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구(1649)

덤프버전 :


조선 정승

인조 ~ 경종
[ 좌의정 ]
제141대}}}
정창연
제142대}}}
윤방
제143대}}}
신흠
제144대}}}
오윤겸
제145대}}}
김류
제146대}}}
이정구
제147대}}}
김류
제148대}}}
오윤겸
제149대}}}
홍서봉
제150대}}}
이성구
제151대}}}
최명길
제152·153대}}}
신경진
제154대}}}
심열
제155대}}}
심기원
제156대}}}
김자점
제157대}}}
홍서봉
제158대}}}
심열
제159대}}}
홍서봉
제160대}}}
김자점
제161대}}}
김상헌

제162대}}}
이경석
제163대}}}
남이웅
제164대}}}
이경석

제165대}}}
정태화
제166·167대}}}
조익
제168대}}}
이시백
제169대}}}
김육
제170대}}}
이시백

제171·172대}}}
구인후
제173대}}}
심지원
제174대}}}
원두표
제175·176대}}}
심지원

제175·176대}}}
심지원
제177대}}}
원두표
제178대}}}
홍명하
제179·180대}}}
허적
제181대}}}
정치화
제182대}}}
허적
제183대}}}
정치화
제184대}}}
송시열
제185대}}}
김수항
제186대}}}
이경억

제187대}}}
송시열
제188대}}}
정지화
제189대}}}
김수항

제190대}}}
정치화
제191대}}}
김수항
제192대}}}
권대운
제193대}}}
민희
제194대}}}
정지화
제195대}}}
민정중
제196대}}}
정지화
제197대}}}
남구만
제198대}}}
이단하
제199대}}}
조사석
제200대}}}
목내선
제201대}}}
박세채
제202대}}}
류상운
제203대}}}
윤지선
제204대}}}
최석정
제205대}}}
서문중
제206대}}}
이세백
제207대}}}
이여
제208대}}}
서종태
제209대}}}
김창집
제210대}}}
이유
제211대}}}
이이명
제212·213대}}}
서종태
제214·215대}}}
김창집
제216대}}}
서종태

제217대}}}
이이명
제218·219대}}}
김창집
제220대}}}
이이명
제221대}}}
권상하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 우의정 ]
제161대}}}
윤방
제162대}}}
신흠
제163대}}}
오윤겸
제164대}}}
김류
제165대}}}
이정구
제166대}}}
김상용
제167대}}}
김류
제168대}}}
김상용
제169대}}}
홍서봉
제170대}}}
이홍주
제171대}}}
이성구
제172대}}}
최명길
제173대}}}
장유
제174대}}}
신경진
제175대}}}
심열
제176대}}}
강석기
제177대}}}
심기원
제178대}}}
김자점
제179대}}}
이경여
제180대}}}
심열
제181대}}}
서경우
제182대}}}
심열
제183대}}}
이경석
제184대}}}
남이웅
제185대}}}
이행원

제186대}}}
남이웅
제187대}}}
정태화

제188대}}}
조익
제189대}}}
김육
제190대}}}
조익
제191대}}}
이시백
제192대}}}
한흥일
제193대}}}
이시백
제194대}}}
구인후
제195대}}}
심지원

제196대}}}
원두표
제197대}}}
이후원
제198대}}}
원두표

제199대}}}
정유성
제200대}}}
원두표
제201대}}}
정유성
제202대}}}
홍명하
제203대}}}
허적
제204대}}}
정치화
제205·206대}}}
송시열
제207대}}}
홍중보
제208대}}}
송시열
제209대}}}
김수항

제210대}}}
이경억
제211대}}}
김수흥
제212대}}}
이완
제213대}}}
정지화

제214대}}}
김수항
제215대}}}
권대운
제216대}}}
허목
제217대}}}
민희
제218대}}}
오시수
제219대}}}
민정중
제220대}}}
이상진
제221대}}}
김석주
제222대}}}
남구만
제223대}}}
정재숭
제224대}}}
이단하
제225대}}}
조사석
제226대}}}
이숙
제227·228대}}}
여성제
제229대}}}
김덕원
제230대}}}
민암
제231대}}}
윤지완
제232대}}}
류상운
제233대}}}
신익상
제234대}}}
윤지선
제235대}}}
서문중
제236대}}}
최석정
제237대}}}
이세백
제238대}}}
민진장
제239대}}}
신완
제240대}}}
김구
제241대}}}
이유
제242대}}}
서종태
제243대}}}
김창집
제244대}}}
이이명
제245대}}}
서종태
제246대}}}
윤증
제247대}}}
김창집
제248대}}}
조상우
제249대}}}
김창집
제250대}}}
김우항
제251대}}}
이이명
제252대}}}
권상하
제253대}}}
조태채
제254대}}}
이건명




조선 정승
충헌공(忠憲公)
김구
金構
출생1649년(인조 27)
사망1704년(숙종 30)
시호충헌(忠憲)
본관청풍 김씨
자긍(子咽)
관복재(觀復齋)
붕당서인
노론
부모부친 - 김징(金澄, 1623 ~ 1676)
모친 - 함평 이씨 이의길(李義吉, 1596 ~ 1633)의 딸
부인이몽석(李夢錫)의 딸
자녀장남 - 김희로(金希魯, 1673 ~ 1753)
차남 - 김재로(金在魯, 1682 ~ 1759)

1. 개요
2. 생애
3. 가족과 후손
4. 묘역



1. 개요[편집]


조선 후기의 문신.


2. 생애[편집]


1669년(현종 10년)에 사마시에 합격하고, 1682년(숙종 8년)에 문과 급제했다. 이후 성균관전적과 각 조의 낭관을 거쳐 대사간, 장예원판결사를 지냈다. 판결사로 재직 중 세조에게 쫓겨난 노산군의 복위를 주장하여 단종 복위를 성사시켰고 아울러 단종정순왕후의 묘를 왕비의 능으로 추봉하고 능을 조성하는 공사를 감독했다. 이후 형조판서를 거쳐 육조의 판서를 모두 지내고 1703년(숙종 29년)에는 우의정으로 승진했다. 어머니 상을 치른 뒤 병을 앓더니 몇 개월 지나지 않아 1704년(숙종 30년)에 사망했다. 향년 56세.[1]

졸기를 보면 숙종이 시킨 일들을 잘 처리해서인지 머리도 좋고, 능력도 좋은 편에 말주변도 좋아 숙종이 건강을 염려할 정도로 대접이 좋았다는 얘기가 있다.《숙종실록》 40권, 숙종 30년 12월 18일 갑신 3번째 기사 하지만 소론이 보충한 《숙종실록보궐정오》에서는 "임금의 총애를 받은 건 사실이지만, 아첨만 잘하고 임금을 바로잡지는 못했다"고 비판하고 있다.《숙종실록보궐정오》 38권, 숙종 29년 12월 13일 갑신 1번째기사


3. 가족과 후손[편집]


그의 집안은 4대에 걸쳐 6명의 정승을 배출한 집안이기도 하다. 영의정이 된 김재로는 그의 아들이며, 좌의정에 올랐던 김치인은 김재로의 아들이자 김구의 손자이다. 또한, 정조 때의 서인 노론의 거두 김종수는 김구의 아들 김희로의 손자, 즉 김구에게 증손자가 된다. 동생 김유는 대제학을 지냈고, 김유의 아들로는 사도세자를 공격했던 영의정 김상로, 좌의정 김약로와 이조판서 김취로가 있다. 또한 독립운동가 김규식은 그의 동생 김무의 7대손이었다.


4. 묘역[편집]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280px-%EC%B6%A9%ED%97%8C%EA%B3%B5%EA%B9%80%EA%B5%AC%EB%AC%98%EC%97%AD.jpg
충헌공 김구 묘소
현재 서울특별시 송파구 올림픽공원 몽촌토성 내에 그의 무덤이 있다.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올림픽공원(서울)/시설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1] 당시 나이 셈법인 세는나이 기준.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김구(동명이인) 문서의 r65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김구(동명이인) 문서의 r65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6 00:08:44에 나무위키 김구(1649)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