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123

덤프버전 :

파일:external/cdn-www.airliners.net/1452090.jpg

C-123K 프로바이더

파일:external/cdn-www.airliners.net/0276941.jpg

C-123K 프로바이더 조종석

1. 개요
2. 제원
2.1. 개발사
3. 특징
4. 기타
5. 관련 항목
6. 둘러보기



1. 개요[편집]




Fairchild C-123 Provider
페어차일드 C-123 프로바이더

미국페어차일드(Fairchild Aircraft)[1]에서 개발한 쌍발 왕복엔진 전술수송기


2. 제원[편집]


길이
23.2m
너비
33.5m
높이
10.4m
무게
16t
최대중량
27.2t
최대시속
367km/h
순항속도
278km/h
항속거리
1,666km
최대적재량
11.0t


2.1. 개발사[편집]


그 시작은 1948년, 체이스(Chase Aircraft)에서 개발중이던 XCG-20 글라이더로 거슬러 올라간다. 미군이 개발했던 글라이더 중에서 가장 크면서, 글라이더치고는 상당한 덩치를 자랑했던 XCG-20은 "이 정도 크기면 그냥 엔진 달아서 수송기로 사용하는게 효율적이지 않을까?"라는 의문이 들게 하였고, 미공군도 글라이더보다는 수송기가 필요하게 되자 체이스는 XCG-20에 엔진을 장착하고 수송기로 전환을 시작했다. 1950년 초반, P&W R-2800 성형 엔진[2] 2기를 장착한 XC-123과 GE J47 터보제트 엔진[3] 4기를 장착한 XC-123A[4] 두 모델이 개발되었다.

시간이 흘러 1953년, 체이스를 인수한 카이저 사의 가격 문제로 미공군이 계약을 취소하면서 C-123 구매계약의 재입찰이 진행되었고 이 때 페어차일드가 선정되었으며 페어차일드에서 XC-123의 설계를 다듬어 양산형 C-123B를 선보이며 본격적인 실전배치에 들어갔다. 이 때 페어차일드에서 "프로바이더"라는 이름을 붙여주었다

추력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시도가 있었고, C-123J형부터는 기존의 2기의 성형 엔진에다가 J44 터보제트 엔진 2기를 윙팁에 장착하였다.

베트남전쟁에 투입되면서 단거리 이착륙 성능을 높이기 위해 C-123B 180 대에 J85 터보제트 엔진[5] 을 포드 형식으로 주익 하부에 장착하고 주익의 크기를 확장하는 개수가 실시되었고 이것이 C-123K이다.


3. 특징[편집]


현대 전술수송기의 설계개념을 완성시킨 기종으로 의미가 있다. 이전의 수송기였던 C-46 코만도, C-47 스카이트레인, C-54 스카이마스터 등은 기존 여객기 객실을 화물실로 이용하는 수준이였기에 화물실 용적, 화물 하역 접근성이 매우 떨어졌다. 그에 비해 C-123은 동체 벌지에 위치한 랜딩 기어, 고익 저상갑판 구조, 후방 로딩램프 등 현용 수송기들에 적용되는 설계개념으로 효율성의 비약적인 발전을 가져왔다.


4. 기타[편집]


베트남 전쟁 당시 실전투입되어 뛰어난 야전전술수송능력을 바탕으로 활약했으나 C-130이 등장하고 그 성능이 안정되면서 대부분 고엽제 살포기인 UC-123B/K로 개장되었다. 덕분에 지금은 고엽제의 아이콘으로 인지도가 상당한 기종이다.

대한민국 공군은 1973년 C-46 수송기[6]를 대체하기 위해 미국에서 22대를 도입해서 1994년까지 운용했었는데, 심한 노후화로 악명높았던 기종이였다. 1982년, 한라산청계산에서 추락사고를 일으키며 그 악명은 정점을 찍었다. 같은 해에 같은 기종이 두번이나 추락하고 심지어 둘 다 탑승자 전원사망에 사망자 숫자까지 똑같은 한국군의 흑역사... 이렇게 잠잠해진다 싶으니 9년후인 1991년경상남도 밀양시에서 또 추락하여 국군장병 5명의 목숨을 앗아갔다. 이후 운용자와 탑승자들의 증언을 들어보면 아주 몹쓸 비행기였다는 게 중론이다.[7]

일단 설계 자체가 2차 세계대전 기술을 상당수 사용하는 구식이었다. 프로펠러 엔진과 제트 엔진을 양쪽 다 장착하는 방식은 50~60년대에 제트 엔진이 대형 다발기를 제대로 비행시킬 수 있을지 의구심과 신뢰성이 들던 시절에 반반씩 장착해보자는 아이디어로 장착한 것이었다. 정작 나중에 문제가 된 것은 제트 엔진이 아니라 2기의 피스톤 엔진이었다. 엔진 자체는 2차 세계대전 기술력의 정점으로, 무려 18기통 피스톤으로 2000마력대 출력이 나오는 괴물이었다. 그러나 이후로 제트 엔진과 터빈 엔진이 대세가 되면서 해당 엔진은 1960년대에 완전히 단종되어 버렸다. 이후 엔진의 정비나 새 엔진 입수가 아주 어려워졌다. 실제로 한국에서 욕먹은 경우도 대부분 엔진 관련으로, 팀 스피릿 훈련 때 미군이 우리나라에서 저 비행기는 농장에서나 볼 수 있는 것이라고 디스하기도 했고, 비행 중 엔진이 꺼져 다시 켜고 갔다고 하고, 심지어 프로펠러 엔진 양쪽이 모두 고장나는 바람에 제트 엔진으로 비행해 겨우 착륙했다는 등의 조종사와 정비사들 증언이 있다. 인터넷에서 한 특전사 예비역은 C-123기 추락을 보고 원래 교범에는 없는 "항공기 추락시 비상탈출 절차"를 만들어 훈련생들에게 주지시켰다고 밝혔다. 그 밖에도 출동 전에 엔진 고장으로 비행이 취소되는 경우도 다반사였고, 타고 있을때보다 오히려 비행기에서 강하한 후가 앓던 이가 빠진 것처럼 속시원해서 강하할 때만을 기다렸다고 증언도 있다.

내부에 터빈이 자리잡고 있는 터보프롭 엔진과 달리, 피스톤이 왕복을 하면서 왕복 운동을 하는 피스톤 왕복 엔진의 특성상, 피스톤이 마모가 되어, 주기적으로 보링이나, 피스톤 교체를 해주어야 하는데, 부품이 단종 되면 교체가 힘들어, 지속적으로 성능 저하가 일어나고, 엔진 오일을 보충만 해주는 터빈형 엔진들과는 달리, 자동차 처럼 엔진 오일을 주기적으로 교체를 해주어야 하는 왕복 엔진들의 특성상 정비가 굉장히 까다롭고, 노후시 고장도 훨씬 잦다.

1988년 C-130이 도입되고, 1994년 스페인에서 CN-235 12대를 도입하면서 쫒겨나듯 순식간에 모조리 퇴역하였다.

AC-123과 NC-123이라는 지상 공격형 개량형이 있었으나 이것도 곧 AC-130에게 밀려났다.

현재는 일부 기체만이 보존된 채 공원이나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다.


5. 관련 항목[편집]




6. 둘러보기[편집]


파일:미합중국 공군 마크.svg 냉전기 미합중국 공군 항공기 둘러보기

[ 펼치기 · 접기 ]
미합중국 공군
United States Air Force, USAF

지상 공격기
A-1, OV-10, F-105, F-107, F-111, A-7D, A-10A, A-26, A-37A/B, AC-47, AC-130A/E
제공 전투기
1세대
F-80C, F-84, F-86A/F, F-86E-6-CAN
2세대
F-100A/C/D, F-101A/B/C/D, F-102A/B/C, F-104A/C, F-105B/C/D, F-106A/B
3세대
F-4C/D/E, F-5A/B/E, F-111A
4세대
F-15A/B/C/D, F-16A/B/C/D
전략 폭격기
B-26, B-29, B-36, B-45, B-47, B-50, B-57, B-58, YB-49, XB-70, B-1A, B-52, FB-111A
수송기
전술 수송기
C-12, C-23, C-54, C-119, C-123, C-130
전략 수송기
C-141A/B, C-5A/B, C-17A
공중급유기
KC-135A/B/D, KC-10A
다목적기
C-130
훈련기
T-33, T-37, T-38
정찰기
RB-57D, U-2S, SR-71A, RF-4C, RF-16
전자전기
EB-66, EF-111
조기경보기
E-3
회전익기
UH-19
취소선: 개발 취소 및 도입 취소 기종
※ 윗첨자NG: 주방위군에서 사용





파일:대한민국 국군 라운델.svg파일:대한민국 공군 라운델(저시인성).png 현대 대한민국 국군 항공병기

[ 펼치기 · 접기 ]
대한민국 국군 (1948~현재)
회전익기
경헬기
OH-23GA/M(R), 500MD 디펜더A, Bo 105CBS-5A, {LAH}A, OH-58BN/R, 벨 505
다목적 헬기
UH-19DA/R, UH-1(B/N/H)R, UH-60PA/N/HH-60PAF, 벨 412, HH-32AAF, KUH-1A/KUH-1M/MUH-1M
수송헬기
CH-47(D/NE/{F})A/HH-47DAF
공격헬기
AH-1(JR/S)A, AH-64EA, {상륙공격헬기M}
대잠헬기
N
SA 319BR, 슈퍼 링스 Mk.99(A/U), AW159, {MH-60R}
경찰헬기
P
500MDR, 벨 206(BR/B3R/L3), 벨 212R, ANSATR, 벨 412SPR, Ka-32C, Mi-172, A109C-MAX, AW-119 MK2, KUH-1(P/CG), S-92, AS565, AW139
전투기
프롭
F-51DR
1세대
F-86D/FR
2세대
F-5A/BR
3세대
F-4(DR/E), F-5(E/F)/KF-5(E/F)
4세대/4.5세대
F-16(C/D)/KF-16(C/D/U(V)), F-15K, FA-50, {KF-21}
5세대
F-35A,{F-35B}, {KF-21 보라매 Block 3}
공격기
A-37BR, AT-33R
수송기
C-123KR, C-54ER, C-47R, C-46R, C-212P, C-130(HR/H-30/J-30/MC-130K), CN-235(-100M/-220M)AF/P, {C-390}
드론
SUAV
티로터A, RQ-103KA
UAV
KUS-7(RQ-7)N/R, RQ-101A, 서쳐 IIA, 헤론A, RQ-102K 참매A, {CUAV-II}A, {MQ/RQ-105K MUAV}, RQ-4B, VELOS V2P, 루펠 EP, S-100N
UCAV
하피, {KUS-X}, {UCCR}
지원기
조기경보기
E-737
해상초계기
S-2EN/R, 해취호N/R, SX-1 서해호N/R, SX-2, SX-3 제해호N/P(R), P-3(C/CK)N, CL-604P, {P-8AN}
전선통제기
연락기

U-9(C/F)R, O-2AR, O-1(A/E/G)R, L-20(U-6)(A/N)R, L-5R, L-4R, SX-5 통해호R, KA-1, OV-10
정찰기
RF-86FR, RF-4CR, RF-5AR, EC-47QR, RF-16C/D, RC-800(B/G), 팰콘 2000S, RA-50
공중급유기
KC-330
전자전기
{한국형 SOJ 전자전기}
훈련기
프롭
창공-91, Ki-9교통부/R, T-103R, T-41DR, T-28AR, T-6R, TF-51DR, 부활호R, 새매호R, KT-1, KT-100, CARV-IIIN
제트
T-33AR, T-37CR, T-59R, T-38L/R, T-50/TA-50
가상적기
J-7R, MiG-19R, Il-28/H-5R, L-2, MQM-107
특수목적기
고정익기
L-26R, VC-54R, VC-118R, HS-748, VCN-235, 보잉 737-3Z8/{737 MAX 8L}, 보잉 747-4B5L/R/747-8B5L
회전익기
H-13R, UH-19DR, UH-1(B/N/H)R, 벨 212R, 벨 412SPR,AS332L2, VH-60P, VH-92
※ 윗첨자R/(R): 퇴역 기종
※ 윗첨자L: 임대 기종
취소선: 개발/도입 취소 기종
※ {중괄호}: 도입 고려/예정 기종
※ 윗첨자각군: 해당 군/경 운용(육A/해N/공AF/해병M/경찰, 해경P), 별개 표시 없을시 공군






파일:대만 국장.svg 현대 대만군 항공병기 둘러보기

[ 펼치기 · 접기 ]
중화민국 국군 (1947~현재)
中華民國 國軍

회전익기
경헬기
500MD, OH-58D, TH-67A, OH-6A육/R, TH-55A육/R
다목적 헬기
EC225, S-70(C-1/C-6)/UH-60M, H-5R, UH-1(BR/H), UH-34D육/R
수송헬기
CH-47SD
공격헬기
AH-1W, AH-64E
대잠헬기
S-70C(M)-1/2
전투기
프로펠러기
호크 IIIR, P-40R, P-51R
1세대
F-84GGR, F-86(D/F)R
2세대
F-100AR, F-104(A/B/D/G/J/DJ)R, F-5A/BR
3세대
F-5E/F
4세대 / 4.5세대
미라주 2000-5(EI/DI), F-CK-1(A/B, C/D), F-16(A/B/{V})
공격기
XA-3, AT-3BR
폭격기
모스키토 FB.26R, B-24MR, PB4Y-2R, B-25(C/D/J)R
수송기
C-130H, C-123KR, C-119(G/L)R, C-54(D/G)R, C-47R, C-46R
비행정
HU-16R
무인기
SUAV
홍작미-(1/2)형
UAV
예연 II육/해, {등운}
지원기
조기경보기
E-2T/K
해상초계기
P-3C, S-2(A/E/G/T)R
전선통제기 / 연락기
O-1육/R, L-5R
정찰기
RF-16A, RF-5E, R-CH-1R, RB-69AR, RB-57(D/F)R, RF-104R, RF-101AR
전자전기
C-130HE
훈련기
프롭
T-34, T-CH-1R, T-28AR, AT-11R AT-6R, PL-1(A/B)육/공
제트
{XT-5}, AT-3, T-38AR, TF-104GR, T-33R
특수목적기
보잉 737-800, 포커 50, 비치크래프트 1900C, 보잉 727R, 보잉 720BR VC-118R VC-47R
※ 윗첨자R: 퇴역 기종
※ 윗첨자L: 임대 기종
취소선: 개발 또는 도입 취소 기종
※ {중괄호}: 도입 예정 기종
※ 윗첨자각군: 해당 군 운용, 별도 표기 없을 시 공군





파일:베트남 공군 라운델.png 현대 베트남군 항공병기 둘러보기

[ 펼치기 · 접기 ]
베트남 인민군 (1944~현재)
Quân đi Nhân dân Vit Nam

회전익기
'''[[무장헬기|

경헬기
]]'''
AS350 B3 에쿠루일 | Mi-1R
'''

다목적 헬기
'''
Ka-32S | Mi-17(-1V) | Mi-8(P/T) | AS332 L2 슈퍼 퓨마 | SA.330J 퓨마 | EC225LP 슈퍼 퓨마 Mk.2+ | AS365 N2 도팽 2 | UH-1H 휴이C/R | Mi-4R
수송헬기
CH-47A 치누크C/R | Mi-6R
공격헬기
Mi-24A
대잠헬기
Ka-28 | Ka-25BSh/R
'''[[전투기|

전투기
]]'''
프롭
Ki-43 하야부사R
'''[[1세대 전투기|

1세대
]]'''
MiG-17(A/F/PF) · 선양 F-5R
'''[[2세대 전투기|

2세대
]]'''
MiG-19S · 선양 F-6R | MiG-21(F-13/PFM/PFL)R | F-5C 스코시 타이거C/R | F-5(A/B) 프리덤 파이터C/R
'''[[3세대 전투기|

3세대
]]'''
MiG-21(MF/bis)R | F-5(E/F) 타이거 IIC/R
'''[[4세대 / 4.5세대 전투기|

4(.5)세대
]]'''
Su-27(SK/UBK) | Su-27PU | Su-30MK2V
공격기
Su-22(M3/M4) | A-37(A/B) 드래곤플라이C/R | A-1 스카이레이더C/R
폭격기
Il-28R
'''[[정찰기|

정찰기
]]'''
전술
An-30R | RF-5AC/R
'''[[수송기|

수송기
]]'''
경량
C-295M | An-26 | NC-212i | An-24R | Il-14R | C-123K C/R | C-119K 프로바이더C/R | C-47 스카이트레인C/R | An-2TDR| DHC-4 카리부C/R | Li-2R
'''

전술
'''
Il-18R | C-130(B/E) 허큘리스C/R
수상기
VNS-41 | Be-12R
다목적기
O-1A 버드 도그C/R | O-2A 스카이마스터C/R | U-17(A/B) 스카이왜건C/R | DHC-2 오터C/R | Ae-45R
'''

지원기
'''
'''[[대잠초계기|

해상초계기
]]'''
DHC-6 트윈 오터 | PZL M28B-1R 브리자
'''[[무인기|

무인기
]]'''
'''

SUAV
'''
클래스 1 - MAV
VT-스위프트 | 시크라
클래스 1 - 초소형
ADS 오비터 2 | M-400CT | VT-패트롤
클래스 1 - 소형
RQ-27 스캔이글 | VUA-SC-3G | VT-피전
'''

UAV
'''
클래스 3 - MALE급
IAI 헤론 | HS-6L
'''[[훈련기|

훈련기
]]'''
프롭
T-6C 텍산 II | Yak-52 | T-28A 트로젼C/R | Z-226MS 트레너R | T-41D 메스칼레로C/R | TL-1 뜨 륵 | Yak-18R
제트
{L-39NG} | Yak-130 | L-39C 알바트로스 | Su-22UM3K | L-29 델핀R | MiG-21(US/UM)R | T-37 트윗C/R | MiG-15UTIR
VIP 탑승기
Mi-172 | Yak-40KR
윗첨자R: 퇴역 기종
윗첨자C: 노획 기종
취소선: 개발 취소 기종
윗첨자: 해당 군 운용 (육군/해군/공군), 표기 없을 시 공군





✈️ 항공병기 둘러보기
⠀[ 대전기 1914~1945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 냉전기 1945~1991 ]⠀
제1세계
파일:미합중국 공군 라운델.svg
미 공군 | 미 해군
파일:독일 공군 라운델.svg
서독

제2세계
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소련

파일:국가인민군 공군 라운델.svg
동독

파일:폴란드 공군 라운델(1921-1993).svg
폴란드

제3세계
[[틀:냉전/유고슬라비아 항공기|파일:유고슬라비아 항공 및 반항공군 라운델.svg

유고슬라비아
]]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 현대 1991~ ]⠀
북미
파일:미합중국 공군 라운델.svg
미 공군 | 미 해군
파일:캐나다 공군 라운델.png
캐나다

파일:멕시코라운델.png
멕시코

'''

중미/카리브
'''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공군 라운델.svg
도미니카 공화국

파일:쿠바 라운델.svg
쿠바

[[틀:현대전/엘살바도르 항공병기|파일:엘살바도르 공군 라운델.svg

엘살바도르
]]
파일:온두라스 공군 라운델.svg.png
온두라스

남미
파일:브라질라운델.png
브라질

파일:우루과이 공군 라운델.svg
우루과이

[[틀:현대전/아르헨티나 항공병기|파일:아르헨티나 공군 라운델.svg

아르헨티나
]]
파일:칠레라운델.png
칠레

파일:볼리비아 공군 라운델.svg
볼리비아

파일:파라과이 공군 라운델.svg
파라과이

파일:페루 공군 라운델.svg
페루

파일:에콰도르 공군 라운델.svg
에콰도르

파일:콜롬비아 공군 라운델.svg
콜롬비아

파일:베네수엘라 공군 라운델.svg
베네수엘라

서유럽
파일:영국 공군 라운델.svg
영국

파일:프랑스 항공우주군 라운델.svg
프랑스

파일:네덜란드 라운델.svg
네덜란드

파일:2000px-Roundel_of_Belgium_svg.png
벨기에

파일:아일랜드 라운델.svg
아일랜드

파일:룩셈라운델.svg.png
룩셈부르크
중부유럽
파일:독일 공군 라운델.svg
독일

파일:폴란드 공군 라운델.svg
폴란드

파일:체코 공군 라운델.svg
체코

[[틀:현대전/슬로바키아 항공병기|파일:슬로바키아 국장.svg

슬로바키아
]]
파일:스위스 공군 라운델.png
스위스

[[틀:현대전/오스트리아 항공병기|파일:오스트리아 라운델.svg

오스트리아
]]
파일:헝가리 공군 라운델.png
헝가리


남유럽
파일:이탈리아 공군 라운델.svg
이탈리아

파일:스페인 공군 라운델.png
스페인

파일:포르투갈라운델.png
포르투갈

파일:그리스 공군 라운델.svg
그리스

파일:루마니아 공군 라운델.svg
루마니아

파일:불가리아 공군 라운델.svg.png
불가리아
[[틀:현대전/슬로베니아 항공병기|파일:슬로베니아군 라운델.svg

슬로베니아
]]
[[틀:현대전/크로아티아 항공병기|파일:크로아티아군 라운델.svg

크로아티아
]]
파일:세르비아 라운델.svg
세르비아

[[틀:현대전/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항공병기|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공군 라운델.png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틀:현대전/몬테네그로 항공병기|파일:몬테네그로 공군 라운델.svg

몬테네그로
]]
[[틀:현대전/북마케도니아 항공병기|파일:북마케도니아군 라운델.svg

북마케도니아
]]
파일:알바니아 공군 라운델.svg
알바니아

파일:아르헨티나 공군 라운델.svg
키프로스

파일:튀르키예 공군 라운델.svg
튀르키예

--[[틀:현대전/유고슬라비아 항공병기|파일:세르비아 몬테네그로 공군 라운델.svg

신유고 연방
]]--
북유럽
파일:스웨덴 공군 라운델.svg
스웨덴

파일:노르웨이 공군 라운델.png
노르웨이

파일:덴마크 공군 라운델.svg
덴마크

파일:핀란드 공군 라운델.svg
핀란드

동유럽
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svg
러시아

[[틀:현대전/우크라이나 항공병기|파일:우크라이나 공군 라운델.svg

우크라이나
]]
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벨라루스

파일:몰도바 공군 라운델.svg
몰도바

[[틀:현대전/바그너 그룹 항공병기|파일:바그너 그룹 로고.svg

바그너 그룹
]]
동아시아
파일:대한민국 국군 라운델.svg
대한민국

파일:항공자위대 라운델.svg
일본

파일:중국 인민해방군 공군 라운델.svg
중국

파일:대만 국장.svg
대만

파일:북한 공군 라운델.png
북한

파일:몽골 공군 핀 플래시.svg
몽골

'''

동남아시아
'''
파일:태국 공군 라운델.svg
태국

파일:베트남 공군 라운델.png
베트남

[[틀:현대전/말레이시아 항공병기|파일:말레이시아 공군 라운델.svg

말레이시아
]]
파일:싱가포르 공군 라운델.svg
싱가포르

[[틀:현대전/인도네시아 항공병기|파일:인도네시아라운델.png

인도네시아
]]
파일:필리핀 공군 라운델.svg
필리핀

파일:브루나이 공군 라운델.svg.png
브루나이
파일:미얀마 라운델.svg
미얀마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50px-Royal_Cambodian_Air_Force_roundel.svg.png
캄보디아

파일:라오스 공군 라운델.svg
라오스

'''

중앙아시아
'''
[[틀:현대전/카자흐스탄 항공병기|파일:카자흐스탄 공군 라운델.svg

카자흐스탄
]]
[[틀:현대전/우즈베키스탄 항공병기|파일:우즈베키스탄 공군 라운델.svg

우즈베키스탄
]]
[[틀:현대전/타지키스탄 항공병기|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타지키스탄
]]
[[틀:현대전/키르기스스탄 항공병기|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Roundel_of_the_Air_Force_of_Kyrgyzstan.svg.png

키르기스스탄
]]
[[틀:현대전/투르크메니스탄 항공병기|파일:투르크메니스탄 공군 라운델.svg.png

투르크메니스탄
]]
남아시아
파일:인도 해군 라운델.png
인도

파일:파키스탄 라운델.png
파키스탄

[[틀:현대전/방글라데시 항공병기|파일:방글라데시 라운델.png

방글라데시
]]
파일:스리랑카 공군 라운델.svg
스리랑카

파일:네팔 육군항공대 라운델.svg
네팔


아프가니스탄 (~'21)
서아시아
파일:조지아 공군 라운델.svg
조지아

[[틀:현대전/아르메니아 항공병기|파일:아르메니아 공군 라운델.svg

아르메니아
]]
[[틀:현대전/아제르바이잔 항공병기|파일:480px-Roundel_of_Azerbaijan.svg.png

아제르바이잔
]]
파일:이스라엘 공군 라운델.svg
이스라엘

파일:이란 라운델.svg
이란

파일:이라크 공군 라운델.svg
이라크

파일:쿠웨이트 공군 라운델.svg
쿠웨이트

파일:시리아 공군 라운델.svg
시리아

파일:레바논 공군 라운델.svg
레바논

파일:요르단 공군 라운델.svg
요르단

[[틀:현대전/사우디아라비아 항공병기|파일:사우디아라비아 공군 라운델.svg

사우디아라비아
]]
[[틀:현대전/아랍에미리트 항공병기|파일:아랍에미리트 공군 라운델.svg

아랍에미리트
]]
파일:카타르 공군 라운델.svg
카타르

파일:480px-Roundel_of_Bahrain.svg.png
바레인

파일:오만 공군 라운델.svg.png
오만
파일:예멘 라운델.svg
예멘

'''

오세아니아
'''
파일:호주 공군 라운델.svg
호주

파일:뉴질랜드 공군 라운델.svg
뉴질랜드

[[틀:현대전/파푸아뉴기니 항공병기|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Papua_New_Guinea_roundel.svg.png

파푸아뉴기니
]]

'''

북아프리카
'''
파일:이집트 공군 라운델.png
이집트

파일:리비아 공군 라운델.svg
리비아

파일:튀니지 공군 라운델.svg
튀니지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00px-Algeria_A-F_Roundel.svg.png
알제리

파일:모로코 공군 라운델.svg
모로코

파일:자유 리비아 공군 라운델.svg
자유 리비아 (~'11)

'''

동아프리카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Roundel_of_the_Sudanese_Air_Force.svg.png
수단

[[틀:현대전/에티오피아 항공병기|파일:에티오피아 공군 라운델.svg

에티오피아
]]
파일:지부티 공군 라운델.svg
지부티

파일:소말리아 공군 라운델.svg
소말리아

파일:케냐 공군 라운델.svg
케냐

파일:탄자니아 공군 라운델.svg.png
탄자니아
파일:모잠비크 공군 라운델.svg
모잠비크

파일:우간다 공군 라운델.svg
우간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Roundel_Rwanda.svg.png
르완다

[[틀:현대전/마다가스카르 항공병기|파일:마다가스카르 공군 라운델.svg

마다가스카르
]]
파일:코모로 공군 라운델.svg.png
코모로


'''

서아프리카
'''
[[틀:현대전/나이지리아 항공병기|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400px-Roundel_of_the_Nigerian_Air_Force.svg.png

나이지리아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280px-Roundel_of_the_Senegalese_Air_Force.svg.png
세네갈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Roundel_of_the_Niger_Air_Force.svg.png
니제르

파일:말리 공군 라운델.svg
말리

파일:기니 공군 라운델.svg
기니

파일:모리타니 공군 라운델.png
모리타니
파일:가나 공군 라운델.svg
가나


토고

'''

중아프리카
'''
파일:차드 공군 라운델.svg
차드

파일:카메룬 공군 라운델.svg.png
카메룬


가봉
[[틀:현대전/콩고 공화국 항공병기|파일:콩고 공화국 공군 라운델.svg

콩고 공화국
]]
파일:콩고민주공화국 공군 라운델.svg
콩고민주공화국

파일:앙골라 공군 라운델.svg
앙골라

'''

남아프리카
'''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공군 라운델.svg.svg
남아공

파일:보츠와나 공군 라운델.svg
보츠와나

파일:나미비아 공군 라운델.svg.png
나미비아
파일:레소토 공군 라운델.svg
레소토


잠비아
파일:짐바브웨 공군 라운델.svg
짐바브웨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 제트전투기의 계보 ]⠀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21 19:45:46에 나무위키 C-123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반도체 메이커 페어차일드와는 다른 회사이다.[2] P-47 썬더볼트, F4U 콜세어, F6F 헬캣 등에 장착되었던 엔진.[3] F-86, B-47 등에 장착되었던 엔진.[4] 참고로 이 기종이 프로토타입이나마 미국 최초의 제트엔진 수송기로 기록된다.[5] F-5, A-37 등에 장착되었던 엔진.[6] 1977년 퇴역. C-46 역시 1961년과 1963년, 1967년에 추락사고를 일으켰는데, 특히 1967년 사고의 경우 민가에 추락해 사망자 56명(탑승자 12명 포함), 행방불명자 6명, 부상자 24명이 발생하였고, 하필이면 판자촌에 추락해 대형 화재가 발생하면서 150명의 이재민까지 발생하였다.[7] 심지어 어떤 기체는 베트남전에서 쓰였던 비행기 아니랄까봐 아랫부분에 총탄자국도 있었다고 한다.