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한산성면

덤프버전 :



광주시
남한산성면
南漢山城面 | Namhansanseong-myeon




광역자치단체
경기도
기초자치단체
광주시
행정표준코드
5540205
관할 법정리
8리
하위 행정구역
11행정리 33반
면적
33.74㎢
인구
2,355명[1]
인구밀도
69.80명/㎢
정치

[ 펼치기 · 접기 ]
국회의원 | 광주시 갑

소병훈 (재선)
경기도의원 | 제1선거구

유영두 (초선)
광주시의원 | 가 선거구

주임록 (재선)

허경행 (초선)

행정복지센터
남한산성로 2 (광지원리 112)
남한산성면 행정복지센터
1. 개요
2. 역사
2.1. 개요
2.2. 연혁
3. 교통
3.1. 버스
3.2. 도로교통
4. 교육
5. 환경
6. 하위 법정리
6.1. 산성리
6.2. 엄미리
6.3. 광지원리
6.4. 오전리
6.5. 상번천리
6.6. 하번천리
6.7. 불당리
6.8. 검복리
7. 기타



1. 개요[편집]


경기도 광주시 서부에 위치한 . 원래 '중부면'이었으나[2], 2015년에 개칭되었다.

중부고속도로 광주IC, 남한산성도립공원이 있다. 산곡JC하남시 상산곡동과 남한산성면 엄미리가 만나는 곳에 있다.

동쪽으로는 초월읍퇴촌면, 남종면[3], 서쪽으로는 성남시 수정구중원구[4], 남쪽으로는 송정동, 북쪽으로는 하남시와 접하고 있다.

상수원보호구역으로 지정되어 있어서, 개발이 요원한 지역이다.

성남시로 통하는 342번 지방도 연선의 서쪽 4개리(산성, 검복, 불당, 오전)는 광주시 대신 성남시 국번을 사용한다.


2. 역사[편집]



2.1. 개요[편집]


병자호란 전인 1600년대 초반 현재의 하남시에 있던 광주부 관아가 남한산성 안(산성리)으로 이전하면서, 300년 동안 광주 고을의 중심지였다. 그래서 명칭도 '중부면'이었던 것. 그러다가 군청이 경안면으로 이전하면서 쇠퇴하게 된다.

성남시본시가지[5]위례신도시[6]는 원래 광주군 세촌면이었다가, 1914년 부군면 통폐합 때 중부면에 병합되었다. 즉 성남시 북동부 지역도 원래 중부면이었다. 이 지역이 중부면이었을 때의 영역은 매우 길쭉했으며 광주대단지와 번천(광지원리)을 왕래하려면 남한산성을 올라갔다 와야 됐었다(...). 지금의 수정로, 순환로, 남한산성로 일대가 성남 본시가지와 남한산성면을 이어주는 유일한 도로인데 극악의 난이도를 자랑한다. 성남시 승격 이후에 성남-광주간 산업도로를 새로 뚫으면서 성남-광주간 왕래는 남한산성을 거치지 않고 경충대로를 거치며, 분당신도시판교신도시 개발과 맞물려 경충대로 확장 및 성남이천로를 개통해 더 편리하게 이동할 수 있다.

성남 본시가지 일대는 1960년대 이 지역에 서울특별시 빈민들을 집단 이주시키면서 '광주대단지'를 조성하고, 경기도 직할 성남출장소를 설치[7]하였다. 1971년에 그 유명한 광주대단지사건이 발발하였고, 1973년 성남출장소가 성남시로 분리되어 승격되었다. 이 때 중부면 창곡리, 복정리 지역도 같이 넘어갔는데 이 지역은 미개발지역으로 남아있다 몇십년이 지난 뒤 위례신도시가 들어선다.

1974년에 면 소재지가 산성리에서 광지원리로 이전하였다.

1989년 하남시 승격 때 상산곡리가 같이 넘어가면서, 원래의 중부면에 비하면 영역이 많이 감소했다.


2.2. 연혁[편집]


  • 1914년 세촌면을 흡수하였다.
  • 1917년 군청이 경안면(現 경안동)으로 이전하였다.
  • 1971년성남시에 해당되는 지역에서 광주대단지사건이 발발하였다.
  • 1973년 상대원리, 창곡리, 복정리, 단대리, 탄리, 수진리가 성남시로 승격되어 분리되었다[8]. 초월면(現 초월읍) 상번천리, 하번천리가 중부면에 편입되었다.
  • 1974년 면소재지가 산성리에서 광지원리로 이전하였다.
  • 1989년 상산곡리가 신설된 하남시에 편입되었다.
  • 2015년 10월 16일 중부면에서 남한산성면으로 개칭했다.

3. 교통[편집]



3.1. 버스[편집]


크게 남한산성으로 올라가는 노선과 하남 방면 노선, 퇴촌 및 남종면과 양평 방면 노선으로 구분된다.

  • 서울 및 하남 방면
    • 경기광주 버스 13 : 광주터미널 ~ 축협 ~ 보건소 ~ 밀목 ~ 광주IC ~ 번천삼거리 ~ 광지원 ~ 엄미리 ~ 천현동 ~ 신장동 ~ 덕풍동 ~ 명일동 ~ 천호역 ~ 강변역 구간 운행.
    • 경기광주 버스 13-2 : 관음리 ~ 퇴촌 ~ 번천삼거리 ~ 광지원 ~ 엄미리 ~ 천현동 ~ 신장동 ~ 덕풍동 ~ 명일동 ~ 천호역 ~ 강변역 구간 운행.
    • 경기광주 버스 1113 : 에버랜드 ~ 포곡 ~ 모현 ~ 매산동 ~ 양벌동 ~ 경기광주역 ~ 광주터미널 ~ 밀목 ~ 번천삼거리 ~ 광주IC ~ 상일IC ~ 강동역 ~ 천호역 ~ 강변역 구간 운행.
    • 경기광주 버스 1113-1 : 동원대 ~ 곤지암 ~ 초월역 ~ 쌍령동 ~ 광주터미널 ~ 밀목 ~ 번천삼거리 ~ 광주IC ~ 상일IC ~ 강동역 ~ 천호역 ~ 강변역 구간 운행.
    • 경기광주 버스 1113-2 : 광주터미널 ~ 축협 ~ 보건소 ~ 밀목 ~ 번천삼거리 ~ 광주IC ~ 상일IC ~ 강동역 ~ 천호역 ~ 강변역 구간 운행.
    • 경기광주 버스 1-23 : 1-21번38-51번이 결합된 형태로 시청 → 축협 → 직동 → 축협 → 배알미 → 축협 경로로 운행.
    • 경기광주 버스 35-4 : 35번38-51번이 결합된 형태로 보건소 → 현산마을 → 축협 → 배알미 → 축협 경로로 운행.
    • 경기광주 버스 38-51 : 축협 ~ 배알미 구간 운행.
    • 경기광주 버스 38-52 : 하남BRT센터 ~ 배알미 ~ 퇴촌 ~ 수청리 구간 운행.
    • 경기광주 버스 38-53 : 축협 ~ 배알미 구간 운행. 축협 방면 퇴촌 경유.

  • 남한산성 방면
    • 경기광주 버스 9 : 사송동 ~ 야탑역 ~ 모란역 ~ 태평동 ~ 산성역 ~ 양지동 ~ 을지대 ~ 남한산성입구 ~ 남한산성 구간 운행.
    • 경기광주 버스 9-1 : 산성역 ~ 남한산성 구간 운행. (휴일만)
    • 경기광주 버스 15-1 : 경기광주역 ~ 중앙도서관 ~ 보건소 ~ 밀목 ~ 번천삼거리 ~ 광지원 ~ 오전리 ~ 불당리 ~ 검복리 ~ 남한산성 구간 운행.
    • 성남 버스 52 : 성남동 ~ 모란역 ~ 수진역 ~ 신흥역 ~ 단대오거리 ~ 산성역 ~ 남한산성 구간 운행.
    • 성남 버스 53 : 남위례역 ~ 산성역 ~ 남한산성 구간 운행. (휴일만)

  • 퇴촌, 남종면, 양평 방면
    • 경기광주 버스 광주12 : 마을버스. 차량등록사업소 ~ 경기광주역 ~ 금호리첸시아 ~ 밀목 ~ 도마리 ~ 광동리 ~ 도수리 ~ 관음리 ~ 천진암 구간 운행.
    • 경기광주 버스 38 : 축협 ~ 보건소 ~ 광주시청 ~ 도마리 ~ 광동리 ~ 도수리 ~ 관음리 ~ 천진암 구간 운행.
    • 경기광주 버스 38-1 : 축협 → 퇴촌 → 천진암 → 퇴촌 종착.
    • 경기광주 버스 38-12 : 퇴촌 → 천진암 → 퇴촌 → 축협 종착.
    • 경기광주 버스 38-14 : 천진암 → 퇴촌 → 정지리 → 원당리 → 서하리 → 금강펜테리움 → 보건소 → 축협 경로로 운행.
    • 경기광주 버스 38-19 : 경기광주역 ~ 축협 ~ 보건소 ~ 광주시청 ~ 도마리 ~ 퇴촌 구간 운행.
    • 경기광주 버스 38-2 : 축협 ~ 퇴촌 ~ 수청리 구간 운행.
    • 경기광주 버스 38-21 : 축협 → 퇴촌 → 수청리 → 퇴촌 종착.
    • 경기광주 버스 38-24 : 38-2번34번이 결합된 형태로 축협 → 퇴촌 → 수청리 → 퇴촌 → 축협 → 봉골 → 축협 → 보건소 경로로 운행.
    • 경기광주 버스 38-25 : 축협 ~ 퇴촌 ~ 수청리 ~ 강하 ~ 양평 구간 운행.
    • 경기광주 버스 38-8 : 축협 → 퇴촌 → 도수리 → 영동리 → 왕창리 → 강하초교 → 동오리 → 항금리 → 동오리 → 왕창리 → 영동리 → 도수리 → 퇴촌 경로로 운행.
    • 경기광주 버스 38-81 : 퇴촌 → 도수리 → 영동리 → 왕창리 → 강하초교 → 동오리 → 항금리 → 동오리 → 왕창리 → 영동리 → 도수리 → 퇴촌 → 축협 경로로 운행.
    • 경기광주 버스 38-83 : 축협 ~ 퇴촌 ~ 도수리 ~ 영동리 구간 운행.
    • 경기광주 버스 38-84 : 축협 ~ 퇴촌 ~ 도수리 ~ 영동리 ~ 왕창리 ~ 강하초교 ~ 전수리 ~ 성덕리 구간 운행.
    • 경기광주 버스 38-85 : 축협 → 퇴촌 → 도수리 → 영동리 → 도수리 → 퇴촌 경로로 운행.

  • 하번천리 방면
    • 경기광주 버스 15-5 : 경기광주역 ~ 중앙도서관 ~ 보건소 ~ 밀목 ~ 광주IC ~ 하번천리 ~ 광주도시공사 구간 운행.
    • 경기광주 버스 35-5 : 축협 ~ 보건소 ~ 밀목 ~ 광주IC ~ 하번천리 ~ 서하리 구간 운행.
    • 경기광주 버스 35-6 : 35-3번35-5번이 결합된 형태로 축협 → 보건소 → 금강펜테리움 → 지월리 → 금강아파트 → 지월리 → 금강펜테리움 → 축협 → 보건소 → 밀목 → 광주IC → 하번천리 → 서하리 → 하번천리 → 광주IC → 밀목 → 보건소 → 축협 경로로 운행.
    • 경기광주 버스 35-25 : 35-5번35-1번이 결합된 형태로 서하리 → 하번천리 → 광주IC → 밀목 → 보건소 → 축협 → 쌍령동 → 초월역 → 산이리 → 늑현리 → 선동리 → 학동리 → 선동리 → 늑현리 → 산이리 → 초월역 → 쌍령동 → 축협 → 보건소 경로로 운행.
    • 경기광주 버스 35-26 : 35-5번과 35-22번이 결합된 형태로 축협 → 보건소 → 밀목 → 광주IC → 하번천리 → 서하리 → 무갑리 경로로 운행.
    • 경기광주 버스 35-34 : 35-3번33-2번이 결합된 형태로 보건소 → 축협 → 경기광주역 → 장지동 → 중대동 → 삼동역 → 삼동 → 삼동역 → 중대동 → 장지동 → 경기광주역 → 축협 → 보건소 → 밀목 → 광주IC → 하번천리 → 서하리 → 하번천리 → 광주IC → 밀목 → 보건소 → 축협 경로로 운행.

3.2. 도로교통[편집]




4. 교육[편집]




5. 환경[편집]


남한산성면은 대부분 분지로 이루어진 산성리와 검복리를 중심으로 볼거리, 먹을거리의 저자거리가 발달하였다. 볼거리로는 당연히 남한산성이 있고, 이 지역의 특색 있는 먹을거리로 효종갱이 있다.


6. 하위 법정리[편집]



6.1. 산성리[편집]



6.2. 엄미리[편집]



6.3. 광지원리[편집]



6.4. 오전리[편집]



6.5. 상번천리[편집]



6.6. 하번천리[편집]



6.7. 불당리[편집]



6.8. 검복리[편집]



7. 기타[편집]


이곳은 경기광주 북부 3면에 속하는 지역이다. 광지원리는 하남시 생활권, 산성리 등 남한산성 일대는 성남 본시가지 생활권이다.
.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78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78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8 22:03:05에 나무위키 남한산성면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2023년 3월 주민등록인구[2] 이 지역을 관할하는 농협이 '중부농협'이다.[3] 남종면과는 산으로 막혀 있어, 퇴촌면을 경유해야 한다.[4] 중원구와는 산으로 막혀 있어, 송정동이나 성남시 수정구를 경유해야 한다.[5]수정구의 탄천 서부지역은 구 대왕면 관할. 이 지역은 본시가지 생활권이 아닌 각각 판교 대생활권(금토동, 시흥동, 고등동)과 강남구 자곡동(신촌동, 심곡동, 오야동) 생활권이다.[6] 창곡동, 복정동[7] 그 전까지는 광주군 휘하의 성남출장소였다.[8] 이 때 대왕면(수정구 서부지역), 돌마면(중원구 남부 및 분당 대부분), 낙생면(판교, 분당 금곡동, 구미동)도 같이 성남시에 편입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