꼬리에 꼬리를 무는 그날 이야기 (r1판)

편집일시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꼬리에 꼬리를 무는 그날 이야기의 게스트에 대한 내용은 박군 문서
박군번 문단을
박군#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SBS 로고.svg 시사교양 프로그램

[ 펼치기 · 접기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gcolor=#00558f><width=20%> 시사 ||<width=80%><colbgcolor=#ffffff,#1f2023>모닝와이드/3부
평일
07:40, UHD
와이드 정보쇼 알고 보면

16:00
꼬리에 꼬리를 무는 그날 이야기

22:20
궁금한 이야기 Y

21:00
SBS 뉴스토리

08:00
그것이 알고싶다

23:10
||
|| 교양 ||좋은 아침
평일
08:50
생방송 투데이
평일
18:50, UHD
살맛나는 오늘
월 - 수
10:30
네트워크 현장! 고향이 보인다
목 - 금
11:30
생활의 달인

21:00
|열린TV 시청자 세상

10:30
|과몰입 인생사

21:00
|문화가중계

24:30
|민영방송 공동기획 물은 생명이다

10:30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여행

11:00
순간포착 세상에 이런 일이

18:50
TV 동물농장

09:30
맨 인 블랙박스

20:45
||
|| 다큐 ||일요특선 다큐멘터리

07:40
||
|| 어린이 ||꾸러기 탐구생활
월 - 화
11:00
요리조리 맛있는 수업
월 - 화
11:30
애니갤러리

11:00
|나비의 모험

07:15, UHD
꼬미마녀 라라

07:30, UHD
헬로 카봇 X

07:10, UHD
||
||<-2><bgcolor=#f0f0f0,#1f2023> 전체 방송 프로그램 보기 ||



파일:꼬리에 꼬리를 무는 그날 이야기 로고 (블랙).svg
[ 펼치기 · 접기 ]
방영 시리즈
시즌1
{{{-3
(2020)
시즌2
{{{-3
(2021)
정규
{{{-3
(2021 ~ 방영중)
이야기꾼/장트리오
시즌 1 / 시즌 2
장도연장성규장항준
정규
장도연장현성장성규


꼬리에 꼬리를 무는 그날 이야기
파일:gkU1633505316629.jpg
방송사파일:SBS 로고.svg
방송날짜
ON AIR

2021년 10월 21일 ~
방송 시간목요일 밤 10시 30분 ~ 12시[1][2]
기획최태환
연출최삼호, 안윤태, 유혜승
출연장도연, 장현성, 장성규
사이트파일:SBS 로고.svg공식 홈페이지
파일:네이버TV 아이콘.svg네이버 TV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인스타그램
파일:유튜브 아이콘.svg유튜브[3]
파일:유튜브 아이콘.svg유튜브[4]
1. 개요
2. 기획의도
3. 이야기꾼 소개
4.1. 2021년
4.2. 2022년
5. 시청률
6. 여담



1. 개요[편집]


'그날' 이야기를 들은

'오늘' 당신의 생각은?

대한민국의 지상파 방송국 SBS에서 방영하는 시사교양 프로그램이다. 정규 프로그램이 되면서 기존 장트리오에서 장항준을 대신하여[5] 이야기 친구로 자주 얼굴을 비추었던 장현성이 새롭게 합류했다. 이쪽도 장씨라 이야기꾼이 '장트리오'라는 데에는 변함이 없는데, 세 명 모두 본관이 다른 것도 흥미거리.[6]

방송적인 특징은 이야기를 해주는 장트리오와 매주 바뀌는 이야기 친구가 각자 고정된 장소에서 간단한 다과[7]를 놔두고 이야기를 들려주는 형식이다. 주로 배경이 되는 소재는 한국 근·현대사 부분으로 군사정권, 일제강점기 시절 일이나 각종 참사이며 2000~2010년대의 사건도 가끔씩 나온다.


2. 기획의도[편집]


◆ 주관적으로 해석하는 ‘나’의 이야기
어느 날, 그 사건, 그 장면이 내 마음을 흔들었다!
눈길을 사로잡는 그 날, 그 사건으로부터 한 사람의 소시민으로서 ‘내’가 느낀 바를,
온전히 ‘나’의 시점에서 주관적으로 전달한다.
◆ 배워서 ‘너’ 주는, 3人 3色 이야기
‘너’ 에게 꼭 들려주고 싶어!
친구, 배우자, 동료...
세 명의 '이야기꾼'이 스스로 공부하며 느낀 바를 각자의 '이야기 친구'(가장 가까운 지인)에게,
가장 일상적인 공간에서 1:1로 전달한다.


3. 이야기꾼 소개[편집]


파일:꼬꼬무_장도연 정규.jpg
파일:꼬꼬무_장현성.png
파일:꼬꼬무_장성규 정규.jpg
장도연

타고난 재치와 센스로 시청자 취향 완.벽.저.격!
‘믿고 보는 장도연’
장현성

장성규

거침없는 입담의 ‘선넘규’
종횡무진 대세 아나테이너!


4. 방영 목록[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꼬리에 꼬리를 무는 그날 이야기/방영 목록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4.1. 2021년[편집]


회차 방영일제목이야기 친구[순서]비고
12021.10.211987, 인간청소이석훈, 장항준, 전소미[8]
22021.10.28대한민국 악인열전 - 피도 눈물도 없이표예진, 염혜란, 정성호[9]
32021.11.04그 배를 탄 사람들 - 1993 서해 훼리호이현이, 공명, 도영[10]
42021.11.11지옥에서 탈출하라 1991 모가디슈넉살, 이미도, 강승윤
52021.11.181 vs 1000의 사나이 신출귀몰 경성 피스톨황우슬혜, 윤균상, 조정식[11]
62021.11.25대한민국 악인열전 - 우범곤 총기 난사사건김동현, 서영희, 슬기[12]
72021.12.02감옥에서 온 살인 리스트 - 유령살인마 이두홍사이먼 도미닉, 김진수, 치타
82021.12.09마지막 여름캠프 - 씨랜드 화재참사비비, 타블로, 백지영[13]
92021.12.16피로 쓴 약속차선우, 정문성, 효정[14]
102021.12.2364인의 결사대 - 1976 도끼만행사건정용화, 한승연, 김기혁
112021.12.30세기의 이혼 스캔들 - 인형이 되기를 거부한 모던걸이현이, 이미도, 정성호[15]


4.2. 2022년[편집]


회차 방영일제목이야기 친구[순서]비고
122022.01.06그곳에 묻혀있다 - 2011 축령마을 미스터리산다라박, 배종옥, 로꼬
132022.01.13출격 1954 - 대한민국의 이름으로이현이, 제갈성렬, 안성준[16]
142022.01.20입 속의 혀 - 유괴범과 꼭두각시들김태균, 한승연, 에일리[17]
152022.01.27나를 찾아줘 - 1960 되살아온 아이이현이, 진선규, 유주
162022.02.03아메리칸 드림 1992 - LA 폭동윤하, 장항준, 허니제이
172022.02.24마약 왕국을 탈출한 빠삐용김민석, 김진수, 윤보미[18]
182022.03.03일곱 명의 용의자 - 누가 소녀를 죽였나비비, 홍석천, 고은아
192022.03.10나는 승리자다 - 제국을 뒤흔든 사나이이동욱, 박효주, 치타[19]
202022.03.17인질을 구출하라 - 해적과의 일주일김동현, 한승연, 전진
212022.03.241987 종철이와 비둘기들우원재, 최대훈,
222022.03.31알라딘 램프와 땅콩오대환, 김진수, 정은지[20]
232022.04.07한 명도 나오지 못했다 - 1999 인현동 라이브최예나, 유인영, 예성[21]
242022.04.14외딴 섬, 그리고 사라진 사람들 - 1997, 인간의 조건민혁, 홍석천, 소정[22]
252022.04.211943 지옥의 문 - 콩깻묵과 검은 다이아몬드이은형, 송영규, 이이경
262022.04.28톱스타와 비밀테이프김도연, 박효주, 전진
272022.05.05전하지 못한 목소리 - 지화(火)철 1080호 미스터리이승윤, 정인선, 강승윤[23]
282022.05.12빙고호텔 VIP룸 - 비밀 캐비닛 1303미노이, 한승연, 온주완
292022.05.19나를 잊지 말아요 - 오월이 오면강훈, 송영규, 휘인
302022.06.02마녀를 잡아라! - 1991 적과의 동거박승희, 김진수, 주학년[24]
312022.06.091980 불량배 소탕 작전윤균상, 임지연, 정성호[25]
322022.06.16살인범의 진실게임 - 움막 살인사건[26]넉살, 김선영, 장희진[27]
332022.06.23작전명령 174호 - 돌아오지 못한 소년들솔지, 박효주, 폴킴[28]
342022.06.30시와 피윤박, 김이나, 미연
352022.07.077,000억 스캔들 - 큰손 장회장의 비밀김해준, 박준면, 효정

5. 시청률[편집]


  • 닐슨코리아 시청률 기준.
  • 파란색 수치는 최저 시청률, 빨간색 수치는 최고 시청률을 의미.
회차 방영일시청률
12021.10.215.1%
22021.10.285.4%
32021.11.044.0%
42021.11.114.3%
52021.11.183.6%
62021.11.254.1%
72021.12.025.1%
82021.12.095.0%
92021.12.164.2%
102021.12.233.7%
112021.12.304.3%
122022.01.065.1%
132022.01.134.8%
142022.01.206.4%
152022.01.274.9%
162022.02.035.4%
172022.02.244.7%
182022.03.035.5%
192022.03.103.9%
202022.03.174.3%
212022.03.244.3%
222022.03.315.5%
232022.04.074.9%
242022.04.145.2%
252022.04.214%
262022.04.284.4%
272022.05.054.3%
282022.05.125.2%
292022.05.193.8%
302022.06.023.7%
312022.06.093.8%
322022.06.164.1%
332022.06.233.3%
342022.06.303.2%
352022.07.07

6. 여담[편집]


  • 시청자 애칭은 <꼬물이>다.
  • 개승자에서 유민상이 꼬리에 꼬리를 무는 소꼬리곰탕으로 패러디 개그를 했다. 출연진 중에서도 장도연이 시즌 2 후기 격인 마지막 화에서 처음 꼬꼬무 섭외 제의를 들었을 때 무슨 꼬리곰탕 관련 프로인 줄 알았다는 드립을 쳤었다.
  • 1월 27일 방송 기준 가장 단골 이야기 친구는 이현이. 꼬꼬무 49회[29] 중 총 12회를 출연했다.
  • 심용환 작가가 방송에서 소개된 사건의 배경과 잘 알려지지 않은 사건 관련 사실 등을 소개하는 꼬꼬멘터리라는 추가 영상이 SBS 공식 유튜브 채널 '달리'에 업로드되었다.
  • 2021년 한국방송대상 시리즈 작품상을 수상했다. 같은 해 제48회 한국방송대상에서는 문화예술교양 부문을 수상했다. #
  • 정규 편성명은 넘버링을 뗀 '꼬리에 꼬리를 무는 그날 이야기'지만 일부 채널(SBS FiL)에서는 넘버링을 붙인 '꼬리에 꼬리를 무는 그날 이야기 3'로 편성돼있다.
  • 방영 초기에는 대한민국의 악질 범죄자들에 대한 이야기를 다룬 두 번의 회차가 대한민국 악인열전이라는 타이틀과 함께 방영이 되며 프로그램 내에 나름의 코너가 있는 것으로 보였지만, 6화 이후로는 해당 타이틀이 등장하지 않고 있다. 이후 방영분 중에서도 해당 타이틀이 붙으려면 얼마든지 붙을 수 있는 회차들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30] 타이틀이 붙지 않은 것을 보면 그냥 유야무야 사라진 모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2-07-01 21:59:41에 나무위키 꼬리에 꼬리를 무는 그날 이야기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3회는 두산 LGKBO 준플레이오프 1차전 중계때문에 시간이 밀렸다.[2] 약 70~80분 정도 방송된다.[3] SBS 교양 공식채널 달리[4] SBS NOW 교양 스페셜[5] 본업 때문에 하차하는 것이라고 한다. 실제로 농구 영화를 찍을 예정.[6] 장트리오 중 장도연인동 장씨, 장성규안동 장씨, 장현성은 단양 장씨이다. 실제로 장씨의 2/3가 인동 장씨임을 감안하면 참 보기 드문 조합이다. 하차한 장항준의 본관은 불명.[7] 보통은 양과자와 함께 커피나 과일 주스 등 비 알코올 음료가 제공되지만, 가끔씩 맥주와 마른안주가 나오기도 한다. 단순한 소품이 아니라 촬영하면서 진짜로 먹는 것인지 촬영이 진행될수록 다과의 양이 점점 줄어드는 모습도 종종 볼 수 있다. 34화에서는 한과도 나왔다.[순서] A B 순서는 장도연, 장현성, 장성규.[8] 광고 종료 후 파트에서 두 시즌 동안 고생한 장항준을 위해 제작진이 사진을 담은 액자를 선물했다.[9] 엄여인 관련 내용을 다루다 이후 사이코패스에 관한 내용까지 다뤘다. 이 정도 스케일이면 엄여인이 악질 중에 상악질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10] 공명과 도영은 친형제이다. 프로그램 최초로 형제가 동반 출연한 사례.[11] 지금까지 꼬꼬무에서 다루었던 역대 사건들 중 2번째로 과거의 일.(방영 당시에는 가장 과거의 사건이었는데, 바로 6주 후 11화가 딱 3년 차이로 그 기록을 깼다.) 2022년 기준으로 99년 전 사건으로 곧 100년이 된다.[12] 기네스북 관련 내용을 최초로 다룬 회차이다.[13] 중간광고 전 예고에 이 사고를 모티브로 만들어진 곡인 H.O.T.아이야가 삽입되기도 했다.[14] 촬영장의 소품으로 전태일이 여공들에게 사주던 풀빵이 놓여져 있었고, 예고편에서 나온 노래로 MC 스나이퍼의 솔아 솔아 푸르른 솔아가 틀어졌으며, 엔딩 종료 후 영화 태일이의 클립을 보여주었다.[15] 지금까지 꼬꼬무에서 다루었던 역대 사건들 중 가장 과거의 일로 2022년 기준으로 102년 전 사건이다.[16] 꼬꼬무 사상 최초의 스포츠 관련 이야기로,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 한일전과 본선 첫 경기였던 헝가리전에 대한 이야기를 다뤘다.[17] 방송에서는 피해자의 이름이 '이우진'으로 가명 처리되어 나왔다.[18]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 중계방송 관계로 2주 결방 이후 방영되었다. 한편 초반부에 언급된 문충일 씨의 아들에 대한 내용이 미흡했다는 시청자들의 지적이 있었는지, 재방송 및 다시보기에선 마지막에 문충일 씨의 아들에 대한 내용과 쿤사의 해체 및 본인의 사망에 관한 보충 자막이 삽입되었다.[19] 초등학생들이 직접 꼬꼬무 제작진 앞으로 관동 대학살에 대해 널리 알려달라는 내용의 편지를 보내 왔다고 하며, 이 편지가 방송 후반부에 소개되었다.[20] 마지막에 본편의 주인공 안학수 하사를 비롯한, 아직 고국으로 돌아오지 못한 참전 병사 6명의 이름을 한 명 한 명 차례대로 화면 중앙에 띄웠다.[21] 해당 방영분에서 기존에 익히 알려졌던 '인천 인현동 호프집 화재 참사'라는 사건명에서 호프집이란 단어의 좋지 못한 이미지 때문에 '호프집이란 단어를 떼어달라.'라는 생존자와 유족들의 부탁이 있었다. 2021년 12월 9일자 방영분에서도 씨랜드 사건으로 자식을 잃은 前 여자 하키 국가대표 출신이었던 김순덕 선수가 한국에 환멸을 느끼고 이민을 선택하게 되었다는 이야기를 할 때 이 사건이 짧게 언급되었다.[22] 해당 에피소드의 부제 '인간의 조건'은 수심원 사건을 다룬 그것이 알고싶다 2016년 6월 18일자 방영분의 제목에도 들어 있는 문구이기도 하다. 또한 해당 방영분에서는 당시 입소인들의 이름이 가명 처리되어 나왔다.[23] 패널들이 역대 꼬꼬무 에피소드 중에서도 손에 꼽을 만큼 많은 눈물을 흘렸던 회차이다. 그만큼 슬프고 답답한 참사였다.[24]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서울시장 토론회 중계방송 관계로 1주 결방 이후 방송되었다. 또한 특이사항으로 방송 소재가 탁구이다보니 촬영에 쓰인 테이블 또한 탁구대였다.[25] 피해자 중 한 사람인 한일영 씨가 10대에 선감학원에 수감되었기에 해당 내용도 간략하게 다루었다.[26] 꼬꼬무에서 다룬 사건 중 나무위키에 개별 문서가 없는 최초의 사건이다.[27] 해당 사건은 꼬꼬무에 앞서 궁금한 이야기 Y 2016년 2월 5일 방영분에서도 다룬 바 있다.[28] 방송 이틀 후인 2022년 6월 25일이 6.25 전쟁 발발 72주년이라 다룬 것으로 보인다.[29] 파일럿, 시즌1, 시즌2, 정규방송 횟수의 합[30] 대표적인 예로는 14화27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