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의옹주

덤프버전 :

조선의 후궁
{{{-1 [[틀:조선의 후궁(환조 ~ 연산군)|

환조 ~ 연산군
]]
[ 펼치기 · 접기 ]
역대 국왕 · 역대 왕비 · 중종 ~ 고종 후궁
※ 정식 후궁 첩지가 있는 사람만 기재





화의옹주 김씨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
대한제국의 후궁
{{{-1 [[틀:대한제국의 후궁(태조 ~ 고종)|
태조 ~ 고종
]]
[ 펼치기 · 접기 ]
추존
태조 고황제
]]
>
>
[[사도세자|{{{#ffd400
추존
장조 의황제
]]
>
>
[[정조(조선)|{{{#ffd400
추존
정조 선황제
]]
>
>
[[순조|{{{#ffd400
추존
순조 숙황제
]]
>{{{#!wiki style="padding: 5px 10px; border: 1px solid #403F95; border-radius: 0 0 4px 4px"숙의 박씨

[[헌종(조선)|{{{#ffd400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d400; font-size: .7em" 추존
헌종 성황제
]]{{{#!wiki style="padding: 5px 10px; border: 1px solid #403F95; border-radius: 0 0 4px 4px"경빈 김씨 · 정빈 윤씨 · 숙의 김씨

[[철종(조선)|{{{#ffd400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d400; font-size: .7em" 추존
철종 장황제
]]{{{#!wiki style="padding: 5px 10px; border: 1px solid #403F95; border-radius: 0 0 4px 4px"귀인 박씨 · 귀인 조씨 · 숙의 방씨 · 숙의 범씨 · 숙의 김씨

{{{#!wiki style="padding: 5px 10px; border: 1px solid #403F95; border-radius: 0 0 4px 4px"
순헌황귀비 엄씨 · 영보당 귀인 이씨 · 귀인 장씨 · 내안당 귀인 이씨 · 보현당 귀인 정씨 · 광화당 귀인 이씨 · 복녕당 귀인 양씨 · 삼축당 김씨 · 정화당 김씨
황제 · 추존 황제 · 황후 · 추존 황후
황태자 · 황태자비 · 칠궁 배향자 · 후궁 · 황자 · 황녀
※ 정식 후궁 첩지가 있는 사람만 기재





대한제국 태조의 후궁
화의옹주 김씨 | 和義翁主 金氏
조선 태조의 후궁
화의옹주 김씨 | 和義翁主 金氏
출생연대 미상
사망1429년 1월 18일
능묘미상
직위기간조선 화의옹주
1398년 1월 25일 ~ 1429년 1월 18일
[ 펼치기 · 접기 ]
본관미상
칠점선(七點仙)
배우자태조 고황제
자녀슬하 1녀
장녀 - 숙신옹주(淑愼翁主, ? ~1453)
봉작화의옹주(和義翁主)
1. 개요
2. 생애



1. 개요[편집]


조선 태조의 후궁. 이름은 칠점선(七點仙)으로 본래 김해관기 출신이었는데, 태조의 눈에 들어 후궁이 되었다.

2. 생애[편집]


1398년(태조 7) 화의옹주에 책봉되어 태조의 후궁이 되었다.[1] 태조와의 사이에서 딸 하나를 두었는데, 바로 숙신옹주다. 태조는 늦게 얻은 막내 딸을 예뻐하여 땅과 집을 주고, 그곳에서 자손들이 영원히 살 수 있도록 배려하였다.[2]

1428년(세종) 화의옹주가 죽자, 세종은 1쌀과 콩 30석과 종이 80권을 부조하였다.[3]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6 22:08:40에 나무위키 화의옹주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태조실록 13권, 태조 7년 1월 7일 을묘 1번째기사. # [2] 《숙신옹주가대사급성문(淑愼翁主家垈賜給成文)》으로 현재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소장하고 있다. [3] 세종실록 42권, 세종 10년 12월 14일 신묘 4번째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