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버스 6631 (r4판)

편집일시 :

>
서울특별시
[[틀:서울특별시의 공항버스|
]] [[틀:서울특별시의 광역버스|>
광역
]] [[틀:서울특별시의 간선버스|
>
간선
]] [[틀:서울특별시의 지선버스|

지선
]] [[틀:서울특별시의 맞춤버스|

맞춤
]] [[틀:서울특별시의 순환버스|

순환
]] [[틀:서울특별시의 심야버스|{{{#!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 3px;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d5bab; color: #ffc600"
심야
]] [[틀:서울특별시의 마을버스|

마을
]] [[틀:서울시티투어버스|

투어
]]
[ 펼치기 · 접기 ]
62116411651165126514
65156516661366146615
66166617662066236624
66256627662866296630
66316632663366376638
66406642664566476648
66576712671367146715
6716
{{{#fff,#1f2023
[[틀:서울 0권역 지선버스|

{{{#fff 0권역
ㆍ[[틀:서울 1권역 지선버스|
1권역
]]ㆍ[[틀:서울 2권역 지선버스|

2권역
]]ㆍ[[틀:서울 3권역 지선버스|

3권역
]]ㆍ[[틀:서울 4권역 지선버스|

4권역
]]ㆍ[[틀:서울 5권역 지선버스|

5권역
]]ㆍ[[틀:서울 7권역 지선버스|

7권역
]]



파일:서울6631.png
파일:서울6631번개선저상.png

1. 노선 정보
2. 개요
3. 역사
4. 특징
4.1. 일평균 승차인원
5. 연계 철도역
6. 둘러보기


1. 노선 정보[편집]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지선버스 6631번
기점서울특별시 강서구 개화동(개화역광역환승센터)종점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영등포동3가(영등포시장)
개화동 방향첫차04:20영등포 방향첫차05:20
막차22:50막차23:50~55
평일배차7~10분주말배차토요일 8~10분 / 공휴일 9~11분
운수사명공항버스인가대수26대(예비 1대)[1]
노선개화역광역환승센터 - 개화산역 - 방화2동우촌연립 - 공항시장역 - 송정역 - 공항중학교 - 신방화역 - 서남환경공원 - 마곡실내배드민턴장 - 양천향교역 - 가양2단지 - 허준박물관 - 가양9단지.세현고등학교 - 염창동새마을금고 - 양평한신아파트.선유도공원입구 - 당산역 - 영등포구청 - 김안과병원 → 영등포시장경방 타임스퀘어.신세계백화점 → 김안과병원 → 이후 역순


2. 개요[편집]


공항버스에서 운행하는 지선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38.2km다.전체 정류소 목록


3. 역사[편집]


  • 구 125번 도시형버스(방화동 - 영등포역)가 전신이다.

  • 2004년 7월 1일 서울시 버스체계 개편 때 공항시장, 개화산역 경유에서 송정역, 공항시장 경유로 변경했고, 번호를 6631번으로 변경했다.

  • 2007년 8월 1일에 '방화동 - 송정역 - 공항시장' 구간을 단축했다. 관련 공지사항

  • 2007년 9월 15일에 기존 노선으로 환원했다.

  • 2009년 4월 27일에 '방화동 - 강서공영차고지' 구간을 연장했다. 관련 공지사항

  • 2019년 7월 1일을 기해 토요일/공휴일의 대당 일 운행횟수가 감축되면서 토요일/공휴일의 1일 총 운행횟수도 각각 4회/3회씩 감회되었다. 또한 같은 날부터 이와 동시에 본래 각각 7~8분/7~10분이던 평일/토요일의 배차간격도 6~8분/8~9분으로 조정되었다.관련 공문

  • 2021년 1월 18일을 기해 평일/공휴일 정상운행차량의 대당 일 운행횟수가 감축되면서 평일/공휴일의 1일 총 운행횟수도 각각 4회/7회씩 감회되었다. 또한 이번 운행계통 변경에 따라 평일 최소 배차간격도 6분에서 7분으로 늘었다.관련 공문

  • 2021년 11월 15일을 기해 평일/토요일/공휴일 각각의 인가 운행소요시간이 155/155/150분에서 160/160/155분으로 늘었고, 정상운행차량의 대당 일 운행횟수도 전일에 걸쳐 감축되면서 1일 총 운행횟수도 각각 8/6/6회씩 감회되었다. 또한 이번 운행계통 변동으로 평일/토요일/공휴일 각각의 배차간격이 7~8분/8~9분/8~10분에서 7~10분/8~10분/9~11분으로 변동되었다.관련 공문


4. 특징[편집]


  • 현금승차가 불가능한 노선이다.

  • 당산역영등포역을 한번에 지나는 노선이기 때문에 출퇴근 시간에 승객이 많으나, NH 시간대에는 그렇게 많지 않은 편.

  • 125번 시절부터 과거 9호선이 없던 시절 방화, 가양, 염창 등 강서구 주거지역과 당산, 영등포를 연계하는 강서구의 대표적인 버스였기에, 9호선 개통 후에도 가양동, 염창동 아파트단지 등 9호선이 가지 않는 곳들의 수요로 출퇴근시간에는 붐비며, 출근시간에 송정역에서 기점 방향으로 이 버스를 타는 승객들은 대부분 항공비즈니스고, 강서공고 재학생이다. 그런 이유로 배차도 좋은 편이다.

  • 방화동에서 당산역 가기 위해 탈 거라면 차라리 6632번이나, 공항로에서 605번 타는 게 훨씬 빠르다. 구간 수요로 먹고 사는 노선이라, 송정역까지 거쳐서 한바퀴 돌아가는 굴곡이 좀 있기 때문.

  • 차량이 많고 배차간격은 짧은 반면, 운행속도는 몹시 느리다. 경로상에 신호등이 많은 편인데다 승객이 없는 버스정류장도 일일이 정차했다가 출발한다. 염창에서 개화까지 비슷한 거리를 운행하는 1002번과 비교하면 10분 이상 늦게 도달하는 것도 가능하다.


4.1. 일평균 승차인원[편집]


서울특별시 지선버스 6631번
연도일평균 승차량전년대비 변동폭
2013년13,138명-
2014년12,465명▽ 673
2015년12,343명▽ 122
2016년11,982명▽ 361
2017년11,728명▽ 254
2018년11,592명▽ 136
2019년11,338명▽ 254
2020년8,862명▽ 2,476
2021년8,733명▽ 129
※ 하차 인원 미포함


5. 연계 철도역[편집]


  • 파일:Seoulmetro1_icon.svg 수도권 전철 1호선: 영등포역[2]
  • 파일: Seoulmetro2_icon.svg 서울 지하철 2호선: 영등포구청역[3], 당산역[4]
  • 파일:Seoulmetro5_icon.svg 수도권 전철 5호선: 영등포구청역[5], 송정역, 개화산역
  • 파일:Seoulmetro9_icon.svg 서울 지하철 9호선: 개화역, 공항시장역, 신방화역, 양천향교역, 증미역[6], 당산역[7]
  • 일반 철도역: 영등포역(KTX, 새마을, ITX-새마을, 무궁화, 누리로)


6. 둘러보기[편집]


현금 승차 제한 시내버스 노선
[ 펼치기 · 접기 ]






[1] 토요일 21대 / 공휴일 19대 운행[2] 경방타임스퀘어.신세계백화점 하차[3] 영등포구청 하차[4] 영등포 방향은 2번 출구 정차[5] 개화역 방향 한정 현대아파트 하차[6] 블루나인비지니스센터.이마트 하차[7] 개화역 방향은 13번 출구 정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