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마가타현 제1구

덤프버전 :


도호쿠 지방 국회의원
[ 중의원 의원 ]
{{{-1 {{{#fff 홋카이도 · 도호쿠 · 기타칸토 · 미나미칸토 · 도쿄 · 호쿠리쿠신에쓰 · 도카이 · 긴키 · 주고쿠 · 시코쿠 · 규슈-오키나와
}}}}}}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선거구
파일:일본국 내각총리대신 심볼.svg
야마가타현 제1구>
山形県第1区
파일:shuinsen_Yamagata1.svg
선거인 수302,702명 (2022)
상위 도도부현야마가타현
하위 행정구역
[ 펼치기 · 접기 ]
국회의원
엔도 도시아키




1. 개요[편집]


야마가타현의 남동부 지역인 야마가타시, 카미노야마시, 텐도시, 히가시무라야마군을 관할하는 일본중의원 선거구다.

현재 지역구 국회의원은 자유민주당 소속 엔도 도시아키.


2. 상세[편집]


자민당의 엔도 도시아키민주당의 카노 미치히코가 경합을 벌였던 지역구다. 재미있는 점은 카노 미치히코는 자민당 의원으로 활동하다가 이후 탈당해 민주당 의원이 되었고, 엔도 도시아키는 무소속으로 첫 당선되어 일본신당을 거쳐 나중에 자민당 의원이 되었다. 둘 다 각료을 역임했고[2], 카노 미치히코는 두 번이나 민주당 대표 선거에 출마한 적이 있다.

그러다가 2012년 제4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이후로는 3승 3패 무소속이라는 최종 전적을 남긴 채 더이상의 라이벌 매치가 이루어지지 않고 엔도 도시아키가 압승하고 있다. 카노는 2013년 제23회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에서도 낙선한 이후로 정계를 은퇴했다. 카노 미치히코는 2021년 10월 21일에 79세를 일기로 사망했다.


3. 역대 국회의원[편집]




4. 역대 선거 결과[편집]



4.1. 제41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야마가타현 제1구
야마가타시, 카미노야마시, 히가시무라야마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신진당 로고 white.svg카노 미치히코81,047표1위

48.31%당선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엔도 도시아키60,748표2위

36.21%비례당선
파일:사민당 로고 하얀색.svg야마자키 신고15,002표3위

8.94%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이노우에 다쓰오10,955표4위

6.53%낙선
유효표 수167,752표투표율
선거인 수

카노 vs 엔도 1차전 - 카노 미치히코 의원은 제1차 가이후 내각에서 농림수산대신을, 미야자와 개조내각에서 총무청 장관을 지냈으나, 이후 정치개혁을 내걸고 1993년 자민당을 탈당해 신당 미래, 자유개혁연합을 거쳐 신진당 창당에 합류한다. 엔도 도시아키 의원은 일본신당 추천을 받아 무소속 후보로 당선되었으나, 이후 다른 일본신당 의원처럼 신진당에 합류하지 않고 자민당에 입당, 같은 야마가타현 유력 정치인인 가토 고이치의 최측근이 된다.

아무래도 카노 의원의 정치적 중량감이 높기에 손쉽게 당선된다. 엔도 의원은 석패율제를 통해 비례대표로 당선된다.


4.2. 제42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야마가타현 제1구
야마가타시, 카미노야마시, 히가시무라야마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카노 미치히코90,349표1위

52.03%당선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엔도 도시아키70,290표2위

40.48%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사토 아키코12,996표3위

7.48%낙선
유효표 수173,635표투표율
선거인 수

카노 vs 엔도 2차전 - 이번에도 카노 의원이 큰 차이로 승리했다. 엔도 의원은 이번에는 비례대표로 부활도 하지 못하고 낙선했다.


4.3. 제43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야마가타현 제1구
야마가타시, 카미노야마시, 텐도시, 히가시무라야마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엔도 도시아키100,764표1위

49.89%당선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카노 미치히코81,580표2위

40.39%비례당선
파일:사민당 로고 하얀색.svg사이토 쇼스케12,266표3위

6.07%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이시카와 쇼7,356표4위

3.64%낙선
유효표 수201,966표투표율
67.20%
선거인 수

카노 vs 엔도 3차전 - 카노 의원은 민주당 부대표를 지내던 도중, 비서가 이권에 개입하고 뇌물을 받는 바람에 2002년 2월 6일 민주당을 탈당했다. 카노 의원의 친족이 경영하는 기업의 사원들이 의원실의 비서로 등록되어 부당하게 급여를 수령받았다는 의혹도 있었다.[3] 약 1년 6개월 동안 무소속으로 있다가 총선 직전 오카다 가쓰야 간사장의 복당 요청을 받고 2003년 9월 23일에 민주당에 복당하나, 이미지가 나빠져서 거꾸로 자민당 엔도 전 의원에게 10% 가까운 격차로 패배한다. 그래도 민주당이 이 선거에서 상당한 선전을 하면서 석패율제 구제를 받아 비례대표로 당선되었다.


4.4. 제4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야마가타현 제1구
야마가타시, 카미노야마시, 텐도시, 히가시무라야마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엔도 도시아키125,774표1위

56.38%당선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카노 미치히코86,755표2위

38.89%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이시카와 쇼10,536표3위
4.72%낙선
유효표 수223,065표투표율
73.81%
선거인 수305,878인

카노 vs 엔도 4차전 - 자민당이 전국적으로 압승한 총선이라 격차가 더 벌어졌다. 엔도 의원이 압승했고, 카노 의원은 이번에는 비례대표로도 부활하지 못하고 낙선한다.


4.5. 제4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야마가타현 제1구
야마가타시, 카미노야마시, 텐도시, 히가시무라야마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카노 미치히코106,202표1위
46.23%당선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엔도 도시아키104,911표2위
45.67%비례당선
이토 카오리11,419표3위
4.97%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사토 마사유키6,021표4위
2.62%낙선
파일:행복실현당 심볼.svg모리 다이고로1,149표5위
0.50%낙선
유효표 수229,702표투표율
75.71%
선거인 수306,052인

카노 vs 엔도 5차전 - 전국적으로 민주당이 압승하는 덕분에 이번에는 카노 미치히코 후보가 당선된다. 4년만의 중의원 복귀이다. 다만 민주당이 압승했음에도 불구하고 선거구에서 1%도 안되는 격차로 승리하는 바람에, 확실히 예전보다 정치적으로 많이 약해졌다는 평가를 받았다. 엔도 의원도 선거구에서는 근소하게 밀렸지만, 석패율제를 통해 비례대표로 생환한다.


4.6. 제4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야마가타현 제1구
야마가타시, 카미노야마시, 텐도시, 히가시무라야마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엔도 도시아키102,169표1위
[4]54.63%당선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카노 미치히코70,411표2위
[5]37.65%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이시카와 쇼14,447표3위
7.72%낙선
유효표 수187,027표투표율
63.02%
선거인 수305,571인

카노 vs 엔도 6차전 - 카노 미치히코 의원은 4년만에 중의원에 복귀해서 간 제1차 개조내각부터 노다 제1차 개조내각까지 농림수산대신을 꽤 오래 지내는등 다시 주목받으나, 민주당과 노다 제3차 개조내각에 대한 낮은 지지를 극복하지 못하고 다시 낙선한다. 이후 카노 미치히코는 2013년 제23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에서도 비례대표 후보로 출마해 낙선하자 정계를 은퇴한다. 따라서 카노와 엔도의 대결은 이번 선거가 마지막이었다.


4.7. 제4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야마가타현 제1구
야마가타시, 카미노야마시, 텐도시, 히가시무라야마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엔도 도시아키98,508표1위
[6]61.14%당선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하라다 마사히로46,029표2위
28.57%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이시카와 쇼16,577표3위
10.29%낙선
유효표 수161,114표투표율
54.21%
선거인 수304,983인


4.8. 제4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야마가타현 제1구
야마가타시, 카미노야마시, 텐도시, 히가시무라야마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엔도 도시아키104,227표1위
[7]57.27%당선
파일:희망의당(2017년) 로고 하얀색.svg아라이 간62,407표2위
34.29%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이시카와 쇼15,354표3위
8.44%낙선
유효표 수181,988표투표율
59.80%
선거인 수309,496인


4.9. 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야마가타현 제1구
야마가타시, 카미노야마시, 텐도시, 히가시무라야마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엔도 도시아키110,688표1위
[8]59.97%당선
파일:입헌민주당(2020년) 로고 하얀색 CDP 포함.svg하라다 마사히로73,872표2위
40.03%낙선
유효표 수184,560표투표율
61.59%
선거인 수303,982인

현역 자민당 엔도 도시아키 의원이 재출마한다.

입헌민주당은 하라다 마사히로 야마가타현의회 의원을 공천했다. 공산당에서도 지난 총선에 출마한 이시카와 쇼 후보를 공천했으나, 9월 19일 이를 철회하고 각 야당의 지방조직이 입헌의 하라다 후보를 통일후보로 결정했다고 발표했다. 다른 야당 및 무소속 후보도 출마하지 않아, 자민당 엔도 후보와 입헌민주당 하라다 후보의 1대1 대결이 이뤄졌다.

카노 미치히코 전 농림수산대신의 정계 은퇴이후 자민당 초강세지역이 되었는데, 야당이 지난 참의원 선거에서 야마가타현의 현역 자민당 의원을 꺾은 기세를 몰아 이 지역구를 다시 경합지역으로 만들지 주목된다.

투표 결과, 자민당 엔도 후보가 20% 차이로 비교적 여유있는 승리를 거두었다. 비록 다선 의원에 대한 심판 열풍이 있었지만, 엔도는 기시다 후미오의 최측근으로 분류되고 최근에 당 4역 중 하나인 선거대책위원장으로 임명되었기에 심판 열풍을 어느정도 피해갔다. 물론 아마리 아키라 간사장처럼 지역구에서 패한 거물도 있지만, 엔도는 딱히 물의를 일으킨 것이 없기에 큰 표차로 지역구를 수성했다.


4.10. 제50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자민당에서는 엔도 도시아키 의원의 10선 도전이 예상된다.

입헌민주당은 지난 총선에 출마한 하라다 마사히로 전 현의회 의원이 현역 지부장이며, 차기 총선에 재도전할 것으로 예상된다.

[1] 현재는 자치대신, 우정대신과 합쳐져 총무대신으로 재편되었다.[2] 카노는 농림수산대신, 총무청 장관[1]을, 엔도는 도쿄올림픽·패럴림픽경기대회 담당 국무대신을 역임했다.[3] 이에 관련된 내용은 일본어 위키백과업제연 사건(業際研事件) 문서를 참조할 것.[4] 추천[5] 추천[6] 추천[7] 추천[8]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