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시 시내버스/목록 (r1판)

편집일시 :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전주시 시내버스

1. 개요
1.1. 간선노선 (1000~6000)
1.2. 순환노선 (1~9)
1.3. 시내 방면 노선(10~100)
1.4. 이서 방면 노선(200)
1.5. 삼례 방면 노선(300)
1.6. 구이ㆍ여의동 방면 노선(400)
1.7. 봉동 방면 노선(500)
1.8. 금구 방면 노선(600)
1.9. 상관·관촌(임실군) 방면 노선(700)
1.10. 소양 방면 노선(800)
1.11. 구이(모악산) 방면 노선(900)
1.12. 전주시 마을버스 노선
1.13. 특별 노선
1.14. 완주군 버스 노선(30~, 300)


1. 개요[편집]


* 모든 시내버스의 기점은 전주 시내에서 시작된다. 예외로, 300번은 고산이 기점이다.
  • 노선번호판이 노란색이면 모두 저상버스 노선이다.[1] 이전에는 순환버스를 나타내는 것으로 노란색 행선판을 사용하였는데, 현재는 100번, 101번, 3-1번, 3-2번, 61번, 72번, 119번, 165번, 190번, 309번, 970번이 저상노선으로 들어갔으나 현재는 대부분 간선버스로 이동하였다. 그러나 버스운영회사들의 저상버스 보유량 부족으로 여전히 일부 차량은 일반버스로 땜빵되고 있다. 근데 380, 381이나 383, 385는 주말/공휴일엔 감차된 저상버스가 투입되기도 한다.(가끔 535번과 752번에도 들어간다)
그리고 노선번호판이 파란색이면 간선노선이다. 간선노선은 거의 모든 차량이 수소전기버스와 저상버스노선이다.
  • 두 자리수 번호의 노선과 100번대의 번호를 가진 노선은 종점이 전주나 완주지역인 왕복노선이다. 단, 예외로 79번은 종점이 김제시 금산면 금산사다.
  • 이서회차지 방향 노선은 '이'서라서 200번 삼례 방향 노선은 '삼'례라서 30, 300번대, 봉동 방향 노선은 모음 두 개가 전부 ㅗ(오)여서 500번대, 소양방향 노선은 소팔러간다라는 유머가 있어서 800번대, 구이방향 노선은 '구'이라서 900번대 번호가 붙여졌다고 한다. 기사 실제 지명에도 삼례에는 3(參), 구이에는 9(九)가 들어간다.[2] 아주 예전엔 300번과 301번이 관촌노선 버스였다.
  • 일부 정류소의 이름이 2012년 10월에 바뀌었는데 평화동 종점은 과거 교도소였고 삼천동 종점은 과거 구통계청이었다.[3] 2017년 2월 20일 개편으로 농수산시장이 송천동종점으로 변경되었다.
  • 위에 서술하였던 성진여객의 준저상버스는 주로 375번, 380번, 381번, 383번, 385번에서 운행하며 원래 저상코스이던 100번과 101번에서도 볼 수 있다.
  • 2015년도 9월 이후에 출고된 대우준저상과 화이바 화이버드의 경우에는 저상노선 말고도 6번, 62번, 4-1번 같은 시내노선과 50번대, 200번대, 500번대, 800번대 같은 지선노선에도 투입되고 있다.
  • 아래의 노선 분류는 번호를 기준으로 임의대로 분류한 것이고, 공식적으로 발표된 것은 아니다. 실제 노선 배차상에서는 노선의 유형이나 투입되는 버스의 종류를 기준으로 시내선, 본선, 지선, 순환, 저상 등의 다른 분류로 구분된다. 기사님이 가지고 있는 배차표에 적혀있다. 장기 파업시기, 시청에 올라왔던 임시 시간표 엑셀파일에 보면 구분이 적혀있었다.
  • 전주시내 노선의 상세한 노선과 버스 위치 정보는 다음 사이트에 정리되어 있으니 참고하자. 전주시 교통정보센터
  • 더욱 더 자세하고 정확하게 움직이는 버스 정보는 jbus.kr에 나와있다. 실시간으로 움직이는 위치까지 포착 가능하다.
  • 완주군 농어촌버스는 완주군청 버스 정보 안내에 경유지와 시간표가 나와있다. 완주군청 버스 정보 이후 이 노선도 2017년 8월 1일에 개편이 이뤄졌다.
  • 현재 999번에서는 트롤리버스 형태의 명품버스[4]가 운행중이다.
  • 버스 노선 개편과 함께 무료 환승 시간이 30분 이내에서 10분 연장되어 40분 이내로 확대되었다.
  • 전주 시내버스는 노선 수가 매우 많기 때문에 목적지로 가는 버스가 여러 대 있어도 노선도를 보고 알기가 어려웠다. 그런데 이번에 전주시에서 아래와 같은 통합 노선도를 제작, 부착함에 따라 이러한 불편이 줄어들 예정이다.
파일:전주시 통합노선도900.jpg
하지만 현재는 900번대는 970번 하나만 남아있다.
  • 주말, 휴일엔 남부시장을 거쳐 서부시장으로 가는 버스노선(평화동 가는 노선과 완산경찰서 앞으로 경유하는 500번대를 제외한 대부분)을 탈 땐 마음을 비우도록 하자. 한옥마을 관광객들이 풍남문에 주차→버스가 풍남문을 못 돌고 갇혀버림의 헬게이트가 일어나기 십상. 30분 이상 풍남문 앞에 갇혀있을 때도 있다. 마의 풍남문 구간을 통과했어도 시장구간 진입 시 불법주차 + 반대편에서 오는 차들로 인해 또 20여분 갇혀버릴 수도 지금은 야시장 기간에 한해서 금요일 오후 토요일 전일 완산경찰서 앞으로 우회한다.[5]


1.1. 간선노선 (1000~6000)[편집]


파일:전주시 CI_White.svg 전주시 시내버스 간선노선 1000~6000번대
번호기점주요 경유지종점배차간격운행회사
1001평화동 종점평화주공ㆍ전동성당ㆍ중앙시장ㆍ전북대ㆍ추천대교ㆍ여의동우체국ㆍ삼례터미널우석대28분성진여객
1002평화동 종점평화주공ㆍ전동성당ㆍ중앙시장ㆍ전북대ㆍ추천대교ㆍ여의동우체국ㆍ삼례터미널우석대28분제일여객
2001평화동 종점평화주공 ㆍ화산체육관ㆍ전북대정문,덕진소방서ㆍ대학병원ㆍ전주역ㆍ에코시티ㆍ송천정보학교송천동 종점14분시민여객 제일여객
2002평화동 종점평화주공 ㆍ화산체육관ㆍ전용리 ㆍ서신동주민센터ㆍ이마트ㆍ 전북대정문,덕진소방서ㆍ대학병원ㆍ전주역ㆍ에코시티ㆍ송천정보학교송천동 종점14분시민여객 제일여객
3001송천동 종점송천대명아파트ㆍ전라북도경찰청ㆍ전라북도청ㆍ전라북도교육청,동암고ㆍ양지중학교ㆍ평화그린1차아파트평화동 종점20분전일여객 호남고속
3002송천동 종점송천대명아파트ㆍ전라북도경찰청ㆍ전라북도청ㆍ전주대 ㆍ비전대삼천동 종점20분전일여객 호남고속
4000전주대캠퍼스예수병원ㆍ충경로 객사ㆍ동부시장ㆍ중앙여고ㆍ고용노동부 전주지청ㆍ동부시장ㆍ충경로 객사 ㆍ예수병원전주대캠퍼스10분호남고속
5001전주대캠퍼스전라북도경찰청ㆍ전북대ㆍ고속시외터미널ㆍ중앙시장 ㆍ완산동시외버스정류소ㆍ서부시장ㆍ이동교ㆍ호남제일고전주대캠퍼스10분성진여객
5002전주대캠퍼스호남제일고ㆍ이동교ㆍ서부시장ㆍ완산동시외버스정류소ㆍ중앙시장ㆍ전북대ㆍ전라북도경찰정ㆍ호남제일고전주대캠퍼스10분성진여객
6001비전대전주대정문ㆍ서곡초교ㆍ한국건강관리협회ㆍ전북대ㆍ전주시청ㆍ동부시장ㆍ예수병원ㆍ효천초교비전대12분전일여객
6002비전대효천초교ㆍ예수병원ㆍ동부시장ㆍ전주시청ㆍ한국건강관리협회ㆍ서곡초교ㆍ전주대정문비전대12분제일여객
  • 버스 측면 행선지 판에서 파란색으로 포인트를 줬다[6]
  • 거의 모든 차량이 저상버스로 이루어져 있다.
  • 일반선 출신 수소버스들이 모두 간선으로 이동하였다.
  • 10분마다 한대배차로 홍보중이나 실제 시간표를 보면 8분에 한대씩이다.

1.2. 순환노선 (1~9)[편집]


파일:전주시 CI.svg 전주시 시내버스 순환노선 1~9번대
번호기점주요 경유지종점배차간격운행회사
3-1전주대전북경찰청ㆍ법원.검찰청ㆍ전북대학교ㆍ모래내시장ㆍ풍남문ㆍ완산구청ㆍ전북경찰청전주대20분전일여객
3-2전주대전북경찰청ㆍ완산구청ㆍ풍남문ㆍ모래내시장ㆍ전북대학교ㆍ법원.검찰청ㆍ전북경찰청전주대20분전일여객
6전주대보훈지청ㆍ전북도청ㆍ모래내시장ㆍ전주역ㆍ안골전주대22분제일여객
8-1전북대사대부고ㆍ북일초교ㆍ노동사무소ㆍ중앙여고ㆍ병무청ㆍ동부시장ㆍ중앙시장ㆍ금암광장전북대25분호남고속
8-2전북대금암광장ㆍ중앙시장ㆍ동부시장ㆍ병무청ㆍ중앙여고ㆍ노동사무소ㆍ북일초교ㆍ사대부고전북대25분호남고속

  • -1은 시계방향 노선, -2는 반시계방향 노선이다.
  • 6번의 경우 순환노선에 들어가지만 다른 순환버스와 달리 P턴 형태로 운영된다.
  • 2017.2.20 개편 후 두세 자리 순환노선이 다 잘려나가면서 순환버스에는 한 자리 수 노선만 남게 되었다.


1.3. 시내 방면 노선(10~100)[편집]


파일:전주시 CI.svg 전주시 시내버스 10~100번대
번호기점주요 경유지종점배차간격운행회사
19호동국립전주박물관ㆍ안행교ㆍ전북대ㆍ예비군훈련장ㆍ전당리회룡85분호남고속
54평화동 종점완산여고ㆍ전동성당ㆍ모래내시장ㆍ고당마을ㆍ상운리ㆍ신봉리완주군청75~80분제일여객
55평화동 종점완산여고ㆍ전동성당ㆍ모래내시장ㆍ고당마을ㆍ상운리오천80분제일여객
56평화동 종점완산여고ㆍ전동성당ㆍ모래내시장ㆍ청년회의소ㆍ효천설경160분제일여객
57평화동 종점완산여고ㆍ전동성당ㆍ모래내시장ㆍ구억마을ㆍ용암설경160분제일여객
58평화동 종점완산여고ㆍ전동성당ㆍ모래내시장ㆍ용진ㆍ신기마을서계75~80분제일여객
61전주비전대국립전주박물관ㆍ안행교ㆍ남부시장ㆍ서신동주민센터ㆍ전북경찰청ㆍ전북도청전주대15~20분성진여객 제일여객 호남고속
62삼산리국립전주박물관ㆍ전북도교육청ㆍ금암광장ㆍ전북도립국악원ㆍ예비군훈련장진조리30~66분시민여객
74평화동종점삼천동ㆍ안행교ㆍ전주대ㆍ혁신도시ㆍ하나로클럽ㆍ서신동전북대종점33~37분제일여객 호남고속
75평화동종점삼천동ㆍ효천지구ㆍ전주대ㆍ혁신도시ㆍ하나로클럽ㆍ서신동전북대종점41~88분성진여객 호남고속
79전주역고속버스터미널ㆍ전동성당ㆍ안행교ㆍ용강마을ㆍ청도리금산사23~26분성진여객
87원당리신성양로원ㆍ완산소방서ㆍ전동성당ㆍ전북도립국악원ㆍ송천삼거리송천동종점80분제일여객
89중인리용산리ㆍ완산소방서ㆍ전동성당ㆍ전북도립국악원ㆍ송천초교송천동종점24~50분제일여객
101평화동종점완산여고ㆍ전동성당ㆍ예수병원ㆍ이마트ㆍ여의동ㆍ팔복동ㆍ전북대ㆍ사대부고사거리ㆍ청년회의소ㆍ기린중전주역종점28분성진여객 전일여객
102전주시양묘장인봉초교ㆍ기자촌ㆍ중앙시장ㆍ시외고속터미널ㆍ이마트ㆍ하가부영Aㆍ도립국악원송천동종점30분전일여객
103-1송천동종점여의역ㆍ반월초교ㆍ여의동우체국ㆍ도립국악원ㆍ호성동주민센터ㆍ명주골네거리 대자인병원ㆍ중앙여고전주시양묘장27~57분전일여객
103-2전주시양묘장중앙여고ㆍ명주골네거리 대자인병원ㆍ호성동주민센터ㆍ도립국악원ㆍ여의동우체국ㆍ반월초교ㆍ여의역송천동종점24~56분전일여객
104평화동종점완산소방서ㆍ효자휴먼시아Aㆍ비전대ㆍ전북도청ㆍ이마트ㆍ전북대ㆍ전라고송천동종점20분성진여객 시민여객
108전주대완산구청ㆍ객사ㆍ모래내시장ㆍ전주역ㆍ전라고송천동종점35~40분성진여객 시민여객
110비전대학교전주대학교ㆍ온빛중ㆍJTVㆍ전북대ㆍ기린대로 전주시청ㆍ전동성당 한옥마을ㆍ교육대학교대성동종점28분전일여객
112신덕마을박물관ㆍ서부시장ㆍ전동성당ㆍ전주역ㆍ고당마을진조리150분전일여객
119전주대안행교ㆍ법원.검찰청ㆍ전북대ㆍ전주역ㆍ모래내시장ㆍ전주시청ㆍ남부시장ㆍ장교리평화동종점20~25분제일여객 호남고속
121원상림전주대ㆍ안행교ㆍ전동성당ㆍ인후초교ㆍ관암마을재전170~175분시민여객
131삼천동종점국립전주박물관ㆍ전북도교육청ㆍ금암광장ㆍ예비군훈련장ㆍ미산초교진기마을종점77~83분시민여객
149호동마을전북도교육청ㆍ금암광장ㆍ전북도립국악원ㆍ예비군훈련장ㆍ백석마을진조리80분시민여객
165이서회차지온빛중ㆍ전주대ㆍ전북도청ㆍ평화주공ㆍ전동성당ㆍ전북도립국악원동물원13~20분성진여객 호남고속 시민여객

  • 대부분 전주시계 내에서만 운행하는 노선이지만 54번에서 58번,[7] 72번은 이서면, 79번은 김제 금산사가 종점이다. 이 번호대역의 노선은 2003년 이전 번호체계가 확립되지 않았던 시절의 흔적으로 보이는데,[8] 시내 방면이라는 이름이 붙은 것은 배차시의 내부 구분 중에 하나인 시내선에서 따온 것일 가능성이 있다.
  • 2014년 1월 이후로 중인리~전북도립미술관을 주말에만 운행하던 93번 노선이 폐지되었다. 모악산 근처에 갈 일이 있다면 기존의 970번 등을 이용하도록 하자. 사실 있는지 없는지조차 티가 나지도 않았다.
  • 2015년 3월 14일 노선 개편 당시, 69번과 70번이 홍산초교와 하가지구를 경유하게 되었는데, 같은 만성동이지만 69번은 전주방송 앞에서 출발하며 70번은 조금 떨어진 두현마을에서 출발하며 국민연금공단 앞으로 경유했다. 그러다가 2015년 12월 2일 이후로 69번과 70번 모두 만성동에서 출발하여 국민연금공단을 경유하게 되었다. 그러나 2017년 2월 20일 개편으로 70번은 폐선되었으며 69번은 만성동이 아닌 평화동종점에서 출발하게 되었다.
  • 2015년 12월 2일 노선 개편으로 기존의 165번이 전주대에서 국립식량과학원으로 연장 운행되었다. 이 때부터 2019년까지 165번에 헬게이트가 열렸다.
  • 2021년 6월 26일부터 노선개편으로 기존의 165번이 국립식량과학원에서 이서회차지까지 연장 운행하였다. 가뜩이나 미어터지는데 이서까지 왜 연장하는지 의문..


1.4. 이서 방면 노선(200)[편집]


파일:전주시 CI.svg 전주시 시내버스 200번대
번호기점주요 경유지종점배차간격운행회사
200기린봉마당재ㆍ전주고용노동지청ㆍ중앙여고ㆍ동부대로 전주역ㆍ시외버스터미널ㆍ이마트 ㆍ효자로 도청ㆍ전주대학교ㆍ온빛중ㆍ삼우중이서회차지28분성진여객
220-1이서회차지삼우중ㆍ한국전기안전공사ㆍ혁신상가상거리ㆍ만성초교ㆍ시외고속간이터미널ㆍ여의동우체국.전북은행ㆍ농촌진흥청ㆍ전주대학교비전대학교75분성진여객
220-2비전대학교전주대학교 ㆍ농촌진흥청ㆍ여의동우체국.전북은행ㆍ시외고속간이터미널ㆍ만성초교ㆍ한국전기안전공사ㆍ혁신에코르3차아파트ㆍ삼우중이서회차지75분성진여객


1.5. 삼례 방면 노선(300)[편집]


파일:전주시 CI.svg 전주시 시내버스 300번대
번호기점주요 경유지종점배차간격
309평화동 종점삼천동ㆍ안행교ㆍ덕진경찰서ㆍ면허시험장ㆍ구중리우석대15분
337전주시양묘장인후육거리ㆍ전주역ㆍ전북대병원ㆍ전일여객ㆍ구중리ㆍ삼례시장우석대30분
350평화동 종점완산여고ㆍ전주시청ㆍ전북도립국악원ㆍ환경사업소ㆍ신복리삼례터미널43분
354전주비전대전주대정문ㆍ완산구청ㆍ예수병원ㆍ전북대학교ㆍ전라고ㆍ삼례시장우석대50분
355전주대전북도청ㆍ완산구청ㆍ객사ㆍ금암광장ㆍ전북대ㆍ메가월드ㆍ동원A삼례터미널43분
383전주비전대효천지구ㆍ삼천주공4.5단지ㆍ객사ㆍ중앙시장ㆍ전북대ㆍ조촌초교우석대24분
385전주대효자엘드Aㆍ효자광장ㆍ객사ㆍ원대한방병원ㆍ반월초교우석대25분
386전주대효자엘드Aㆍ효자광장ㆍ객사ㆍ전북대ㆍ전주공고ㆍ우석대쌍정180분


1.6. 구이ㆍ여의동 방면 노선(400)[편집]


파일:전주시 CI.svg 전주시 시내버스 400번대
번호기점주요 경유지종점배차간격
401상하보동적골ㆍ전동성당ㆍ전주시청ㆍ전북대ㆍ여의동우체국ㆍ월반월마을월드컵경기장88분
402상하보동적골ㆍ전동성당ㆍ전주시청ㆍ전북대ㆍ여의동우체국ㆍ월반월마을월드컵경기장88분
403화원동적골ㆍ전동성당ㆍ전주시청ㆍ전북대ㆍ여의동우체국ㆍ월반월마을월드컵경기장88분
410흑석골공수내다리ㆍ전주시청ㆍ금암광장ㆍ조촌초교ㆍ성덕춘강40~80분
420중인동장교리ㆍ완산소방서ㆍ서부시장ㆍ중앙시장ㆍ전북대ㆍ여의동월드컵경기장45~55분
430낙수정기린봉ㆍ전주교대ㆍ중앙시장ㆍ전북대ㆍ전주ICㆍ성덕(용지) 백구82~120분

노선을 통합하면서 배차가 이전보다 나아졌다.


1.7. 봉동 방면 노선(500)[편집]


파일:전주시 CI.svg 전주시 시내버스 500번대
번호기점주요 경유지종점배차간격
508평화동 종점중앙시장ㆍ전주역ㆍ용진ㆍ봉동터미널ㆍ신봉리원구암200분
511전주대효자광장ㆍ전주시청ㆍ모래내시장ㆍ전주역ㆍ용진ㆍ봉동터미널용화마을200분
513전주대안행교ㆍ전주시청ㆍ전주역ㆍ완주군청ㆍ봉동터미널ㆍ화정마을양아리200분
514전주대안행교ㆍ전주시청ㆍ전주역ㆍ완주군청ㆍ봉동터미널ㆍ완주경찰서코아루2차아파트400분
515전주대안행교ㆍ전주시청ㆍ전주역ㆍ용진ㆍ봉동터미널추동200분
520전주대안행교ㆍ전주시청ㆍ전주역ㆍ완주군청ㆍ봉동터미널ㆍ완주경찰서봉동주공200~400분
521전주대안행교ㆍ전주시청ㆍ전주역ㆍ완주군청ㆍ봉동터미널ㆍ완주경찰서ㆍ봉동주공후와리400분
522전주대서부시장ㆍ전주시청ㆍ전주역ㆍ용진ㆍ완주군청ㆍ봉동터미널코아루2차아파트100분
535전주대동부시장ㆍ전주시청ㆍ전주역ㆍ용진ㆍ봉동터미널ㆍ어우리고산터미널22~23분
536평화동 종점전동성당ㆍ전북대병원ㆍ전주역ㆍ용진ㆍ봉동터미널ㆍ역기마을제촌107~108분
541전주대안행교ㆍ전주시청ㆍ모래내시장ㆍ전주역ㆍ용진ㆍ완주경찰서ㆍ현대자동차신하리200분
542평화동 종점남부시장ㆍ전주덕진소방서ㆍ전주역ㆍ용진ㆍ봉동읍사무소ㆍ금강고려화학코아루2차아파트200분
543전주대병무청ㆍ전주시청ㆍ전주역ㆍ완주군청ㆍ봉동터미널ㆍ청완초교코아루2차아파트50분
545평화동 종점전동성당ㆍ전북대병원ㆍ전주역ㆍ용진ㆍ봉동터미널ㆍ장구리ㆍ백제예술대학교비봉51~81분
546평화동 종점전동성당ㆍ전주덕진소방서ㆍ전주역ㆍ용진ㆍ봉동터미널ㆍ죽산마을ㆍ비봉백제예술대학교200분
554삼천동종점전북도교육청ㆍ예수병원ㆍ객사ㆍ전북대ㆍ전북도립국악원ㆍ장포리ㆍ금강고려화학코아루2차아파트45분~60분
559삼천동종점전북도교육청ㆍ예수병원ㆍ 객사ㆍ금암광장ㆍ농수산시장ㆍ청완초교ㆍ현대자동차코아루2차아파트45분~60분

554번이나 559번 같은 경우 다른 노선들과 다르게 봉동 읍내를 거치지 않고 송천동을 경유해서 3공단으로 직행한다. 이전에는 끝자리 숫자가 1인 511, 541, 551번 버스는 차량등록사업소가 아닌 호성중과 기린원을 지나가는 규칙이 있었으나, 노선 개편 후에는 규칙이 깨져 515, 520, 521, 522, 541, 543번이 호성중과 기린원을 경유한다.


1.8. 금구 방면 노선(600)[편집]


파일:전주시 CI.svg 전주시 시내버스 600번대
번호기점주요 경유지종점배차간격운행회사
644감수리전북대ㆍ풍남문ㆍ국립전주박물관ㆍ금구ㆍ양지마을원평200분호남고속
684[9]감수리전북대ㆍ전동성당ㆍ국립전주박물관ㆍ마동ㆍ대율리금구24분호남고속
685감수리전북대ㆍ전동성당ㆍ국립전주박물관ㆍ마동ㆍ대율리오봉리1일 2.5회호남고속

1.9. 상관·관촌(임실군) 방면 노선(700)[편집]


파일:전주시 CI.svg 전주시 시내버스 700번대
번호기점주요 경유지종점배차간격운행회사
752송천동종점성원무지개아파트ㆍ금암광장ㆍ전주시청ㆍ전동성당ㆍ상관면사무소ㆍ죽림온천ㆍ남관관촌터미널25분전일여객


1.10. 소양 방면 노선(800)[편집]


파일:전주시 CI.svg 전주시 시내버스 800번대
번호기점주요 경유지종점배차간격운행회사
810평화동 종점삼천삼익아파트.막걸리골목ㆍ예수병원ㆍ중앙시장ㆍ모래내시장ㆍ전주역소양회차지50분성진여객
820이서회차지전주대학교ㆍ안행교ㆍ전동성당ㆍ중앙시장ㆍ모래내시장ㆍ고려병원소양회차지28~60분성진여객

1.11. 구이(모악산) 방면 노선(900)[편집]


파일:전주시 CI.svg 전주시 시내버스 900번대
번호기점주요 경유지종점배차간격운행회사
970송천동종점전북도립국악원ㆍ남부시장ㆍ평화주공4.5단지ㆍ원석구마을ㆍ구이중전북도립미술관20분전일여객


1.12. 전주시 마을버스 노선[편집]


파일:전주시 CI_White.svg 전주시 마을버스 바로온
번호기점환승거점종점운영 회사
조촌40고잔, 신유강여의동우체국월드컵경기장전주시
조촌42용신, 월곡, 서당여의동우체국월드컵경기장전주시
조촌42-1용덕마을여의동우체국월드컵경기장전주시
조촌43홍개, 팔선여의동우체국월드컵경기장전주시
조촌44청복, 방죽안여의동우체국월드컵경기장전주시
조촌45덕동(신기)여의동우체국월드컵경기장전주시
조촌48신기(덕동)여의동우체국월드컵경기장전주시
조촌49오신, 원화전, 암실여의동우체국월드컵경기장전주시
여의41삼화여의동우체국월드컵경기장(갈동)전주시
혁신46월드컵경기장월드컵경기장월드컵경기장전주시
만성47월드컵경기장월드컵경기장월드컵경기장전주시
금암30어린이창의체험관모래내시장어린이창의체험관전주시
인후31어린이창의체험관모래내시장어린이창의체험관전주시
우아80산재마을모래내시장금상동전주시
우아81소양전주역모래내시장전주시
동서학12고덕, 내원당풍남문남부시장전주시
동서학13원색장, 은석풍남문남부시장전주시
동서학14사대마을, 치명자산풍남문남부시장전주시
동서학16삼경사풍남문남부시장전주시
평화10추동(완산생활체육공원)평화코오롱아파트평화코오롱아파트전주시

파일:바로온시범운영.jpg
시범운영 당시 홍보사진

파일:전주바로온카운티.jpg
현대 카운티 뉴브리즈 일렉트릭 차량

전주시 마을버스의 이름은 바로온이며, # 2020년 11월 14일부터 주로 버스가 다니지 않는 농촌마을 위주로 마을버스가 도입되었다. 이에 따라 마을 버스가 다니는 기존 노선도 같이 개편되었다. 자세한 개편 사항은 2021년 6월 전주 시내버스 개편 참조.

BIS에는 노선번호로, 노선번호가 일반버스와 겹치는 경우는 노선번호-1로 나온다. 예를 들어 동서학14번은 14, 인후31번은 31-1번으로 검색해야 한다.


1.13. 특별 노선[편집]


파일:전주시 CI.svg 전주시 시내버스 특별노선
번호기점주요 경유지종점배차간격운행회사
999동물원전주역ㆍ시외버스터미널ㆍ중앙시장ㆍ전동성당ㆍ평화주공1.2단지ㆍ삼천새경아파트ㆍ우전초교ㆍ전라북도교육청,동암고국립전주박물관55분성진여객 제일여객
시민여객 호남고속
1994시내 각 구간주요 정류장 경유전주월드컵경기장유동적-
1994번은 전북 현대 모터스의 주말 홈경기가 있는 날 한정으로 운영되는 특별 노선이며, 보통 경기시작 2시간 전부터 10~20분 간격으로 전반 종료시까지 운행하고, 경기 종료 후 5분 뒤부터 10분 간격으로 반대방향으로 5~6회 운행한다.

2016년 5월 4일부로 999번[10] 노선이 신설되었다. 자세한 것은 문서 참고.


1.14. 완주군 버스 노선(30~, 300)[편집]




파일:전주시 CI.svg 전주시 시내버스 완주지선 30번대
번호기점주요 경유지종점배차간격운행회사
30삼례터미널삼례터미널 ↔ 삼례대영A ↔ 삼례동원A ↔ 삼례중 ↔ 석전리 ↔ 청완초교 ↔ 중앙공원 ↔ 현대자동차 ↔ 뷰텍 ↔ 봉서초교코아루2차A120분전일여객
31 [순환]삼례터미널삼례터미널 → 서여 → 삼례주공A → 삼례중 → (농원) → 월산리 → 학동마을 → 정산마을 → 원구암 → 청등마을 → 신정리 → 원석전 → (농원) → 삼례중 → 삼례주공A → 서여삼례터미널35~85분전일여객
32삼례터미널삼례터미널 ↔ 삼례대영A ↔ 삼례동원A ↔ 청완초교 ↔ 중앙공원 ↔ 둔산코아루2차A ↔ 제네리 ↔ 새터 ↔ 백제대비봉120분전일여객
33삼례터미널삼례터미널 ↔ 삼례대영A ↔ 삼례동원A ↔ 와리 ↔ 신서마을 ↔ 고천마을 ↔ 신덕마을 ↔ 신상마을 ↔ 완주경찰서 ↔ 봉동터미널 ↔ 완주중봉동주공A120분호남고속
34삼례터미널삼례터미널 ↔ 삼례대영A ↔ 삼례동원A ↔ 청완초교 ↔ 하구미리 ↔ 상구미리 ↔ 완주중 ↔ 봉동터미널[11]봉동주공A60분호남고속
34-1삼례터미널해전 ↔ 삼례역 ↔ 삼례터미널 ↔ 삼례대영A ↔ 삼례동원A ↔ 청완초교 ↔ 하구미리 ↔ 상구미리 ↔ 완주중 ↔ 봉동터미널봉동주공A60분호남고속
35삼례공영터미널삼례대영아파트 - 삼례동원아파트 - 삼례중 - 청완초교 - 하구미리 - 상구미리 - 완주중 - 봉동터미널 - 완주경찰서 - 마그내다리 - 용진대영아파트 - 율소리 - 어우리 - 고산고고산여객자동차터미널1일 7회시민여객
36삼례공영터미널삼례대영아파트 - 삼례동원아파트 - 삼례중 - 청완초교 - 하구미리 - 상구미리 - 완주중 - 봉동터미널 - 봉동주공아파트 - 마그내다리 - 용진대영아파트 - 율소리 - 어우리 - 고산고고산여객자동차터미널1일 7회시민여객

2021년 6월 26일 첫차부터 이서에서 비전대로 가는 20번대가 폐지되고 완주군 마을버스가 신설되었다. 점차 지역을 늘려나갈 예정이다.

삼례 지선(30번대) 및 간선버스도 여기에서 볼수 있다. 또한 300번은 고산터미널을 기점으로 전주순환, 고산면 이북 지역(고산면, 비봉면, 경천면, 화산면, 동상면, 운주면)을 운행하는 노선이다. 자세한건 문서 참조.


1.15. 폐선된 노선[편집]


전주시 시내버스/폐선 참조.
[1] 6번의 경우에는 일반버스로 운행되었지만 2016년 5월 8일자로 저상버스로 변경되어 운행되고 있다. 그러나 2017년 대개편 이후 다시 일반버스로 환원되었다.[2] 다만 삼례는 원래부터 지명에 숫자가 들어갔지만, 구이는 원래 龜耳였다가 일제시대 지명개정으로 간소화당한 것이다.[3] 2013.8.5 부로 (구)삼천동 종점은 폐쇄되었다. (구)삼천동 종점을 기점으로 삼던 노선은 전주가족랜드나 전주비전대로 종점이 바뀌었다... 가 전주가족랜드 정류장이 삼천동 종점으로 바뀌었다.[4] 2015년식 뉴 슈퍼 에어로시티 디젤 차량을 개조한 것이다. 전일여객을 제외한 4개 회사가 1대씩(2099, 1579, 1785, 1999) 보유하고 있다.[5] 하지만 저 노선을 이용하는 대다수의 시민들, 기사님들은 차라리 금요일 토요일처럼 구도청 앞 혹은 반대노선의 역으로 싸전다리를 건너서 시립도서관 앞을 지나는 전주천변으로 우회하고 남부시장통과 노선이 없어졌으면 하는 마음이 많으나 시장상인들의 반대로 없어지질 못한다고 한다.[6] 파일:전주 간선버스 행선판.png[7] 50번대는 과거에는 중형노선으로, 지금은 지선으로 분류되며 50번대는 300번, 400번 등과 같은 용진읍에 부여된 특수한 번호라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8] 실제로 저 노선들 중 상당수는 이전부터 계속 있던 노선과 번호인 경우가 많다. 79번이나 88번은 1980년대부터 번호와 노선이 같았고, 119번은 번호는 그대로이고 종점지가 이전 종점지에서 약간 이동하긴 했으나 대동소이한 나름 전통과 역사를 자랑하는 노선들... 기타 80번대 중인리 방면 노선들은 90년대 이후에 만들어진 노선과 노선번호를 그대로 가지고 있으니 앞에 노선들보다는 덜 하지만 그래도 나름 전통있는 노선들이다.[9] 신성리 2회 지원운행.[10] 원래 1000번으로 신설되었다가 2022년 2월 전주 시내버스 개편에서 간선노선과 구분을 위해 1을 뺀 999번으로 변경되었다.[순환] [11] 구만리 - 완주군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