨
UFC 1812014년 12월 6일길버트 멜렌데즈 (1차 방어)
7대하파엘 도스 안요스UFC 1852015년 3월 14일481일앤소니 페티스
UFC on Fox 172015년 12월 19일도널드 세로니 (1차 방어)
8대에디 알바레즈UFC Fight Night 902016년 7월 7일128일하파엘 도스 안요스
9대코너 맥그리거UFC 2052016년 11월 12일511일에디 알바레즈
10대하빕 누르마고메도프UFC 2232018년 4월 7일933일알 아이아퀸타
UFC 2292018년 10월 6일코너 맥그리거 (1차 방어)
UFC 2422019년 9월 7일IC 더스틴 포이리에 (2차 방어)
UFC 2542020년 10월 25일IC 저스틴 게이치 (3차 방어)
11대찰스 올리베이라UFC 2622021년 5월 16일358일마이클 챈들러
UFC 2692021년 12월 12일더스틴 포이리에 (1차 방어)
12대이슬람 마카체프UFC 2802022년 10월 22일현재찰스 올리베이라


  • 초대 챔피언 젠스 펄버는 계약 문제로 2002년 3월 타이틀을 상실.

  • 2대 챔피언 션 셔크는 UFC 73에서 금지약물에 대한 양성 반응으로 2007년 12월 타이틀 박탈.

  • 9대 챔피언 코너 맥그리거는 8대 챔피언 에디 알바레즈를 꺾으며 페더급과 라이트급 타이틀을 동시에 획득하는 신기록을 세웠다.[10]

  • 9대 챔피언 코너 맥그리거는 1년 반에 가까운 기간동안 방어전을 전혀 치르지 않아 UFC 223에서 하빕과 퍼거슨(→부상으로 아이아퀸타로 교체)의 대결 승자가 새로운 챔피언이 되는 것으로 합의되었고, 하빕이 아이아퀸타를 이기면서 2018년 4월 타이틀 박탈.

  • 11대 챔피언 찰스 올리베이라는 경기 전 계체를 실패함으로써 챔피언을 박탈당했다. 상대 저스틴 게이치가 올리베이라를 꺾었다면 챔피언에 오를 수 있었으나 올리베이라가 승리하면서 챔피언은 공석이 되었다.

3.6. 페더급[편집]


  • 체중 상한선은 145파운드(65.8kg).

  • 2010년 10월 WEC가 UFC에 통합되며 컨텐더들을 그대로 물려받았다.

  • UFC 남성 체급들 중에서 챔피언 계보가 가장 단순하다. 현재 챔피언이 플라이급과 함께 5번째 챔피언으로 같으며, 구성 멤버는 4명으로 가장 적다. 플라이급도 드미트리우스 존슨이라는 강력한 존재가 있었지만 그 이후에는 타이틀 변경이 잦은 반면, 페더급은 조제 알도라는 폭군이 장기집권을 유지했었고 그 이후의 챔피언들도 코너 맥그리거를 제외하면 타이틀 방어를 꽤 해냈기 때문에 다른 체급에 비해 족보가 단순하다.

  • 웰터급과 라이트급 다음으로 경쟁이 치열하다. UFC 초중반까지만 해도 근래까지의 격투기가 그렇듯이 헤비급이 가장 인기있었고, 해봤자 웰터급까지가 스포트라이트를 주로 가져가는 라인이라서 비인기 체급인 경량급 답게 관심이나 선수층이 부족했다. 초대 챔피언인 폭군 조제 알도가 체급을 평정하며 혼자 부각받는 체급이었으나 코너 맥그리거라는 초신성의 등장, 역사상 손꼽히는 슈퍼스타의 등장으로 엄청난 관심을 받으며 선수층이 대폭 증가하고 상당히 뜨거워진 체급이다. 이후 점차 선수들이 대형화되면서 라이트급에서 내려오거나, 감량고를 겪는 밴텀급 선수들이 올라오는 등 경쟁이 매우 치열해졌다. 국내에서도 정찬성, 최두호의 존재로 인해 관심을 받는 체급이다.

UFC 페더급 챔피언
이름대회명날짜기간상대
초대조제 알도UFC 1232010년 11월 20일1848일-
UFC 1292011년 4월 30일마크 호미닉 (1차 방어)
UFC 1362011년 10월 8일케니 플로리안 (2차 방어)
UFC 1422012년 1월 14일채드 멘데스 (3차 방어)
UFC 1562013년 2월 2일프랭키 에드가 (4차 방어)
UFC 1632013년 8월 3일정찬성 (5차 방어)
UFC 1692014년 2월 1일리카르도 라마스 (6차 방어)
UFC 1792014년 10월 25일채드 멘데스 (7차 방어)
2대코너 맥그리거UFC 1942015년 12월 12일350일조제 알도
3대조제 알도-2016년 11월 26일190일-
4대맥스 할로웨이UFC 2122017년 6월 3일925일조제 알도
UFC 2182017년 12월 2일조제 알도 (1차 방어)
UFC 2312018년 12월 8일브라이언 오르테가 (2차 방어)
UFC 2402019년 7월 27일프랭키 에드가(3차 방어)
5대알렉산더 볼카노프스키UFC 2452019년 12월 15일현재맥스 할로웨이
UFC 2512020년 7월 12일맥스 할로웨이(1차 방어)
UFC 2662021년 9월 26일브라이언 오르테가(2차 방어)
UFC 2732022년 4월 10일정찬성(3차 방어)
UFC 2762022년 7월 3일맥스 할로웨이(4차 방어)

  • 초대 챔피언 조제 알도는 WEC 4대 챔피언이었으며 2010년 WEC가 UFC에 통합되면서 자동적으로 타이틀을 획득했고, UFC 123에서 공식적으로 타이틀을 수여받았다.

  • 2대 챔피언 코너 맥그리거페더급 타이틀을 박탈당함으로써[11] 2대 잠정 챔피언 조제 알도가 공식 챔피언으로 승격되었고, 페더급 잠정타이틀전인 UFC 206 메인이벤트의 승자 맥스 할로웨이와 2017년 6월 UFC 212에서 통합타이틀전을 가졌다.


3.7. 밴텀급[편집]


  • 체중 상한선은 135파운드(61.2kg).

  • 2010년 10월 WEC가 UFC에 통합되며 컨텐더들을 그대로 물려받았다.

  • 초대 챔피언이였던 도미닉 크루즈가 무릎 부상과 수술로 인해 경기를 오랫동안 뛰지 못하고 결국 벨트를 박탈당하자 오랫동안 잠정 챔피언이였던 헤난 바라오가 결국 정식 챔피언으로 승격되고, 그간 보여준 모습들을 통해 압도적인 챔피언으로 군림하나 싶었지만 얼마못가 새롭게 떠오른 TJ 딜라쇼에게 벨트를 뺏겼고, 이후 복귀한 크루즈가 딜라쇼에게서 벨트를 되찾았으나 크루즈는 당시 떠오르는 신성이였던 코디 가브란트에게 벨트를 뺏기고, 가브란트는 1차 방어전에서 앙숙이였던 딜라쇼에게 벨트를 잃고 마는 등 선수층이 넓지는 않지만 경쟁이 상당히 치열한 체급이다.

  • 플라이급 신설 전 최경량 체급이었으며, 플라이급 신설 후에도 드미트리우스 존슨의 플라이급 평정 및 플라이급의 낮은 인기로 인해 두 체급을 왔다갔다하는 파이터들이 많다.

UFC 밴텀급 챔피언
이름대회명날짜기간상대
초대도미닉 크루즈WEC 532010년 12월 16일1117일스캇 조겐슨
UFC 1322011년 7월 2일유라이아 페이버 (1차 방어)
UFC Live 62011년 10월 1일드미트리우스 존슨 (2차 방어)
2대헤난 바라오-2014년 1월 6일138일-
UFC 1692014년 2월 1일유라이아 페이버 (1차 방어)
3대TJ 딜라쇼UFC 1732014년 5월 24일603일헤난 바라오
UFC 1772014년 8월 30일조 소토 (1차 방어)
UFC on Fox 162015년 7월 25일헤난 바라오 (2차 방어)
4대도미닉 크루즈UFC Fight Night 812016년 1월 17일348일TJ 딜라쇼
UFC 1992016년 6월 4일유라이아 페이버 (1차 방어)
5대코디 가브란트UFC 2072016년 12월 30일297일도미닉 크루즈
6대TJ 딜라쇼UFC 2172017년 11월 4일502일코디 가브란트
UFC 2272018년 11월 4일코디 가브란트 (1차 방어)
7대헨리 세후도UFC 2382019년 6월 8일337일말론 모라에스
UFC 2492020년 5월 9일도미닉 크루즈 (1차 방어)
8대페트르 얀UFC 2512020년 7월 12일238일조제 알도
9대알저메인 스털링UFC 2592021년 3월 7일현재페트르 얀
UFC 2732022년 4월 9일페트르 얀 (1차 방어)
UFC 2802022년 10월 22일TJ 딜라쇼 (2차 방어)

  • 초대 챔피언 도미닉 크루즈는 WEC 5대 챔피언이었으며 WEC 53에서 스캇 조르겐센과 UFC/WEC 밴텀급 통합 타이틀전을 치렀다.


  • 6대 챔피언 TJ 딜라쇼금지약물 적발로 인해 2019년 3월 21일 타이틀을 자진 반납했다.

  • 7대 챔피언 헨리 세후도는 공석이었던 챔피언 자리를 두고 말론 모라에스와 타이틀전을 치러 승리하며 두 체급 동시 챔피언에 올랐다. 1차 방어 후 은퇴를 선언하면서 타이틀을 반납했다.


3.8. 플라이급[편집]


  • 체중 상한선은 125파운드(56.7kg).

  • 2012년 3월 UFC에서 플라이급이 신설되었다. 초대 챔피언 드미트리우스 존슨이 11차 방어에 성공하며 UFC 역대 최다 방어 기록을 작성했다. 그러나 이러한 존슨 천하로 인해 인기도 없고(11번의 방어전 중 넘버링 대회 메인이벤트는 단 3차례 뿐이었다) 돈도 별로 못 받는다.(존슨의 기본급이 겨우 $350,000) 오죽하면 중소단체 챔피언끼리 붙여서 짱 먹은 놈을 데려다 방어전 시켰을까 컨텐더들도 밴텀급으로 체급을 다시 올린 경우가 많다.

UFC 플라이급 챔피언
이름대회명날짜기간상대
초대드미트리우스 존슨UFC 1522012년 9월 22일2142일조셉 베나비데즈
UFC on Fox 62013년 1월 26일존 도슨 (1차 방어)
UFC on Fox 82013년 7월 27일존 모라가 (2차 방어)
UFC on Fox 92013년 12월 14일조셉 베나비데즈 (3차 방어)
UFC 1742014년 6월 14일알리 바가우티노프 (4차 방어)
UFC 1782014년 9월 27일크리스 카리아소 (5차 방어)
UFC 1862015년 4월 25일호리구치 쿄지 (6차 방어)
UFC 1912015년 9월 5일존 도슨 (7차 방어)
UFC 1972016년 4월 23일헨리 세후도 (8차 방어)
TUF 24 Finale2016년 12월 3일팀 엘리엇 (9차 방어)
UFC on Fox 242017년 4월 15일윌슨 헤이스 (10차 방어)
UFC 2162017년 10월 7일레이 보그 (11차 방어)
2대헨리 세후도UFC 2272018년 8월 4일574일드미트리우스 존슨
UFC Fight Night 1432019년 1월 19일TJ 딜라쇼 (1차 방어)
3대데이비슨 피게레도UFC Fight Night 1722020년 7월 19일330일조셉 베나비데즈
UFC 2552020년 11월 22일알렉스 페레즈 (1차 방어)
UFC 2562020년 12월 12일브랜든 모레노 (2차 방어·무승부)
4대브랜든 모레노UFC 2632021년 6월 13일224일데이비슨 피게레도
5대데이비슨 피게레도UFC 2702022년 1월 22일현재브랜든 모레노


  • UFC 215 메인이벤트에 레이 보그와의 11차 방어전이 예정되어 있었으나, 보그의 바이러스 감염으로 취소되었고, 해당 경기는 UFC 216 코메인이벤트로 옮겨졌다.

  • 2대 챔피언 헨리 세후도는 이후 밴텀급 타이틀까지 석권해 밴텀급 타이틀에 전념하기 위해 2019년 12월에 타이틀을 반납했다.

  • 데이비슨 피게레도조셉 베나비데즈는 2020년 2월 29일에 열린 UFN 169에서 당시 공석이었던 플라이급 타이틀을 두고 경기를 진행했으나 승자 데이비슨 피게레도가 계체에 실패하면서 챔피언 타이틀은 얻지 못하였다. 그 후, UFN 172에서 열린 2차전에서 데이비슨 피게레도가 조셉 베나비데즈를 압도하며 챔피언 벨트를 획득하였다.


3.9. 여성 페더급[편집]


  • 체중 상한선은 145파운드(65.8kg).

  • 2017년 UFC는 여성 페더급을 신설하며 UFC 208 대회에서 홀리 홈크리스 사이보그의 페더급 타이틀전을 진행하려 했으나 사이보그의 거절[12]로 인해 홀리 홈의 상대가 저메인 데 란다메로 바뀌었다.

  • 신설되었을 때 상당히 논란이 많았던 체급으로, 밴텀급과 달리 인재풀이 너무 적어서 인원 충당이 가능한 지 의문을 품은 팬들이 많았다. 사실상 크리스 사이보그가 밴텀급 체중을 맞추지 못해서 만든 사이보그 전용 체급이라고 불릴 만큼 선수가 거의 없어서 밴텀급의 선수들이 억지로 몸을 불려 페더급으로 월장해 도전하는 상황이다. TUF 28이 여성 페더급을 대상으로 하는 등 나름대로 선수 수급에 노력을 했지만, 타이틀이 신설된지 1년이 넘도록 공식 랭킹이 없을 정도로 선수가 너무 적다보니 미래가 가장 어두운 체급으로 꼽히고 있다.

UFC 여성 페더급 챔피언
이름대회명날짜기간상대
초대저메인 데 란다메UFC 2082017년 2월 11일128일홀리 홈
2대크리스 사이보그UFC 2142017년 7월 29일517일토냐 에빈저
UFC 2192017년 12월 30일홀리 홈 (1차 방어)
UFC 2222018년 3월 3일야나 쿠니츠카야 (2차 방어)
3대아만다 누네스UFC 2322018년 12월 29일현재크리스 사이보그
UFC 2502020년 6월 6일펠리시아 스펜서 (1차 방어)
UFC 2592021년 3월 6일메간 앤더슨 (2차 방어)



3.10. 여성 밴텀급[편집]


  • 체중 상한선은 135파운드(61.2kg).

  • 2012년 UFC는 Strikeforce의 여성 밴텀급 선수층을 흡수하며 UFC 여성 밴텀급을 신설하였다.

  • UFC 최초의 여성 체급으로 창설 이후 너무나도 압도적인 챔피언이 대부분의 도전자들을 1라운드에서 초살시키면서 거의 혼자 부각되었던 체급이기도 하다. 체급이 신설된지 꽤 시간이 지났고, 남성 웰터급처럼 여성에서는 이쪽 중량대의 선수가 많다 보니 여성부 중에서는 그나마 인재풀이 넓은 체급이다.

UFC 여성 밴텀급 챔피언
이름대회명날짜기간상대
초대론다 로우지UFC on Fox 52012년 12월 6일1074일-
UFC 1572013년 2월 23일리즈 카무치 (1차 방어)
UFC 1682013년 12월 28일미샤 테이트 (2차 방어)
UFC 1702014년 2월 22일사라 맥맨 (3차 방어)
UFC 1752014년 7월 5일알렉시스 데이비스 (4차 방어)
UFC 1842015년 2월 28일캣 진가노 (5차 방어)
UFC 1902015년 8월 1일베시 코헤이아 (6차 방어)
2대홀리 홈UFC 1932015년 11월 15일111일론다 로우지
3대미샤 테이트UFC 1962016년 3월 5일126일홀리 홈
4대아만다 누네스UFC 2002016년 7월 9일1972일미샤 테이트
UFC 2072016년 12월 30일론다 로우지 (1차 방어)
UFC 2152017년 9월 9일발렌티나 셰브첸코 (2차 방어)
UFC 2242018년 5월 12일라퀠 페닝턴 (3차 방어)
UFC 2392019년 7월 6일홀리 홈 (4차 방어)
UFC 2452019년 12월 14일저메인 데 란다메 (5차 방어)
5대줄리아나 페냐UFC 2692021년 12월 11일232일아만다 누네스
6대아만다 누네스UFC 2772022년 7월 31일현재줄리아나 페냐

  • 초대 챔피언 론다 로우지는 Strikeforce 4대 챔피언이었으며 2012년 UFC 여성 밴텀급 초대 타이틀을 자동 획득했고, UFC on Fox 5에서 공식적으로 타이틀을 수여받았다.


3.11. 여성 플라이급[편집]


  • 체중 상한선은 125파운드(56.7kg).

UFC 여성 플라이급 챔피언
이름대회명날짜기간상대
초대니코 몬타뇨TUF 26 Finale2017년 12월 1일282일록산 모다페리[13]
2대발렌티나 셰브첸코UFC 2312018년 12월 8일현재요안나 옌드레이첵
UFC 2382019년 6월 8일제시카 아이 (1차 방어)
UFC Fight Night 1562019년 8월 10일리즈 카무치 (2차 방어)
UFC 2472020년 2월 8일케이틀린 추캐기언 (3차 방어)
UFC 2552020년 11월 22일제니퍼 마이아 (4차 방어)
UFC 2612021년 4월 24일제시카 안드라지 (5차 방어)
UFC 2662021년 9월 26일로렌 머피 (6차 방어)
UFC 2752022년 6월 11일타일라 산토스 (7차 방어)

  • 2017년 12월 1일 'The Ultimate Fighter: A New World Champion Finale' 의 메인이벤트에서, 신설된 여성 플라이급 챔피언 결정을 위한 경기가 진행됐다.

  • 초대 챔피언 니코 몬타뇨는 잦은 방어전 연기 요청에도 불구하고, 방어전을 여러번 파토내며 벨트를 박탈당했다.

  • 2018년 12월 9일 UFC 231에서 발렌티나 셰브첸코가 요안나 옌드레이첵에 판정승하여 여성 플라이급 2대 챔피언되었으며 최초의 아시아인 챔피언에 등극하였다.[14]


3.12. 여성 스트로급[편집]


  • 체중 상한선은 115파운드(52.2kg).

  • 2013년 UFC는 여성 MMA 단체인 Invicta FC의 스트로급 선수들을 대거 영입하며 여성 스트로급 신설을 발표했다.

  • 2대 챔피언 요안나 옌드레이첵은 극강의 타격 실력과 토크으로 초대 챔프 및 컨텐더들을 일방적으로 때려잡음으로써 2년 반 이상의 장기집권을 했다.

  • 5대 챔피언 장웨이리는 중국인/동아시아인 최초의 UFC 챔피언이 되었다.[15]

  • 현재 UFC 여성부 최경량 체급으로, 타 단체에서 이보다 낮은 아톰급[16]으로 활동하던 선수들은 UFC 입성을 위해 스트로급으로 몸을 불리기도 한다. 한국에서는 함서희의 사례가 있다.

UFC 여성 스트로급 챔피언
이름대회명날짜기간상대
초대카를라 에스파르자TUF 20 Finale2014년 12월 12일92일로즈 나마유나스
2대요안나 옌드레이첵UFC 1852015년 3월 14일965일카를라 에스파르자
UFC Fight Night 692015년 6월 20일제시카 페네 (1차 방어)
UFC 1932015년 11월 15일발레리 레토뉴 (2차 방어)
TUF 23 Finale2016년 7월 8일클라우디아 가델라 (3차 방어)
UFC 2052016년 11월 12일카롤리나 코발키에비츠 (4차 방어)
UFC 2112017년 5월 13일제시카 안드라지 (5차 방어)
3대로즈 나마유나스UFC 2172017년 11월 4일554일요안나 옌드레이첵
UFC 2232018년 4월 8일요안나 옌드레이첵(1차 방어)
4대제시카 안드라지UFC 2382019년 5월 11일112일로즈 나마유나스
5대장웨이리UFC Fight Night 1572019년 8월 31일604일제시카 안드라지
UFC 2482020년 5월 7일요안나 옌드레이첵(1차 방어)
6대로즈 나마유나스UFC 2612021년 4월 24일380일장웨이리
UFC 2682021년 11월 6일장웨이리(1차 방어)
7대카를라 에스파르자UFC 2742022년 5월 8일현재로즈 나마유나스

4. 잠정 타이틀[편집]


  • 챔피언이 모종의 이유로 방어전을 치를 수 없을 때, 해당 체급의 두 명의 탑 컨텐더들이 맞붙어서 이긴 승자가 받는 타이틀이다. 승자는 타이틀샷을 보장받으며, 챔피언이 타이틀을 반납하거나 박탈당할 시에 체급의 챔피언으로 승격된다.


4.1. 헤비급[편집]


UFC 헤비급 잠정 챔피언
이름대회명날짜기간상대
초대안드레이 알롭스키UFC 512005년 2월 5일-팀 실비아
UFC 532005년 6월 4일저스틴 아일러스 (1차 방어)
2대안토니오 호드리고 노게이라UFC 812008년 2월 2일-팀 실비아
3대프랭크 미어UFC 922008년 12월 27일-안토니오 호드리고 노게이라
4대쉐인 카윈UFC 1112010년 3월 27일-프랭크 미어
5대파브리시오 베우둠UFC 1802014년 11월 15일-마크 헌트
6대시릴 가네UFC 2652021년 8월 7일-데릭 루이스

  • 초대 잠정 챔피언 안드레이 알롭스키프랭크 미어가 교통사고로 부상을 당했기 때문에 팀 실비아와 잠정 타이틀전을 치렀다. 미어의 복귀가 지연되면서 저스틴 아일러스와 잠정 타이틀 방어전을 치렀고, 결국 2005년 8월 미어의 타이틀을 그대로 승계하여 11대 챔피언이 되었다.







4.2. 라이트 헤비급[편집]


UFC 라이트 헤비급 잠정 챔피언
이름대회명날짜기간상대
초대랜디 커투어UFC 432003년 6월 6일-척 리델
2대존 존스UFC 1972016년 4월 23일-오빈스 생 프루



  • 2대 잠정 챔피언 존 존스는 금지 약물에 대한 양성반응으로 인해 USADA로부터 1년 출전정지를 받음으로서 2016년 11월 9일(미국 현지 시각) 라이트헤비급 잠정챔피언 자격을 박탈당했다.


4.3. 미들급[편집]


UFC 미들급 잠정 챔피언
이름대회명날짜기간상대
초대로버트 휘태커UFC 2132017년 7월 8일-요엘 로메로
2대이스라엘 아데산야UFC2362019년 4월 14일-켈빈 가스텔럼



4.4. 웰터급[편집]


UFC 웰터급 잠정 챔피언
이름대회명날짜기간상대
초대조르주 생 피에르UFC 792007년 12월 29일-맷 휴즈
2대카를로스 콘딧UFC 1432012년 2월 4일-닉 디아즈
3대콜비 코빙턴UFC 2252018년 6월 9일-하파엘 도스 안요스



  • 3대 잠정 챔피언 콜비 코빙턴타이론 우들리의 어깨 부상에 의한 수술로 하파엘 도스 안요스와 잠정 타이틀전을 치렀다. UFC 228에서 우들리를 상대로 타이틀전이 열릴 예정이었지만 코빙턴 측이 이를 거절하면서 타이틀을 박탈당했다.


4.5. 라이트급[편집]


UFC 라이트급 잠정 챔피언
이름대회명날짜기간상대
초대토니 퍼거슨UFC 2162017년 10월 8일-케빈 리
2대더스틴 포이리에UFC 2362019년 4월 14일-맥스 할로웨이
3대저스틴 게이치UFC 2492020년 5월 9일-토니 퍼거슨



4.6. 페더급[편집]


UFC 페더급 잠정 챔피언
이름대회명날짜기간상대
초대코너 맥그리거UFC 1892015년 7월 11일-채드 멘데스
2대조제 알도UFC 2002016년 7월 9일-프랭키 에드가
3대맥스 할로웨이UFC 2062016년 12월 10일-앤소니 페티스



  • 2대 잠정 챔피언 조제 알도는 맥그리거의 타이틀 박탈로 공식 챔피언으로 승격되었다. 페더급 잠정타이틀전인 UFC 206 메인이벤트의 승자 맥스 할로웨이와 2017년 6월 UFC 212에서 통합 타이틀전을 가졌다.


4.7. 밴텀급[편집]


UFC 밴텀급 잠정 챔피언
이름대회명날짜기간상대
초대헤난 바라오UFC 1492012년 7월 21일-유라이아 페이버
UFC on Fuel 72013년 2월 16일마이클 맥도널드 (1차 방어)
UFC 1652013년 9월 21일에디 와인랜드 (2차 방어)
2대페트르 얀UFC 2672021년 10월 31일-코리 샌드하겐





4.8. 플라이급[편집]


UFC 플라이급 잠정 챔피언
이름대회명날짜기간상대
초대브랜든 모레노UFC 2772022년 7월 30일-카이 카라-프랑스

5. 슈퍼파이트 타이틀[편집]


  • UFC에 체급이 생기기 전의 무차별급 타이틀로, 1997년 2월 헤비급 타이틀에 통합되었다.

UFC 슈퍼파이트 챔피언
이름대회명날짜기간상대
초대켄 샴락UFC 61995년 7월308일댄 세번
UFC 71995년 9월올렉 탁타로프 (1차 방어·무승부)
UFC 81996년 2월키모 레오폴도 (2차 방어)
2대댄 세번UFC 91996년 5월266일켄 샴락

  • 켄 샴락호이스 그레이시는 UFC 5에서 초대 슈퍼파이트 타이틀전을 치렀으나 장장 36분 간의 혈투 끝에 무승부를 기록했다. 해당 경기는 UFC 최장시간 경기로 기록되었다.


6. 토너먼트 타이틀[편집]


  • 1996년까지는 체급없이 무차별 토너먼트로 개최되었다. The Ultimate Ultimate은 각 토너먼트의 우승자들을 뽑아서 진행한 왕중왕 토너먼트. 1997년부터는 체급별 타이틀전과 토너먼트를 병행하다가 1999년을 마지막으로 원데이 토너먼트제는 폐지된다. 이후 2003년에 라이트급 챔피언, 2012년에 플라이급 챔피언을 가리기 위한 토너먼트가 펼쳐졌으나 이것은 2~3개의 대회에 걸쳐 치러진 것으로 1999년까지의 원데이 토너먼트와는 차이가 있다. 초반 3관왕을 달성했던 호이스 그레이시를 비롯, 댄 세번, 마크 콜먼, 마크 커 등이 이 시대를 대표하는 스타들.

UFC 토너먼트 챔피언
대회명체급우승준우승날짜
UFC 1무제한호이스 그레이시제라드 고르도1993년 11월
UFC 2무제한호이스 그레이시패트릭 스미스1994년 3월
UFC 3무제한스티브 제넘헤럴드 하워드1994년 9월
UFC 4무제한호이스 그레이시댄 세번1994년 12월
UFC 5무제한댄 세번데이브 베네토1995년 2월
UFC 6무제한올렉 탁타로프탱크 애봇1995년 7월
UFC 7무제한마르코 후아스폴 발렌스1995년 8월
The Ultimate Ultimate무제한댄 세번올렉 탁타로프1995년 12월
UFC 8무제한돈 프라이개리 굿리지1996년 2월
UFC 10무제한마크 콜먼돈 프라이1996년 7월
UFC 11무제한마크 콜먼스캇 페로조1996년 9월
The Ultimate Ultimate 2무제한돈 프라이탱크 애봇1996년 12월
UFC 12헤비급비토 벨포트스캇 페로조1997년 2월
라이트급
(라이트헤비급)
제리 볼랜더닉 산조1997년 2월
UFC 13헤비급랜디 커투어스티븐 그라함1997년 5월
라이트급
(라이트헤비급)
가이 메츠거티토 오티즈1997년 5월
UFC 14헤비급마크 커댄 보비쉬1997년 7월
미들급
(라이트헤비급)
케빈 잭슨토니 프리클랜드1997년 7월
UFC 15헤비급마크 커드웨인 카슨1997년 10월
UFC Japan헤비급사쿠라바 카즈시마커스 실베이라1997년 12월
UFC 16라이트급
(웰터급)
팻 밀레티치크리스 브렌넌1998년 3월
UFC 17미들급
(라이트헤비급)
댄 핸더슨카를로스 뉴턴1998년 5월
UFC Japan 2미들급
(라이트헤비급)
야마모토 켄이치후이지 샤모지1999년 11월
UFC 41라이트급BJ 펜, 우노 카오루 (무승부)2003년 2월
UFC 152플라이급드미트리우스 존슨조셉 베나비데즈2012년 9월


7. 관련 문서[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2-12-21 01:23:54에 나무위키 UFC 역대 챔피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04 18:02:33에 나무위키 UFC 역대 챔피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랜디 커투어의 경우 라이트헤비급에서 1차 방어에 실패했다.[2] 이로 인해 타이 투이바사데릭 루이스, 프란시스 은가누 등 평체 130kg 이 넘는 선수들은 헤비급임에도 불구하고 큰 폭의 감량을 한다.[3] 이에 대해 전 챔피언이었던 케인 벨라스케즈가 입장을 밝혔는데 워낙 체중이 높은 체급이어서 그만큼 파워가 강하기 때문에 단 한 방으로도 경기 승패가 좌우되기 때문이라고 한다. 한마디로 한 선수가 경기내내 쭉 밀리다가 크게 한 방 터트리는 순간 바로 끝내버릴 수도 있다.[4] 비교적 세대교체가 빨리 이루어지는 경량급과는 달리 헤비급은 특성상 타고난 거대한 피지컬이 모인 체급이기에 선수 변화가 없다는 점이 크다.[5] 약물복용으로 타이틀을 박탈당한 건 바넷뿐이 아닌데 유독 바넷의 타이틀만 인정하지 않았던 것은 사실 약물복용은 핑계고 바넷과 UFC 사이의 오랜 기간에 걸친 불편한 관계 때문이라고 보는 시각이 있다.[6] '튜리나볼'이라는 스테로이드의 일종[7] 웰터급의 경우는 미국인의 평균적인 체급이 딱 이 위치에 있고 애초에 전세계 남성은 평균적으로 신체조건이 대략 라이트급이기 때문에 필연적으로 일어나는 현상일 수 밖에 없다. 당장 국내 선수의 다수가 페더~웰터급에 포진해있다.[8] 현재 과거 웰터급과 함께 공동으로 빡쎘던 헤비급은 선수층이 얇아지고 경쟁이 훨신 수월해졌지만, 웰터급은 여전히 빡세다.[9] 하빕 누르마고메도프가 이를 깨는가 싶었지만, 3차 방어에 성공한 후 은퇴를 선언하면서 훗날로 미뤄졌다.[10] UFC에서 두 체급 타이틀을 획득한 적이 있는 선수는 BJ 펜랜디 커투어가 있지만, 동시에 두 체급 타이틀을 가지고 있어 본 적이 있는 선수는 코너 맥그리거가 처음이다.[11] UFC사에서는 반납이라고 공표했지만, 코너 맥그리거의 코치 존 카바나와 맥그리거 본인에 의하면 UFC 206의 메인이벤트가 취소되면서 넘버링 대회에 맞는 타이틀전이 필요했는데, 할러웨이와 페티스의 경기를 타이틀전화 시키기 위해 잠정타이틀전으로 만들어야 했으나 조제 알도가 이미 페더급 잠정챔피언이므로 코너의 페더급 타이틀을 박탈하고 조제 알도를 공식 챔피언으로 승격시켰다고 한다. 존은, 코너가 페더급과 라이트급을 동시에 방어할 수 있는데 단지 UFC 206 메인이벤트만을 위하여 UFC 측에서 일방적으로 타이틀을 박탈시킨 것에 대해 매우 실망하였다고 전했다. 따라서 UFC 측에서 자신들의 대회 수익을 챙기기 위해 마치 코너가 타이틀을 반납하는 것처럼 만든 것.[12] 무리한 감량(두 번의 140lbs 계약 체중 매치)에 의한 건강 상의 이유 때문. 이뇨제 검출로 인해 약물 의혹을 샀으나, 신장 이상에 의한 합법적 이뇨제 사용으로 밝혀졌다.[13] 원래 시자라 유뱅크스가 결승에 진출했지만 감량 중 건강 문제로 계체에 실패하며 준결승에서 탈락한 모다페리로 교체됐다.[14] 셰브첸코는 중앙 아시아 국가인 키르기스스탄 출신이며 페루 국적도 가지고 있다.[15] 바로 위의 역대 여성 플라이급 챔피언 항목을 보면 알 수 있지만 아시아 최초는 발렌티나 셰브첸코이다.[16] 아톰급의 체중 상한선은 105파운드(47.6kg)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