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포1동

덤프버전 :

||


광주시행정동
오포1동
五浦一洞 | Opo 1(il)-dong
광역자치단체경기도
기초자치단체광주시
행정표준코드5540311
관할 법정동고산동, 문형동, 추자동
하위 행정구역14통 71반
면적16.02㎢
인구21,497명[1]
인구밀도1,341.89명/㎢
정치
[ 펼치기 · 접기 ]

국회의원 | 광주시 을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임종성 (재선)
경기도의원 | 제3선거구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오창준 (초선)
광주시의원 | 다 선거구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최서윤 (초선)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황소제 (재선)

행정복지센터오포로859번길 29[2]
오포1동 행정복지센터
1. 개요
2. 특징
3. 관할 법정동
3.1. 고산동
3.2. 문형동
3.3. 추자동
4. 교통
4.1. 철도
4.2. 버스


1. 개요[편집]


경기도 광주시의 법정동이자 행정동.


2. 특징[편집]


2022년 9월, 오포읍이 4개의 행정동으로 분리되어서 추자리, 문형리, 고산리가 그대로 법정동으로 전환되어 오포1동에서 관할하게 되었다.

3. 관할 법정동[편집]



3.1. 고산동[편집]


광주시법정동
고산동
高山洞 | Gosan-dong

광역자치단체경기도
기초자치단체광주시
행정표준코드4161011400
관할 행정동오포1동
면적4.48㎢

파일:opo_gosanri.jpg
고산동의 공동주택 풍경. 좌측은 현재 건설중인 더샵오포센트리체아파트, 우측은 우림아파트이다.

행정구역 개편시에 고잠리(高蠶里)와[3] 허산리(許山里)를[4] 묶어 '고산리'로 부르게 되었다. 그것은 이 마을 뒷산인 문형산(文衡山)이 높다는 뜻으로도 우연히 일치하게 되었다. 출처

2021년 5월 기준 인구 3,160명. 태전동과 붙어있고, 태전지구와 연담화 한 고산지구가 한창 조성 중이다. 현재는 옛 오포읍권에서 인구가 가장 적은 동네이지만 앞으로 인구가 폭발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그만큼 큰 발전이 기대되는 동네이다.



3.2. 문형동[편집]


광주시법정동
문형동
文衡洞 | Munhyeong-dong

광역자치단체경기도
기초자치단체광주시
행정표준코드4161011700
관할 행정동오포1동
면적7.57㎢

파일:opo_munhyungri.jpg
문형동 봉골길과 오포우림퓨전빌아파트

고려조 말에 어느 예문관 대제학(大堤學)이 내려와 이곳에 쉬면서 마을 주위의 경치가 하도 아름다워 이 산을 문형산이라 하였고 이 후에 이 마을을 또한 '문형리'라 하게 되었다.문형이라 뜻은 대제학의 별칭이다. 본래는 이 산에 문수보살을 모셨다고 하여 문수산(文殊山)이라고 하였었는데, 앙불숭유(仰佛崇儒)에서 명칭이 바뀌었던 것이다. 출처

2021년 5월 기준 인구 9,903명. 문형리 남쪽은 모현읍 동림리와 상권이 이어져 있다. 옛 오포읍의 중앙부에 위치한 덕분에 광주시내, 성남, 그리고 용인까지 모두 손쉽게 다닐 수 있다. 이런 지리적 요건 덕분에 많은 기업들의 물류창고가 문형동에 있다.

  • 오포 우림퓨전빌 아파트(498세대)
  • 신영 프로방스 아파트
  • 오포문형 양우내안애 아파트


3.3. 추자동[편집]


광주시법정동
추자동
楸自洞 | Chuja-dong

광역자치단체경기도
기초자치단체광주시
행정표준코드4161011800
관할 행정동오포1동
면적3.84㎢

파일:opo_chujari.jpg
추자동의 공동주택인 서희스타힐스아파트

행정구역 통·폐합 시에 자연부락인 추곡리(楸谷里)와 자작리(自作里)를[6] 합하여 '추자리'라 부르게 되었다. 출처

2021년 5월 기준 인구 4,960명. 과거 오포읍사무소였던 오포1동 행정복지센터 소재지로 전형적인 시골마을 읍소재지의 느낌이 물씬 나는 지역이다. 다만 태전-고산지구와 매우 가깝기 때문에 향후 발전 가능성이 높은 동네라고 할 수 있다.

다만 오포로나 추자길이 왕복 3차로나 2차로 정도의 좁은 도로라서 장차 좀 더 넓은 도로가 필요하다. 오포로를 따라 여러 공장들과 창고, 컨테이너 제조업체, 공업사가 입점해있다.




4. 교통[편집]



4.1. 철도[편집]


  • 광주시내(경안동) 쪽으로 가는 시내버스들을 이용해 파일:GyeonggangLine_icon.svg 경기광주역을 오갈 수 있다.
  • 죽전 쪽으로 가는 시내버스나 마을버스들을 이용해 파일:SBLine_icon.svg 보정역, 죽전역, 오리역을 오갈 수 있다.
  • 분당 쪽으로 가는 시내버스나 직행좌석버스들을 이용해 파일:SBLine_icon.svg 서현역, 파일:SinbundangLine_icon.svg파일:GyeonggangLine_icon.svg 판교역을 오갈 수 있다.


4.2. 버스[편집]


KD 운송그룹의 사실상 독점 구역이다.

동네마다 경유하는 버스는 다르지만, 광주 시내는 물론 서울[7]과 성남, 분당, 수원, 용인 등 다양한 행선지가 있어 버스로 이동할 수 있는 지역은 매우 다양한 편이다.

노선번호기점주요 경유지종점버스회사배차간격(분)비고
1150한국외대문형동ㆍ신현동ㆍ서현역ㆍ판교역ㆍ경부고속도로ㆍ순천향대병원ㆍ을지로입구역서울역버스환승센터20~30경기고속용인시 면허
1151오산리능평동ㆍ신현동ㆍ서현역ㆍ판교역ㆍ경부고속도로강남역8~10대원버스
1500-2에버랜드포곡읍ㆍ한국외대ㆍ신현동ㆍ서현역ㆍ판교역ㆍ경부고속도로ㆍ남부터미널ㆍ예술의 전당사당역12~20대원고속
3201광주터미널경기광주역ㆍ고산동ㆍ태전지구ㆍ3번 국도ㆍ양재역ㆍ경부고속도로ㆍ순천향대학병원ㆍ서울시청서울역버스환승센터15~40경기고속

노선번호기점주요 경유지종점버스회사배차간격(분)비고
14-3모현읍행정복지센터외대사거리ㆍ문형동ㆍ동림리ㆍ능원리오산리1일 7회경남여객용인시 면허
17송정동광주터미널ㆍ신현동ㆍ효자촌ㆍ서현역ㆍ야탑역ㆍ모란역ㆍ단대오거리역금광동15~40경기고속
17-1송정동경기광주역ㆍ양벌동ㆍ문형동ㆍ신현동ㆍ야탑역ㆍ모란역ㆍ단대오거리역금광동30~120경기고속
17-1A송정동경기광주역ㆍ양벌동ㆍ봉골ㆍ신현동ㆍ야탑역ㆍ모란역ㆍ단대오거리역금광동80~125경기고속
17-3송정동보건소ㆍ경안동ㆍ경기광주역ㆍ광남중ㆍ오포1동행정복지센터봉골1일 4회경기고속
32-1추자가압장앞고산동ㆍ태전동ㆍ삼동역ㆍ갈현동ㆍ모란역ㆍ수정경찰서태평역10~20대원고속
34송정동경안동ㆍ경기광주역ㆍ추자동ㆍ오포1동행정복지센터ㆍ봉골입구봉골1일 9회경기고속, 대원고속
34-2오포양우A문형삼거리ㆍ봉골삼거리ㆍ오포초교ㆍ추자동오포1동행정복지센터경기고속30~40
38-24(출)경안동 축협
(착)경안동 보건소
경기광주역ㆍ광남중ㆍ오포1동행정복지센터ㆍ추자동봉골1일 1회경기고속, 대원고속[8]
60송정동광주터미널ㆍ경기광주역ㆍ양벌동ㆍ매산동ㆍ외대사거리ㆍ문형동ㆍ오리역ㆍ죽전동ㆍ성복역ㆍ경기대후문ㆍ창룡문ㆍ장안문ㆍ경인지방병무청수원역30~60대원고속
119오산리신현동ㆍ효자촌ㆍ이매역ㆍ모란역ㆍ복정역ㆍ잠실역ㆍ광진구청ㆍ어린이대공원군자역40~60경기고속
520구미동미금역ㆍ수내역ㆍ서현역ㆍ효자촌ㆍ장안중ㆍ태재고개신현동10~20대원고속
521퉁점골신현동ㆍ태재고개ㆍ율동공원ㆍ서현역판교역10~55대원고속
522서현역효자촌ㆍ태재고개ㆍ신현동능평동1일 20회대원고속
522-1능평동능평4통ㆍ신현3통신현동 강남CC1일 20회대원고속
522-2신현동태재고개ㆍ효자촌서현역1일 27회대원고속
660광교수지구청ㆍ죽전역ㆍ단국대ㆍ능평동ㆍ문형동ㆍ경기광주역광주터미널30~40대원고속

노선번호기점주요 경유지종점버스회사배차간격(분)비고
광주14장지차량등록사업소태전지구ㆍ추자동ㆍ대주2차아파트매산1통광주도시관리공사1일 7회
57보정역죽전동ㆍ오산리ㆍ능원리능평동40~100한비운수용인시 면허
57-1마원리치빌동림리ㆍ능골마을ㆍ능원리ㆍ오산리ㆍ내대지마을ㆍ죽전역수지구청40~100한비운수
57-2능원리능평삼거리ㆍ오산리ㆍ내대지마을ㆍ단국대정문ㆍ꽃메마을보정역45~90한비운수
109-1태재고개분당요한성당ㆍ대진고교ㆍ분당동행정복지센터ㆍ동국대한방병원ㆍ한솔주공5~6단지정자역10~15진아교통성남시 면허

[1] 2023년 3월 주민등록인구[2] 추자동 102-16[3] 이 마을은 지대가 높은 곳인데 여기서 누에를 많이 쳤다고 해서 높을고자와 누에잠자를 따서 '고잠동'이라 부르게 되었다는 것이다.[4] 조선조 후기에 허산(許山)이라는 사람이 있었는데 힘이 장사이어서 인근에 소문이 크게 났었다고 한다. 따라서 '허산이'라는 인명이 결국은 지명으로 변하여 이 마을 이름이 되었다고 한다.[5] 태전동시가지가 연담화되었다.[6] 조선조 선조 때 경원부사를 지낸 정응규(鄭應圭)라는 사람이 이 마을에 정착하여 일가를 이루어 '자작일가' (自作一家)라 했다고 하여 '자작동' '자작이'라 부르게 되었다는 것이다.[7] 광역버스는 물론 일반버스(!!)노선도 존재한다[8] 이 노선은 운행계통이 매우 특이한 노선으로, 경안동에서 출발해 퇴촌/남종을 거쳐 광주시내로 돌아온 후, 오포방면으로 갔다 광주시내로 다시 들어오는 형태의 노선이다. 자세한 내용은 해당 버스 문서 참고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오포읍 문서의 r282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0 11:36:11에 나무위키 오포1동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